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9:45:07

인듀어런스급 수송상륙함

파일:싱가포르 인듀어런스급2.jpg
Endurance-Class Landing Platform Dock

1. 개요2. 제원3. 개발4. 상세5. 수출6. 파생형7. 동형함 목록8. 같이보기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인듀어런스급은 싱가포르 해군이 운용하는 주력 상륙수송선거함이다. 현재 4척이 싱가포르 해군에 취역하였으며, 1척이 추가로 건조되어 태국 해군에 수출되었다.

2. 제원

인듀어런스급 상륙수송선거함
Endurance-Class Landing Platform Dock
파일:싱가포르 인듀어런스급1.jpg
<colbgcolor=#eee> 함종 <colbgcolor=#FFF> LPD
이전급 인듀어런스급 전차상륙함 (LST-542급)
다음급 미정
기준배수량 6,000톤
만재배수량 8,500톤
전장 141m
전폭 21m
흘수선 5m
동력 <colbgcolor=#eee> 방식 CODAD
기관 루스톤&혼스비[1] 16RK270 디젤엔진 2기
(각 7,400SHP / 총 14,800SHP)
루스톤&혼스비 16RK215 디젤 발전기 4기
(각 1,173SHP / 총 4,692SHP)
추진 KaMeWa[2] 가변 피치 프로펠러 2기
속도 15노트 (28km/h) 이상
항속거리 15노트 순항시 9,300km
승무원 승조원 57명, 장교 8명
전투체계 불명
'''
레이더
'''
통합 IAI-엘타 EL/M-2238 STAR 다기능 S밴드 3차원 레이더 1기
- 최대 탐지거리: 350km
항법 켈빈 휴즈 1007형 I밴드 레이더 1기
사통장치 CS 디펜스 나지르 2000 광학 함포사격통제장치
대응장비 '''
디코이
'''
GEC-마르코니 쉴드 III 102mm 6연장 기만체 발사기 2문
'''
전자전
'''
라파엘 RAN-1101 레이더 재머
무장 함포 오토멜라라 슈퍼 래피드 76mm 62구경장 함포 1문
'''
CIWS
'''
SIMBAD-RC 2연장 발사기 2문
미스트랄 1 24발
'''
RCWS
'''
라파엘 Mk.38 Mod 2 타이푼 RCWS 2문
M242 부시마스터 25mm 87구경장 기관포
기타 STK 50MG 12.7mm 중기관총 4정
항공 시설 헬리콥터용 비행갑판
중형 헬리콥터 2대분 격납고
탑재 항공기 중형 헬기 2대 또는 대형 헬기 1대
AS332 M 슈퍼 푸마
AS532 AL 쿠거
CH-47SD 치누크
탑재 수상정 • 13m급 FCEU[3] 4척 (양현 대빗 크레인)
• 25m급 FCU[4] 2척 (웰덱 내 격납)
수송 능력 • 주력전차 18대, 장갑차 20대
• 병력 최대 500명 또는 화물 1,080톤 

3. 개발

1970년대 초, 싱가포르 해군은 미국 해군에서 퇴역한 LST-1급의 최후기형인 LST-542급 전차상륙함 6척을 임차하고 있었고, 1975년부터 1976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임차 함선을 구입하여 인듀어런스급이란 함급명을 붙여 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5척이 1986년 인도네시아 해군에 매각되었고 남은 1척(초대 RSS 인듀어런스 함)도 2000년까지 운용하다 퇴역하기로 일정이 잡혀서 그 대체함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신조 건함 계획이 1996년 8월에 발표되었고, STM[5]이 4척의 함선을 설계하고 건조하는 계약을 수주했다. STM은 미국의 헌팅턴 인걸스 인더스트리즈 (HII)와 합작하여 STEM 1400 설계안을 선보였고, 이것이 인듀어런스 140 설계안으로 발전했다. 초도함은 1997년 3월 27일 STM의 베노이 조선소에서 기공되었다.

4. 상세

인듀어런스급은 이전급인 LST-542 보다 40% 정도 더 크고 속도도 두 배 빠르다. 싱가포르 해군은 인듀어런스급을 LST로 분류하지만, 전통적 LST와 같은 해변 접안 능력이 부족하며, 웰덱과 비행갑판을 갖춘 함형이기에 외국에서는 항상 LST보다는 LPD로 분류하고 있다.

함수에 길이 16.8m, 너비 4.05m 크기의 60톤급 차량용 램프를 갖추고 있고, 함미측에는 너비 15.6m 높이 8m, 길이 7m급의 문이 갖춰져 66톤급 차량용 램프를 구성한다. 웰덱 (well deck)에는 최대 4척의 LCM을 격납할 수 있고, 양측 현측통로에는 25톤급 대빗(Davit) 크레인 2대, 22톤급 엘리베이터 2대가 방비되어있다.

인듀어런스급은 2000년대 초반 취역한 함선임에도 자동화에 중점을 두고 제작되었다. 통합 함교를 채택해 승조원들이 항해&통신 시스템, 전자해도 정보시스템(ECDIS[6]) 및 기타 필수 시스템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한편, 함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은 함상 장비들의 대부분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인듀어런스급에는 헬리콥터의 착함 및 고정을 돕고 착함한 헬기를 갑판에 체결하기 위한 자동화된 ASIST[7]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비들 덕에 경하 6,000톤급 함선에 최소 승무원 요구치가 65명이라는 높은 수준의 자동화를 자랑한다.

당초 설계상 바락 1 대공미사일용 8셀 VLS 2세트와 보포스 40mm 포 2문, SGE-30 골키퍼 CIWS 1문을 장착할 예정이었지만, 실제 건조에선 모두 생략되었다.

2000년대 말라카 해협에 창궐한 해적들을 소탕하기 위해 다연장로켓을 갑판 위에 올리고 해적 소굴인 무인도 앞으로 접근하여 로켓탄을 쏟아부은 전적이 있다.

5. 수출

2008년 11월 11일, STM과 태국 정부 간 2억 싱가포르 달러 규모의 계약이 체결되었다. 계약 내용은 인듀어런스급 한 척과 부대 상륙정의 건조 및 후속 군수지원이며, 태국 해군의 요구사항에 맞춰 C-Flex 전투 관리 시스템, 테르마-스캔터 4100 레이더 및 IFF를 포함하는 C-Search 레이더 제품군, C-Fire 사통장치를 장착했다.

2011년 3월 21일에 'HTMS 앙통'으로 명명되면서 STM의 베노이 조선소에서 진수, 2012년 4월 19일에 인도가 완료되었다.

6. 파생형

  • 인듀어런스-160
    현존 인듀어런스급 설계안인 인듀어런스-140의 대형화 형상으로, LPD가 아닌 산 조르지오급과 비슷한 LHD 함형으로 제안되었다. 2014년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처음 선보였다.
  • 인듀어런스-170
    파일:싱가포르 JMMS1.jpg
    인듀어런스-160 설계안의 추가 개발형으로, 수출용으로 현지 업체인 아부다비 조선(ADSB)와 손잡고 UAE 해군에 제안했지만, 마카사르급에 밀려 탈락했다.

    한편 싱가포르 해군이 2014년에 현재 운용중인 인듀어런스급 4척을 새 함급인 합동 JMMS[8]으로 교체할 계획을 발표했고, 제작사인 ST 해양은 확답하고 있지 않지만 이 설계안이 싱가포르제인 만큼 외국제 설계안들을 제치고 JMMS의 최종 형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설계안의 제원은 전장 170m, 전폭 30m, 흘수선 6m, 만재배수량 약 19,000톤으로, 휴우가급에 비해 선체는 조금 작지만 배수량은 비슷하다.

    탑재 장비로는 76mm 주포, 자함 방공미사일용 VLS, RIM-116 RAM CIWS, 그리고 최대 10대의 중형 헬리콥터를 수용 가능한 격납고와 중형핼기 5대 동시 착함이 가능한 항공갑판 등의 항공시설이 포함된다. 싱가포르 공군이 F-35B를 주문했고, F-35B의 최소 이륙 거리인 168m을 넘는 항공 갑판을 지녔으므로 실제로 건조된다면 경항공모함으로서 활동할 가능성이 높다.

7. 동형함 목록

싱가포르 해군
Republic of Singapore Navy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207
RSS 인듀어런스
RSS Endurance
기공일: 1997.3.27.
STM
현역
진수일: 1998.3.14.
취역일: 2000.3.18.
퇴역일: —
208
RSS 레졸루션
RSS Resolution
기공일: 1997.3.27.
진수일: 1998.8.1.
취역일: 2000.3.18.
퇴역일: —
209
RSS 퍼시스턴스
RSS Persistence
기공일: 1998년
진수일: 1999.3.18.
취역일: 2001.4.7.
퇴역일: —
210
RSS 엔데버
RSS Endeavour
기공일: 1998년
진수일: 2000.2.12.
취역일: 2001.4.7.
퇴역일: —
태국 왕립 해군
กองทัพเรือ | Royal Thai Navy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LPD-791
HTMS 앙통
HTMS Angthong
기공일: 2009년
STM
현역
진수일: 2011.3.21.
취역일: 2012.4.19.
퇴역일: —

8. 같이보기

9. 둘러보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현대 싱가포르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싱가포르 해군 (1967~현재)
Republic of Singapore Navy | Angkatan Laut Republik Singapura
<colbgcolor=#EE2536>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EE2536> '''
SSK
'''
인빈시블급 | 아처급 | 챌린저급
'''[[초계정|
초계정
]]'''
PB 센티넬급M | 피어리스급 | 스위프트급R | 인디펜던스급R(초대/1970) | 팡리마R
'''[[고속정|
고속정
]]'''
'''
FIC
'''
FIC 145급 | CCL급 | SMC 2형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시 울프급R
원양초계함 (OPV) {포츠담급}
[[초계함|'''
초계함
''']]
'''
PCG
'''
인디펜던스급(2대/2017) | 빅토리급
[[호위함|'''
호위함
''']]
'''
FFG
'''
{ MRCV 사업} | 포미더블급
'''[[상륙함|
상륙함
]]'''
'''[[LHD|
LHD
]]'''
{JMMS 사업}
'''[[상륙수송선거함|
LPD
]]'''
인듀어런스급(2대/2000)
'''[[전차상륙함|
LST
]]'''
프리저번스R | 케언 힐급R | 인듀어런스급R(초대/1971)
'''[[소해함|
소해함
]]'''
'''
MCMV
'''
베독급
'''
MSC
'''
주피터급R
'''
지원함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ASR)
''']]
스위프트 레스큐
※ 윗첨자R: 퇴역 함정
※윗첨자M: 개장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태국 해군 함수기.svg 현대 태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타이 왕립 해군 (1945~현재)
กองทัพเรือ | Royal Thai Navy
'''[[잠수함|
잠수함
]]'''
'''
SSK
'''
{ 마차누급(2대)} | 마차누급R(초대/1937)
강상 경비정 (PBR) R.51급 | R.41급 | R.31급 | R.21급 | R.3130급 | R.121급 | Mk.II급
구잠정 (PC) PC-461급R
어뢰정 (PT) 촌보리급R | 클롱야이급R
'''[[초계정|
초계정
]]'''
PB T.997급 | T.994급 | T.991급 | M58급 | M36급 | M21급 | 후아 힌급 | 촌부리급 | 사타힙급 | BMB-230급R | FPB-45급R | 사라싱급R
원양초계함(OPV) 크라비급 | 파타니급
<colbgcolor=#2D2A4A> '''[[초계함|
초계함
]]'''
<colbgcolor=#2D2A4A> '''
슬루프
'''
메클롱급R | 차오 프라야급R(초대/1922)
'''
PCE
'''
캄론신급 | 따삐급 | 방빠꽁급R
'''
PCG
'''
라따나꼬신급(2대/1986)
해방함 톤부리급R | 라따나꼬신급R(초대/1929)
'''[[호위함|
호위함
]]'''
PF 타친급R(2대/1951)
FF 차오 프라야급(2대/1995) | 풋타엿파쭐라록급R
'''
FFG
'''
푸미폰 아둔야뎃급 | 나레수안급
'''[[구축함|
구축함
]]'''
DD 프라 루앙급R
경항공모함 차크리 나루에벳
'''[[소해함|
소해함
]]'''
'''
MCS
'''
탈랑급
'''
MSC
'''
MSC-294급R | YMS-1급R
'''
MHC
'''
랏 야급 | 방 라짠급(2대/1987) | 포쌈톤급R | 방 라짠급R(초대/19938)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창급(2대/2023) | 앙통급(3대/2012)
'''[[전차상륙함|
LST
]]'''
시창급(2대/1987) | 앙통급R(2대/1947)
'''[[중형상륙함|
LSM
]]'''
LSM-1급R
'''[[상륙정|
상륙정
]]'''
'''
LCU
'''
마녹급 | 통까에오급
'''
LCT
'''
LCT Mk.6R
'''
LSSL
'''
LCS(L)(3)-1급R
'''
LCI
'''
LCI-351급R
'''
지원함
'''
'''
수송함 (AP)
'''
끌렛까에오급R | 출라급R(초대/1941) | 시창급R(초대/1938) | 앙통급R(초대/1918) | 창급R(초대/1902)
'''
급유함 (AOR)
'''
시밀란급
'''
해저 조사선 (AGOR)
'''
파루하사보디급 | 짠급 | 쏙급
지원정
YO (급유 바지)
마뜨라급 | 쁘릇급 | 출라급(2대/1980) | YOG-5급 | 쁘롱급 |
YTM/YTL (예인정)
빤이급 | 린급 | 사메산급 | 끌룽 바단급
훈련함 마꿋 라차쿠만 | 삔 끌라오급
※ 윗첨자R: 퇴역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Ruston&Hornsby [2] AB Karlstads Mekaniska Werkstad: 칼스타드 기계공학 주식회사 [3] Fast Craft Equipment & Utility: 고속 범용장비수송정 [4] Fast Craft Utility: 고속범용수송정 [5] Singapore Technologies Marine: ST 해양 [6]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7] Aircraft Ship Integrated Secure and Traverse: 항공기-함선 통합 체결 운송 시스템 [8] Joint Multi-Mission Ship: 합동 다목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