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15:20:57

인디애나 페이서스

페이서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1f4387><tablealign=center><tablebgcolor=#1f4387>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D1D1D,#e2e2e2
파일:NBA 동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동부
애틀랜틱 파일:보스턴 셀틱스 심볼.svg 파일:뉴욕 닉스 심볼.svg 파일: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로고.svg 파일:브루클린 네츠 심볼.svg 파일:xRXyfP6.png
센트럴 파일:Detroit_pistons-alternate-2018.png 파일:시카고 불스 심볼.svg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심볼.svg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 파일:CLE_alternate_2018.png
사우스이스트 파일:애틀랜타 호크스 심볼.svg 파일:09GUcRU.png 파일:마이애미 히트 심볼.svg 파일:CHA_Alt_Emblem.png 파일:DFadyMR.png
파일:NBA 서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서부
사우스웨스트 파일:ucgAHim.gif 파일:XyABh6f.png 파일:external/s20.postimg.org/LVYc_Su8.png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심볼.svg 파일:iirbLL9.png
노스웨스트 파일:Denver_Nuggets_alternate.png 파일:POR_Alt_Symbol.png 파일:Utah_Jazz_Alternate_Logo_2022.png 파일:external/s20.postimg.org/NBA_MIN_alt_logo.png 파일:Vno8rmI.png
퍼시픽 파일:external/oi64.tinypic.com/34694b8.png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심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심볼.svg 파일:LA 클리퍼스 로고 2024.png 파일:PHX_Alternate_Logo.png
}}}}}}}}}}}} ||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colbgcolor=#002d62><colcolor=#fff> 인디애나 페이서스
Indiana Pacers
창단 1967년([age(1967-01-01)]주년)[1]
NBA 가입 1976년([age(1976-01-01)]주년)[2]
연고지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컨퍼런스 서부 컨퍼런스 (1976~1979)
동부 컨퍼런스 (1979~)
디비전 미드웨스트 디비전 (1976~1979)
센트럴 디비전 (1979~)
연고지 변천 인디애나폴리스 (1967~)
구단명 변천 인디애나 페이서스 (1967~)
홈 경기장 인디애나 주립 경기장 (Indiana State Fairgrounds Coliseum, 1967~1974)
마켓 스퀘어 아레나 (Market Square Arena, 1974~1999)
게인브릿지 필드하우스 (Gainbridge Fieldhouse, 1999~)
저지 스폰서 없음
구단주 허버트 사이먼 (Herbert Simon)
사장 케빈 프리처드 (Kevin Pritchard)
단장 채드 뷰캐넌 (Chad Buchanan)
감독 릭 칼라일 (Rick Carlisle)
G 리그 제휴 인디애나 매드앤츠 (Indiana Mad Ants)
로컬 경기 중계 Bally Sports Indiana
약칭 IND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심볼.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컨퍼런스 우승
(1회)
2000
디비전 우승
(7회)
1995, 1999, 2000, 2004, 2013, 2014, 2024
ABA 파이널 우승
(3회 / 최다 우승)
1970, 1972, 1973
ABA 디비전 우승
(3회)
1969, 1970, 1971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 .744 - (2003-04시즌, 82경기 61승 21패)
최저 승률 .244 - (1982-83시즌, 82경기 20승 62패)
최다 승 61승 - (2003-04시즌, 82경기 61승 21패)
최다 패 62패 - (1982-83시즌, 82경기 20승 62패)
최고 계약 $205,900,000 - 2023년 타이리스 할리버튼
팀 컬러 /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네이비 블루 금색 회색
유니폼
파일:20180303_002506.jpg
파일:20180303_002456.jpg
파일:20180303_002441.jpg
파일:myles-turner-city-edition-swingman-jersey-indiana-pacers-mens-nba-connected-jersey.jpg
<rowcolor=#fdbb30> Association Icon Statement City
}}}}}}}}}}}} ||

1. 개요2. 역사3. 영구결번4. 역대 성적5. 여담6. 현재 선수단7. G 리그 산하팀8.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NBA의 프로 농구팀. 동부 컨퍼런스 센트럴 디비전 소속. 연고지는 인디애나폴리스.

한국 팬들에게는 레지 밀러의 팀으로 가장 잘 알려진 팀이다. ABA의 강호였던 팀[3]으로 ABA 해산후 NBA에 편입되었으나, 2016시즌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우승으로 인해 센트럴 디비전 소속 5개 팀 중 유일하게 NBA 파이널 우승이 없는 팀이 되었다.

연고지는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팀명인 페이서스는 자동차 레이스의 유도 차량인 페이스 카에서 따온 것이다. 인디애나 주는 농구의 주이기도 하지만 주의 또 다른 명물인 ' 인디애나폴리스 500마일 레이스'가 있기 때문.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가 있어서 미국 모터 스포츠의 성지로 알려진 곳이다. 페이스 카가 출동한 상황에서는 1등부터 꼴등까지 페이스 카의 뒤를 따라다니게 되므로, 마치 페이스 카가 1등인 모양새이다. 페이스 카처럼 페이서스가 NBA의 선두가 되라는 의미이다.

스몰마켓이고 작은 인디애나 주라 한국팬들은 실감하기 힘든 부분이지만 인디애나는 전통적으로 농구가 굉장히 인기가 많은 지방이다[4]. 고교부터 프로, 대학 할것 없이 인디애나 연고팀들은 홈팬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응원 뿐 아니라 그냥 사람들이 대부분 농구를 좋아한다.[5] 오죽하면 주의 상징인 insignia 중 하나로 상징색, 시 등과 함께 당당히 농구가 이름을 올리고 있을 정도. 사실 좀 서글픈 사연이 있는데 촌 지역이 많아 오락거리가 없다보니 특히 80년대나 그 이전에 여기서 자란 아이들 중 대부분은 하루종일 슛쏘면서 놀았다고 한다. 이런식으로 실력을 키운게 바로 인디애나가 배출한 역대 최고의 선수인 래리 버드. 다만 버드 정도를 제외하고 인디애나 출신 슈퍼스타는 그리 많지 않다.[6] 2013년 기준으로 인구 대비 가장 많은 NBA선수를 배출한 주였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디애나 페이서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영구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2d62>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인디애나 페이서스
영구 결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ccac00> No. 30 No. 31 No. 34 No. 35 No. 529
<rowcolor=#002d62> 조지 맥기니스
(George McGinnis)
레지 밀러
(Reggie Miller)
멜 대니얼스
(Mel Daniels)
로저 브라운
(Roger Brown)
바비 레오너드
(Bobby Leonard)
}}}}}}}}} ||

  • 6. 빌 러셀 (Bill Russell): 전 구단 영구결번
  • 30. 조지 맥기니스 (George McGinnis): 1950년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태어나 인디애나 대학교를 나온 홈타운 보이로, ABA NBA 시절 페이서스에서 19.6득점, 10.7 리바운드, 3.3 어시스트, 1.8 스틸, 46.2%의 야투율을 기록한 포워드이다. 2차레의 ABA 챔피언이자 1973년도 ABA 플레이오프 MVP, 1975년도 ABA MVP, 3차례 ABA 올스타, 2차례 All-ABA 퍼스트 팀, ABA All-Rookie 퍼스트 팀, ABA 올타임 팀에 선정된 선수이다. 트레이시 맥그레이디 등과 함께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2017년 입회했다. 2023년 12월 14일 향년 73세로 별세했다.
  • 31. 레지 밀러 (Reggie Miller): 인디애나 페이서스 최고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상징 그 자체인 선수다.[7] 1839게임을 페이서스 소속으로 뛰면서 18.2 득점, 3 리바운드, 3 어시스트, 47.1%의 야투율로 마이클 조던의 역대 최고의 팀으로 뽑히는 당시의 시카고 불스 등의 대항마로서의 인디애나를 이끌었다. 농구계의 최초의 3점슛 스타로, 5차례 NBA 올스타, 3차례 ALL-NBA 써드 팀에 선정되었고 50-40-90 클럽에도 속해있다. 18년 동안 인디애나의 골드&블루 유니폼만을 입어온 원클럽맨으로 한 프랜차이즈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선수 TOP 5에도 든다. 18시즌 동안 승률이 5할 이하인 루징 시즌이 단 네 차례이며 플레이오프를 딱 한 번 놓쳤다. 은퇴 당시에는 레지 밀러의 2560개가 NBA 역대 3점슛 개수 순위이나, 현재는 13개 더 많은 레이 앨런 다음인 3위이다. 2012년 명예의 전당에 들어갔으며, 비록 우승은 없으나 팀을 상징했던, 그리고 팀의 유일한 동부 컨퍼런스 우승도 이끈 상징이다.
  • 34. 멜 다니엘스 (Mel Daniels): 1944년 미시건 주 인디애나 출신으로, 뉴멕시코 대학교를 나와 ABA 시절 페이서스에서 6 시즌을 보내며 470게임에 출전하여 19.4점, 16 리바운드, 1.9 어시스트, 1.6 블락,48.3%의 야투율을 기록하였다. 3차례 ABA 우승을 하였으며 2회의 ABA MVP, 7회의 ABA 올스타, 1969년 ABA 올스타전 MVP, 1968 ABA 신인상, 5회의 All-ABA 팀 선정, ABA 올타임 팀 선정, ABA All-Rookie First Team 선정 등의 업적이 있다. 다섯 차례의 ABA 파이널 진출 및 세 차례의 우승의 주역이었으며, 그의 9528 리바운드는 ABA 역사상 최대이다. 페이서스 후배이자 상징인 레지 밀러와 함께 2012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들어갔다. 2015년 10월 30일 향년 71세로 별세했다.
  • 35. 로저 브라운 (Roger Brown): 1942년 뉴욕주 뉴욕시 브루클린 출생으로, 조지 W. 윈게이트 고등학교를 나왔다. 1967년 페이서스와 계약한 프랜차이즈 최초의 선수이자 7 시즌 동안 559게임에 출전하며 18득점, 6 리바운드, 4.5 어시스트와 47.1%의 야투율을 기록하였다. 3회의 ABA 우승, 1970년 ABA 플레이오프 MVP, 4차례의 ABA 올스타 선정, 3차례의 ALL-ABA 팀 선정과 ABA 올타임 팀 선정 등의 경력이 있다. 2013년에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선정되었다.
  • 529. 바비 레너드 (Bobby Leonard): 페이서스의 ABA 시절 세 번의 우승을 이끈 감독이다. 별명은 'Slick'이며 1932년 인디애나 주 테레호테에서 태어나 인디애나대를 나온 향토 농구인. 1956년부터 63년까지 미네소타 및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와 시카고 패커스/제프리스에서 활약하였다. 이후 1968년부터 1980년까지 12년 동안 페이서스의 코치로 지냈으며 ABA 정규 시즌 387승 270패 (승률 6할8푼2리)와 플레이오프 69승 47패 (승률 5할9푼5리)를 기록하였으며, 구단의 NBA 참여 이후에는 네 시즌 동안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며 186승 264패 (승률 4할1푼3리)를 기록하였다. 팀의 역대 최고 전성기를 이끈 레너드 감독을 기념하고자 그의 총 승리 횟수인 529가 영구결번되었으며, 2014년에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2021년 4월 13일 작고( 참고).

ABA 시절 최강팀 중 하나였던 페이서스답게 영구결번 대상자 중 레지 밀러를 제외하고는 전부 페이서스의 ABA 시절 우승에 일조한 선수 및 감독이며, 이들 중 2명은 인디애나 주 출신이다.

4. 역대 성적

­ 우승
­ 준우승
­ 플레이오프 진출
플레이오프 탈락
연도[8] 정규시즌 순위[9]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팀이름 경기수 승률
1976-77 5위/6팀 탈락 동부 컨퍼런스 인디애나 페이서스 82 46 36 .439
1977-78 6위/6팀 탈락 82 31 51 .378
1978-79 4위/5팀 탈락 82 38 44 .463
1979-80 4위/6팀 탈락 82 37 45 .451
1980-81 3위/6팀 1라운드 진출 82 44 38 .537
1981-82 4위/6팀 탈락 82 35 47 .427
1982-83 6위/6팀 탈락 82 20 62 .244
1983-84 6위/6팀 탈락 82 26 56 .317
1984-85 6위/6팀 탈락 82 22 60 .268
1985-86 6위/6팀 탈락 82 26 56 .317
1986-87 4위/6팀 1라운드 진출 82 41 41 .500
1987-88 6위/6팀 탈락 82 38 44 .463
1988-89 6위/6팀 탈락 82 28 54 .341
1989-90 5위/7팀 1라운드 진출 82 42 40 .512
1990-91 5위/7팀 1라운드 진출 82 41 41 .500
1991-92 4위/7팀 1라운드 진출 82 40 42 .488
1992-93 5위/7팀 1라운드 진출 82 41 41 .500
1993-94 3위/7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47 35 .573
1994-95 1위/7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2 30 .634
1995-96 2위/8팀 1라운드 진출 82 52 30 .634
1996-97 6위/8팀 탈락 82 39 43 .476
1997-98 2위/8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8 24 .707
1998-99 1위/8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50 33 17 .660
1999-00 1위/8팀 준우승 82 56 26 .683
2000-01 4위/8팀 1라운드 진출 82 41 41 .500
2001-02 4위/8팀 1라운드 진출 82 42 40 .512
2002-03 2위/8팀 1라운드 진출 82 48 34 .585
2003-04 1위/8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61 21 .744
2004-05 3위/5팀 2라운드 진출 82 44 38 .537
2005-06 3위/5팀 1라운드 진출 82 41 41 .500
2006-07 4위/5팀 탈락 82 35 47 .427
2007-08 3위/5팀 탈락 82 36 46 .439
2008-09 4위/5팀 탈락 82 36 46 .439
2009-10 4위/5팀 탈락 82 32 50 .390
2010-11 2위/5팀 1라운드 진출 82 37 45 .451
2011-12 2위/5팀 2라운드 진출 66 42 24 .636
2012-13 1위/5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49 32 .605
2013-14 1위/5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6 26 .683
2014-15 4위/5팀 탈락 82 38 44 .463
2015-16 7위/15팀 1라운드 진출 82 45 37 .549
2016-17 7위/15팀 1라운드 진출 82 42 40 .512
2017-18 5위/15팀 1라운드 진출 82 48 34 .585
2018-19 5위/15팀 1라운드 진출 82 48 34 .585
2019-20 4위/15팀 1라운드 진출 73 45 28 .616
2020-21 9위/15팀 플레이 인 토너먼트 진출[10] 72 34 38 .472
2021-22 13위/15팀 탈락 82 25 57 .305
<rowcolor=#373a3c> NBA 통산 46시즌 V0 3704 1848 1856 .499

5. 여담

  • NBA 팀 중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여자 선수를 영입해 본 팀인데, 1979년에 UCLA 출신 앤 메이어스[11]와 1년 계약을 맺었다가 루키 캠프에서 사흘 만에 퇴출됐다.

6. 현재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d62><tablebgcolor=#002d62>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인디애나 페이서스
2023-24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2d62,#ddd
<colbgcolor=#002d62><colcolor=#fff> 감독 릭 칼라일
코치 그레그 포스터 · 케일럽 캐널스 · 타일러 마시 · 칼버트 치니 · 짐 보일런
가드 0 타이리스 할리버튼 · 2 앤드류 넴하드 · 9 T.J. 맥코넬 · 21 아이재아 웡TW · 26 벤 셰퍼드 · 29 퀸튼 잭슨TW
가드-포워드 00 베네딕트 매서린 파일:부상 아이콘.svg · 10 켄달 브라운 · 23 에런 네스미스
포워드 1 오비 토핀 · 5 제러스 워커 · 16 제임스 존슨 · 20 덕 맥더맷 · 22 아이재아 잭슨
포워드-센터 25 제일런 스미스 · 33 마일스 터너 · 43 파스칼 시아캄
센터 44 오스카 치브웨TW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7. G 리그 산하팀

파일:Indiana_Mad_Ants_logo.svg.png
<colbgcolor=#002d62><colcolor=#fff> 인디애나 매드앤츠
Indiana Mad Ants
창단 2007년([age(2007-01-01)]주년)
연고지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구단명 변천 포트웨인 매드앤츠 (2007~2023)
인디애나 매드앤츠 (2023~)
홈구장 노블스빌 이벤트 센터
소유주 인디애나 페이서스
감독 톰 행킨스 (2020~)
NBA 제휴 인디애나 페이서스
리그 우승 1회 (2014)
컨퍼런스 우승 2회 (2014, 2015)
디비전 우승 2회 (2014, 2018)

8.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D1D1D,#e2e2e2
파일:Denver_nuggets_2019.png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파일:브루클린 네츠 로고.svg 파일:385px-San_Antonio_Spurs.svg.png
덴버 너기츠 인디애나 페이서스 브루클린 네츠* 샌안토니오 스퍼스
* 합류 당시에는 뉴욕 네츠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tablebordercolor=#00075d><tablewidth=320><tablebgcolor=#00075d>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NBA WNBA
파일:인디애나폴리스 콜츠 로고.svg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 파일:인디애나피버.png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인디애나 페이서스 인디애나 피버
}}}}}}}}} ||



[1] ABA 출범함. [2] ABA NBA에 합쳐지면서 연고지 유지 조건을 충족한 덴버 너게츠, 샌안토니오 스퍼스, 당시의 뉴욕 네츠 (이후 뉴저지 및 브루클린 네츠와 함께 가입함. [3] 총 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팀이다. [4] 당장 블루밍턴 소재의 인디애나 대학교가 전국 토너먼트 5회 우승에 빛나며 아이제아 토마스 빅터 올라디포 등을 배출한 농구 명문으로 이름 날리던 학교였다. 여기에 퍼듀 대학교는 조 배리 캐롤과 글렌 로빈슨, 노터데임 대학교는 오스틴 카와 빌 레임비어 등을 각각 배출할 정도로 대학 농구계에서는 알아주는 강호였다. 여기에 미국 영화로 명작으로 꼽히는 'The Hoosiers' 역시 인디애나를 배경으로 한 농구 영화로 빼놓을 없다. [5] 뉴욕 출신이란 것에 엄청난 자부심이 있는 케니 스미스도 인정할 정도다. 뉴욕같은 도시들은 워낙 크고 인프라가 뛰어나 선수들이 몰려들어서 인재풀이 깊은거지만 인디애나는 그냥 주민들 자체가 농구는 깊이 사랑하는 문화가 있다. 여기엔 인디애나가 그리 발달한 지역이 아니란 것도 있는데, 한 마디로 놀게 없어서 가난한 아이들이 박스 하나 올려놓고 하루 종일 슛을 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래리 버드도 이런 케이스. 다만 지역 자체가 백인 인구가 많다보니 NBA 레벨에선 그리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가 없었다. 레지 밀러 항목에도 나오는 인디애나 출신 대학 스타 스티브 알포드 역시 운동능력의 한계에 부딪히며 프로에선 실패했다. [6] 팀 프랜차이즈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레지 밀러는 캘리포니아 주 리버사이드 출신이다. [7] 레지 밀러는 수많은 이적 제의를 거절한 뒤 "왕은 왕국을 버리지 않는다" 라는 명언을 남겼고, 은퇴할 때까지 인디애나 페이서스에서 활약하면서 영구결번까지 올라간다. [8] NBA 참가연도부터 기재. [9] 디비전 순위가 의미가 없어진 2015-16 시즌부터는 컨퍼런스 순위 기재. [10] 플레이 인 토너먼트는 정식 플레이오프에 포함되지 않는다. [11] 1955년 3월 26일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 출생. UCLA 재학 시절 미국 여자농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따는 데 기여했고, 1978년 여자 프로농구 리그인 WBL 드래프트에서 휴스턴 에인절스에 전체 1픽으로 지명되었으나 뉴저지 젬스에서 데뷔해 3년 동안 뛰었다. 은퇴 후 1997년 NBC 스포츠를 시초로 ESPN 등지에서 WNBA 중계 해설위원으로 활동했고, 2012년부터 6년 동안 피닉스 선즈 중계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또한 2007년부터 4년 동안 피닉스 머큐리 단장도 역임했다. 1993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 1999년 미국 여자농구 명예의 전당, 2007년 FIBA 농구 명예의 전당에 각각 헌액되었고, 야구선수 돈 드라이스데일의 둘째 부인이자 전 밀워키 벅스 선수 데이브 메이어스(1953~2015)의 여동생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