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자물리학 Particle Physic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83100c> 기반 | 양자역학 · 상대성 이론 · 통계역학 · 전자기학 · 고전역학 | |
이론 | <colbgcolor=#83100c> 체계 | 양자장론( 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 양자색역학 · 초끈이론( M이론 · F이론) · 등각장론 · 통일장 이론 · 모든것의 이론 | |
형식 |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전파인자 · 산란행렬 · 경로적분( 응용 · 고리 적분)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 조절 · 재규격화군) · 위상 공간( SU(3)) · 대칭성( 초대칭 · CP 대칭 깨짐) · 섭동( 다이슨 급수) | ||
실험 | 기구 | 입자가속기( 사이클로트론 · 싱크로트론 · 테바트론 · SLAC · ILC · LHC) · 카미오칸데 · LIGO · 입자검출기( ATLAS · CMS · ALICE · LHCb) | |
모형 | 기본 입자{ 페르미온( 쿼크) · 보손 · ( 둘러보기)} · 강입자( 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암흑물질 · 인플라톤 | ||
연관 학문 | 천체물리학( 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 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
현상 · 응용 | 기본 상호작용( 둘러보기) · 양자진공(진공기댓값) · 플랑크 단위계( 플랑크 질량 · 플랑크 길이 · 플랑크 시간 · 플랑크 온도) ·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방사선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블랙홀 정보 역설 | ||
기타 |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군론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물질 · ( 반감기) · 대수위상학 · 대수기하학 · 교재 | }}}}}}}}} |
1. 개요
Spontaneous Symmetry Breaking대칭이 있으나, 그 특정한 기저 상태는 대칭을 보이지 않는 현상.
2. 상세
2.1. 쉬운 설명
모든 방향에서 대칭인 언덕 위에 있는 공은, 모든 방향에 대해 동등하므로 대칭이다. 그러나 이 상태는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힘이 가해지면 곧 공은 떨어지게 되고, 대칭이 깨진다. 즉 바닥 상태는 대칭이 아니게 된다. 출처2.2. 엄밀한 설명
주로 양자장론을 도입한 응집물리에서, 해밀토니안에 있는 대칭성이 그 기저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을 일컫는다. 처음에는 응집물리 이론에서 도입되었지만, 이걸 입자물리학에서 가져다 써서 나온 게 힉스 메카니즘. 많은 상전이현상도 이와 연관이 깊다.사실 해밀토니안만 열심히 들여다 보면, 자발적인 대칭성 깨짐이 일어날 이유가 없다. 어떤 대칭성을 가지는 해밀토니안은 역시나 대칭성을 가지는 기저상태를 찾을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이런 상태들은 결국 외부에서 뭔가 small perturbation이 가해져서 해밀토니안이 조금만 바뀌더라도 기저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래서 실제로 자연에서 보는 것은 대칭성이 깨진 기저상태라는 것. 일종의 결풀림, 결어긋남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현상을 이해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특정한 order parameter(예를 들어 Off Diagonal Long Range Order)를 통해 이해하는 방법, 또는 비 평형적 초기상태를 통해 일종의 Kibble-Zurek 메카니즘으로 이해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가 있다.
3. 예제
1차원 스핀 1/2 양자 Ising 모델을 생각해 보자.[math(\displaystyle \mathcal{H} =- \sum_{<i,j>} \sigma_z^{(i)} \sigma_z^{(j)} )]
[math(\displaystyle \sigma_z^{(i)})]는 i번째 스핀의 파울리 z 연산자, [math(\displaystyle \sum_{<i,j>})]는 가장 가까운 스핀에 대한 합을 나타낸다. 이 해밀토니안의 기저 상태는 [math(|\downarrow...\downarrow \rangle)]과 [math(|\uparrow...\uparrow \rangle)] 두 개이다. 해밀토니안은 z축을 반전시키는 연산에 대해 대칭성을 가진다. 즉, [math(\sigma_z \rightarrow -\sigma_z)]변환을 해도 그대로이다. 하지만 기저상태는 이 변환에 의해 [math(|\downarrow...\downarrow \rangle)] 가 [math(|\uparrow...\uparrow \rangle)]로 바뀐다. 따라서 대칭성을 가지는 기저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두 기저상태를 더해서 [math(|\downarrow...\downarrow \rangle+|\uparrow...\uparrow \rangle)] 이런 상태를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자연에서 실제 자석같은 건 이렇게 존재하지 않고, 두 기저상태 중 하나만 선택하게 된다. 이를 자발적 대칭성 깨짐을 통해 이해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