최근 수정 시각 : 2024-02-24 17:50:24

전리품



1. 개요2. 상세

1. 개요

/ loots, spoils

전쟁을 통해 얻은 물품을 뜻한다. 물품이라지만 전쟁이나 전투에서 승리하고 약탈하는 모든 종류를 의미한다. 사람이나 권리, 명예까지 포함해서. 승자독식 매커니즘, Winner takes all의 원조격 개념이기도 하다. 전투에서 승리하면 얻을 수 있으며, 전쟁이 아닌 외교나 협상을 통해 얻기도 하나 이 경우는 대개 전리품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2. 상세

태초부터 존재해 왔으며, 사냥꾼이 자신의 사냥감의 일부(이빨 등)으로 목걸이같은 장식품을 만들어 과시하는 데서 시작되어, 부족 단위의 전쟁에서 그 부족의 상징과 같은 물품( 토템이나 상아, 보석 등)을 뺏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런 '과시'적인 목적 이외에 실용품 중에서도 제작에 품이 많이 들어 비싼 도구들이나, 그 자체로 한 재산이었던 가축, 나아가 인간까지도 남녀 구분 없이 전리품으로 취급되었다. 애초에 전리품으로서 격하된 사람이 노예라는 신분의 근원이기도 하다. 사실 승자가 패자에게서 뜯어갈 수 있는 모든 것이 전리품이라고 보면 된다. 넓게 보면 한 나라의 땅은 물론 주권, 정치적으로 유리한 결과까지 모두 포함되며, 이렇게 보면 모든 전쟁은 전리품을 위해서이다.

약탈로 얻는 귀중품으로 한정해서 보면, 고대의 전쟁에서 전리품은 병사들의 주된 동기로 작용했다. 고대 국가들로써는 군인들에게 활동비 이상의 봉급을 넉넉히 주는 것이 어려웠고, 봉급이 상당하더라도 괜히 남의 나라에 쳐들어가 목숨 걸고 싸울 동기는 되기 어렵다. 그렇기에 침략을 위해 모병을 하는 측은 ‘전쟁에 나서 공을 세우면 신분이 상승하고, 보물을 얻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선전했다. 허망한 사탕발림 같지만 전쟁이 흔했던 제국들은 실제로 전쟁으로 한몫 잡아 신세를 편 사람들의 수도 상당했고, 가난한 평민들이 부를 쌓을 가능성이라도 있는 몇 안되는 길이었다.

국가가 커지면서 상징보다는 자원이 전리품으로서 가치가 높아졌다.[1] 대표적으로 알자스-로렌 지방은 보유 자원량이 풍부한 지역이라 프랑스와 독일이 이길 때마다 전리품으로 챙겨갔다. 근대에 와서는 토지나 전쟁 보상금, 그리고 최혜국 대우 조항 같은 패배국에 매우 불리한 조약의 형태로 전리품이 변화하였다.

대개 전쟁에 기여도가 제일 높은 자나 전쟁의 주체가 된 국가가 가장 많은 양의 전리품을 차지하는 게 보통이며, 이를 분배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전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연합군이 보기 드문 독특한 물건이나 무기들을 전리품으로 챙기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루거 P08 권총은 장교전용+특이한 생김새 라는 메리트 때문에 눈에 불을 켜고 찾아다닌 군인들이 많았다고 한다. 남부권총 역시 그 특이한 생김새 때문에 '베이비 루거' 라는 별칭까지 붙히며 미군들이 많이 수거해갔고, 일본군의 군도 역시 주요 수집대상이었다.

함재묘도 전리품으로 여겨졌다. 함재묘는 선원들의 심리적 안정과 선내의 쥐 사냥 같은 역할을 해주며, 특히 짬이 찬 함재묘들의 쥐 사냥 가치는 무시할 수 없기에 물에 빠져 표류한 함재묘는 신경쓰지 못하거나 심하게 다쳐 가망없는 경우를 제외하면 무조건 챙겼다. 오스카나 샘이란 이름으로 불린 유명한 검은 고양이 함재묘가 대표적이다.

바다에서는 다른 배의 물품과 노예 등을 약탈하거나 배 자체는 노획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이런 것을 주업으로 삼은 존재들이 바로 해적.

고대 로마의 가장 영예로운 무공 훈장으로 꼽히는 스폴리아 오피마 역시 전리품이다. 이름 그대로 '가장 빛나는 전리품'이라는 뜻이다.
[1] 종교의 위상과 연관이 깊다. 신정국가에서 상징물의 가치는 그 국가의 존립기반마저 흔들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