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日東壯遊歌김인겸(金仁謙)이 1763년(영조 39년)에 일본 통신사로 갔을 때 지은 시다. 연행가와 함께 대표적인 기행 가사로 꼽히며 일본의 문물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는 한편, 일본인에 대한 적대감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또한, 한문이 아닌 국문본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2019년, 2024년 두 차례 출제된 바 있다.
일동장유가 원본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본, 가람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등이 있으나 가람본이 가장 많이 영인, 보급되어 있는 상태다.
2. 내용
이십칠 일 사상(使相)들이 관소(館所)에 잠깐 내려
숙공(宿供)[1] 받고 잠깐 쉬어 저물도록 행선(行船)하여
정포(淀浦)[2]로 올라오니, 여염도 즐비하며
물가에 성을 쌓고 경개(景槪)가 기이하다.
물속에 수기(水機) 놓아 강물을 자아다가
홈으로 인수(引水)하여 성안으로 들어가니,
제작(製作)이 기묘하여 법 받음직 하고나야.
그 수기(水機) 자세히 보니 물레를 만들어서
좌우에 박은 살이 각각 스물여덟이오,
살마다 끝에다가 널 하나씩 가로 매어
물속에 세웠으니 강물이 널을 밀면
물레가 절로 도니 살 끝에 작은 통을
노끈으로 매었으니 그 통이 물을 떠서
돌아갈 때 올라가면 통 아래 말뚝 박아
공중에 나무 매어 말뚝이 걸리면
그 물이 쏟아져서 홈 속으로 드는구나.
물레가 빙빙 도니 빈 통이 내려와서
또 떠서 순환(循環)하여 주야로 불식(不息)하니,
인력(人力)을 아니 들게 하여 성가퀴 높은 위에
물이 절로 넘어가서 온 성안 거민(居民)들이
이 물을 받아 먹어 부족들 아니 하니,
진실로 기특하고 묘함도 묘할시고.
지명은 하내주(河內州)[3]요 사십 리 와 있구나.
이십팔 일 발행(發行)할 새 수백 필 금안준마(金鞍駿馬)
중하관(中下官)을 다 태우니 기구(器具)도 장할시고.
각 방 노자(奴子)들도 호사(豪奢)가 참람(僭濫)하다.
좌우에 쌍견마(雙肩馬)요, 한 놈은 우산 받고
두 놈은 부축하고 담배 기구 한 놈 들고
한 놈은 등불 들고 한 놈은 그릇 메어,
한 사람이 거느린 수 여덟씩 들었구나.
나하고 삼문사(三文士)도 가마 타고 먼저 가니,
금안(金鞍)진 재고[4] 큰 말 거듭말로 앞에 섰다.
여염도 왕왕 있고 흔할손 죽전(竹田)이다.
토지가 고유(膏)하여 전답(田畓)이 매우 좋이.
이십 리 실상사(實相寺)가 삼사상(三使相) 조복(朝服)할 제,
나는 내리잖고 왜성(倭城)으로 바로 가니,
인민(人民)이 부려(富麗)하기 대판(大阪)[5]만은 못하여도,
서에서 동에 가기 삼십 리라 하는구나.
관사(館舍)는 본국사[6]요 오층 문루(門樓) 위에
여남은 구리 기둥 운소에 닿았구나.
수석(水石)도 기절(奇絶)하고 죽수(竹樹)도 유취(幽趣) 있네.
왜황(倭皇)이 사는 데라 사치(奢侈)가 측량없다.
산형(山形)이 웅장하고 수세(水勢)도 환포(環抱)하여
옥야천리(沃野千里) 생겼으니, 아깝고 애달플손
이리 좋은 천부(天賦) 금탕(金湯) 왜놈의 기물(器物) 되어,
칭제(稱帝) 칭황(稱皇)하고 전자(傳子) 전손(傳孫)하니,
개돼지 같은 비린 유(類)를 모두 다[7] 소탕(掃蕩)하고,
사천 리 육십 주를 조선(朝鮮) 땅 만들어서,
왕화(王化)에 목욕(沐浴) 감겨 예의국(禮儀國) 만들고져.
숙공(宿供)[1] 받고 잠깐 쉬어 저물도록 행선(行船)하여
정포(淀浦)[2]로 올라오니, 여염도 즐비하며
물가에 성을 쌓고 경개(景槪)가 기이하다.
물속에 수기(水機) 놓아 강물을 자아다가
홈으로 인수(引水)하여 성안으로 들어가니,
제작(製作)이 기묘하여 법 받음직 하고나야.
그 수기(水機) 자세히 보니 물레를 만들어서
좌우에 박은 살이 각각 스물여덟이오,
살마다 끝에다가 널 하나씩 가로 매어
물속에 세웠으니 강물이 널을 밀면
물레가 절로 도니 살 끝에 작은 통을
노끈으로 매었으니 그 통이 물을 떠서
돌아갈 때 올라가면 통 아래 말뚝 박아
공중에 나무 매어 말뚝이 걸리면
그 물이 쏟아져서 홈 속으로 드는구나.
물레가 빙빙 도니 빈 통이 내려와서
또 떠서 순환(循環)하여 주야로 불식(不息)하니,
인력(人力)을 아니 들게 하여 성가퀴 높은 위에
물이 절로 넘어가서 온 성안 거민(居民)들이
이 물을 받아 먹어 부족들 아니 하니,
진실로 기특하고 묘함도 묘할시고.
지명은 하내주(河內州)[3]요 사십 리 와 있구나.
이십팔 일 발행(發行)할 새 수백 필 금안준마(金鞍駿馬)
중하관(中下官)을 다 태우니 기구(器具)도 장할시고.
각 방 노자(奴子)들도 호사(豪奢)가 참람(僭濫)하다.
좌우에 쌍견마(雙肩馬)요, 한 놈은 우산 받고
두 놈은 부축하고 담배 기구 한 놈 들고
한 놈은 등불 들고 한 놈은 그릇 메어,
한 사람이 거느린 수 여덟씩 들었구나.
나하고 삼문사(三文士)도 가마 타고 먼저 가니,
금안(金鞍)진 재고[4] 큰 말 거듭말로 앞에 섰다.
여염도 왕왕 있고 흔할손 죽전(竹田)이다.
토지가 고유(膏)하여 전답(田畓)이 매우 좋이.
이십 리 실상사(實相寺)가 삼사상(三使相) 조복(朝服)할 제,
나는 내리잖고 왜성(倭城)으로 바로 가니,
인민(人民)이 부려(富麗)하기 대판(大阪)[5]만은 못하여도,
서에서 동에 가기 삼십 리라 하는구나.
관사(館舍)는 본국사[6]요 오층 문루(門樓) 위에
여남은 구리 기둥 운소에 닿았구나.
수석(水石)도 기절(奇絶)하고 죽수(竹樹)도 유취(幽趣) 있네.
왜황(倭皇)이 사는 데라 사치(奢侈)가 측량없다.
산형(山形)이 웅장하고 수세(水勢)도 환포(環抱)하여
옥야천리(沃野千里) 생겼으니, 아깝고 애달플손
이리 좋은 천부(天賦) 금탕(金湯) 왜놈의 기물(器物) 되어,
칭제(稱帝) 칭황(稱皇)하고 전자(傳子) 전손(傳孫)하니,
개돼지 같은 비린 유(類)를 모두 다[7] 소탕(掃蕩)하고,
사천 리 육십 주를 조선(朝鮮) 땅 만들어서,
왕화(王化)에 목욕(沐浴) 감겨 예의국(禮儀國) 만들고져.
일동장유가에서 가장 유명한 부분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를
이 부분은 왜황(倭皇)이 사는 데라 사치(奢侈)가 측량없다. 라는 시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천황이 살고 있었던 교토에서 화자가 본 것들을 서술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을 살펴보면 화자가 간 경로에 있는 율령국들의 이름이 나온다. 본작에서는 율령국의 이름 뒤에 州를 붙여 나타냈다.
3. 여담
당대 문헌이 대체로 그렇듯 일본 지명을 일본어 그대로 옮겨적지 않고, 그 한자를 한국어식 독음대로 표기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사카(大阪)를 '대판' 이라 적었다.[8]2000년대부터 일부 왜곡된 번역이 인조이재팬 등을 통해 일본에도 퍼져 '조선이 일본보다 열등했다'는 증거랍시고 활용되고 있다. 요컨대 고평가와 사치 비판을 찬양으로 조작하고, 어투를 천박하게 의역해 열폭으로 둔갑시키고, 하지 않은 발언을 추가했다. # 인조이재팬 이후의 한일 번역사이트들을 보면 한 번쯤은 일동장유가를 인용하는 넷우익의 게시글을 볼 수 있다. 물론 현대의 관점에서 약 150여년 뒤 조선이 어떻게 되는지 생각해본다면 조금 아이러니할 수는 있으나, 이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를 고려하면 조선이 일본보다 열등하다는 결론은 당연히 무리가 있다. 조선 특유의 사치 배격 문화와 한세기 전 임진왜란으로 인한 적개심을 고려하지 않은 해석이란 점에서 질 나쁜 선동이라 볼 수 있다.
[1]
사신에게 제공하는 저녁식사를 말한다.
[2]
요도우라. 현재의
교토부에 있었던 옛 포구. 가람본 원문에는 '쳥포'로 되어 있는데 해당 지명은 확인되지 않아 '졍포'의 오기인 것으로 보인다. 조선으로 돌아갈 때는 '졍포'라고 잘 표기되어 있다.
[3]
가와치국. 지금의
오사카부에 있던 일본의 옛 지명이다.
[4]
빠르고
[5]
오사카를 가리킨다.
[6]
혼코쿠지를 말한다. 원문에는 봉등사라 되어 있으나 교차 검증하였을 때, 이는 본국사의 오기이다.
[7]
원문에는 "다몰쇽"이라 되어 있는데, 이는 '몽땅 다'를 의미하며 몰속(沒屬)의 뜻은 아니다. 일동장유가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8]
도착한 도시나 마을마다 '여기는 우리가 ~(이)라고 부르는 곳인데 왜음(倭音)으로는 ~(이)라 부른다' 라고
꼬박꼬박 기록한
남용익이 특이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