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23:36:48

이현숙(정치인)

<colbgcolor=#d6001c><colcolor=#fff> 제10대 전라북도의원
이현숙
李玄淑
출생 1964년 6월 19일 ([age(1966-06-19)]세)
학력 단국대학교 (섬유공학과 / 제적)
현직
소속 정당

도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10
약력 제10대 전라북도의원
민중당 전북도당 공동위원장
통합진보당 전북 익산시 지역 부위원장
여성노조 산하 지역아동센터 원장
여성노조 전북지역 초대 사무장
과천어린이집 원장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전북도의원으로 현 당적은 진보당이다.

2. 생애

1964년 6월 19일 출생으로 단국대학교 제적 후 익산에서 농민운동 및 진보정치활동을 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로 전라북도의회 비례대표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의정활동 도중 소속정당인 통합진보당이 헌법재판소에 의해 강제해산을 당하였고 선관위 결정에 따라 이현숙 의원을 비롯한 6명의 지방의회 비례의원도 등록 취소를 당하여 의원직을 잃게 되었다. #

이후 이의원을 비롯한 비례의원들은 “법률적 근거도 없이 진행한 이번 통보는 원칙적으로 무효일 뿐 아니라 불법행위"라고 주장하며 광주지방법원에 퇴직처분무효 소송을 제기하였고 # 법정공방끝에 소송에서 승소하여 2년여 만에 의원자격을 회복하였다.[1] # # 의원직 복귀이후 민중연합당 - 민중당소속으로 의정활동을 이어나갔다. #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중당 후보로 익산시 3선거구에 전북도의원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4위로 낙선하였다.

현재는 익산시에서 농업을 하며 전국여성농민회와 익산시 농민회 활동을 하고 있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건설국민승리21|
파일:건설국민승리21 글자.svg
]]
1997 - 1999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9 - 2000 정당 해산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11 창당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1 - 2014 합당[2]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4 - 2016 정당 해산


[[민중연합당|
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
2016 - 2017 입당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7 - 2020 합당[3]


2020 - 현재 당명 변경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의회 비례대표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71,184 (8.31%) 당선 (1번) 초선[4]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북 익산 3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3,635 (9.49%) 낙선 (4위)


[1] 통합진보당 소속 비례 지방의원들 중 가장 마지막으로 의원자격을 회복하였는데 선관위의 무리한 자격상실 처분으로 사실상 4년간의 의정활동 기간 중 절반을 소송으로 날린 셈이 되었다. [2] 국민참여당과 신설 합당. [3] 새민중정당과 신설 합당. [4] 2014. 12. 22 통합진보당 강제해산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2016. 11. 30 의원직 상실처분 무효판결로 의원직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