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8:32:11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음성 농어촌 버스에서 넘어옴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시내/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괴산군·증평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진천군·음성군 제천시 청주시 충주시
운수업체 목록
}}}}}}}}} ||

1. 개요

충청북도 진천군 음성군 농어촌버스를 다루는 문서.

최신 실시간 정보는 다음 링크들을 참고.[2]

2.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차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 진천군은 진천터미널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음성군은 음성읍 음성터미널보다 금왕읍 무극터미널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이 활성화되어 있다. 실제로 진천군, 음성군 농어촌버스 노선 대부분은 진천(진천읍)과 무극(금왕읍)을 잇는 큰 두개의 축(진천 - 이월, 광혜원, 대소, 삼성 - 무극/진천 - 덕산, 혁신, 맹동 - 무극)안에서 경유지와 종점에 변화를 주는 형식으로 이루어져있다. 음성터미널은 음성읍내 생활권인 음성읍, 원남면, 소이면 방면과 음성~무극 간 노선이 있다. 음성에서 진천으로 가려면 무극에서 갈아타야 한다.
  • 학생들의 등하교시간에는 대부분의 차량이 입석까지 채우며, 특히 터미널, 진천여중, 진천중 정류장이 심하다. 평시에도 장보러 왔다갔다 하시는 어르신들이 많아 농어촌버스 중에도 타 지역에 비해 승객이 많다. 진천군, 음성군이 군 치고 인구가 많은 편이긴 하다.[3]
  • BIS 구축으로 노선번호가 도입되었으나 후술하겠지만 노선번호가 500개 이상되고 무번호 노선 존재, 같은 노선이지만 시간대에 따라 노선번호가 달라지는 등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 진천군, 음성군 특성상 평지로 이루어져있고 시가지도 많기에[4] 타 군에 비해 버스 노선이 매우 많고 다양하다.

3.1. 요금

성인 청소년 어린이
교통카드 1400원 1100원 650원
현금 1500원 1200원 750원

2013년 12월 23일 음성군, 진천군 단일요금제 협약을 맺었으며 2014년 1월 15일 성인 기준 1150원에서 1300원으로 인상되었다. 2019년 9월 21일부로 충북 전체에 걸친 인상 조치로 인해 재차 성인 기준 1500원으로 인상되었다.

무료환승은 되지 않으며 차내에 하차단말기도 없다.[5]

711번은 청주시 시내버스 요금 기준을 적용받으며 진천여객 차량을 타도 청주 버스와 무료환승이 되나, 진천여객 차량을 탔더라도 711번과 진천군 농어촌버스 간 무료환승은 되지 않는다.

어딜 가든 단일요금제이지만 편도요금만 해당된다. 즉, 목적지인 C를 가고자할 때 A-B-C로 운행하는 노선이 B가 종점으로 설정된 노선이라면 추가요금을 내야할 수도 있다. 물론 현장에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추가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2024년 상반기 이후로 진천군민에 한해서 관내 버스를 무료화 예정이다. #

3.2. 버스정보시스템

파일:충북혁신도시버스터미널 앞 정류장.jpg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추진하여, 2020년 3월부터 버스정보시스템(BIS)이 충북혁신도시부터 보급되었다.

한때 노선번호체계가 잘 정리되어 있지 않았다가 2021년 연말에 다시 수정되었다.[6][7] 이와 별개로 비슷한 노선일지라도 경유지 차이에 따라 번호가 다른 경우가 굉장히 많다.

전국버스, 전국스마트버스 어플에서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 조회가 가능하다.[8]

전국스마트버스 앱에서도 8월 26일부터 조회가 가능하다. 전국버스앱보다 보기도 편하고 오류도 없다. 또한 해당 노선 번호를 클릭하면 일부 노선이 한하여 배차시간표도 알 수 있다.

버스정보안내기는 수요가 있는 곳부터 설치 중이다. 하지만 아직 체계구축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노선 자체가 없는 버스정보안내기도 있다. 예시로 진천전통시장(웰빙테마장터) 안쪽에 안내기 2대가 나란히 서있지만 노선이 없는 터라...

2020년 9월 10일부터 네이버지도에서도 번호가 등록되었다! 기존 문자로 나타내던[9] 형식이 아니라 번호식으로 나타냈다! 그러나 진천군, 음성군 농어촌버스 노선체계가 전국 어느 곳보다도 개판인지라 진천에서 무극 가는 노선을 찾는다는 등의 노선찾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더 큰 문제는, 네이버지도의 노선을 보면 여러개의 노선을 합쳐놓은 노선이 많다. 예를 들어 진천터미널에서 무극을 거쳐 감곡으로 가는 편도거리만 50km에 달하는 노선으로 되어있는데, 실제로는 진천-무극 노선으로 무극터미널에서 실질적인 운행을 종료하고 20분 대기 후 다시 감곡터미널로 가는 무극-감곡 노선으로 운행한다. 그런데 네이버지도에서는 하나로 묶여 진천-감곡 노선이 있는 거 마냥 오해하기 딱좋은 노선들이 많다. 특히 진천-증평 노선과 증평-음성 노선을 합쳐서 진천-음성 노선도 만들어냈다.

2021년 3월 들어서는 카카오버스에도 노선번호가 적용된 노선을 조회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실시간 서비스는 일부 노선에 한해서만 운영되고 있다.

3.3. 버스 LED 전광판

파일:청주 버스 714 과거.jpg 파일:진천714.jpg 파일:진천-오갑.jpg
2007~2009년: "경유지 어디 / (슬로건/노선번호 전환) / 종착지 어디"
  • 2007~2009년, 버스에 LED 전광판이 도입되었다. 딱 딱 바뀌는 것이 아니라 스르륵 넘어가는 형식. 중앙에 진천군은 생거진천과 함께 영어문장도 기입했다.
  • 2012~2013년, 계약이나 기술 문제 때문인지 711, 714번을 제외한 모든 진천/음성 버스들이 LED를 끄고 다녔다.
파일:진천 버스 201.jpg 파일:진천 버스 201(2).jpg 파일:생거진천.jpg 파일:행복한 음성.jpg
2019~2021년 변화: "노선번호만 → 상세정보 → 생거진천/행복한음성"
  • 2019년, 신규차량이 도입된 순환버스들( 충북혁신도시 순환버스 1, 충북혁신도시 순환버스 2, 진천 버스 2001)은 자체 LED를 사용한다.
  • 청주, 진천 버스 711 충주시 시내버스와 같은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 측면과 후방 LED는 기존 노란색으로 번호만 노출되던 것과 비슷하지만 119 → 119번 이런 식으로 노출된다.
  • 2021년 4월, 또 LED를 끄고 달리거나, 켜도 '생거진천', '행복한음성' 트레이드마크만 켜고 운행한다는 제보가 나왔다.
  • 2021년 8월, 노선번호 재개편 후 일부 차량은 2019년 11월부터 쓰던 노란색 번호만 띄우는 차량도 있고, 일부 차량은 모든 문구를 띄우는 등 제각각이 되었다.

3.4. 타 지역 시내버스

진천터미널: 청주 버스 711
진천신협: 천안 버스 410[10]
진천읍 사석리: 천안 버스 411
문백면 계산리: 청주 버스 716, 청주 버스 73, 청주 버스 74
광혜원터미널: 안성 버스 17
감곡버스터미널, 감곡면[11]: 여주 버스 929, 929-1, 929-2, 929-3, 충주 버스 172, 충주 버스 365, 충주 버스 413
감곡장호원역: 이천 버스 25-10, 25-11
삼성터미널: 안성 버스 3
소이면: 충주 버스 122
생극면: 충주 버스 171
호산사거리: 27번대 노선(장호원~총곡 27-4번 등 제외)

4. 노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4295d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진천군·음성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충북혁신도시 순환
순환1 순환2 2001
진천군
광혜원면 덕산읍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진천읍
초평면 711청주
음성군
감곡면 금왕읍 대소면
맹동면 삼성면 생극면
소이면 원남면 음성읍
}}}}}}}}} ||

노선번호의 경우 2021년 연말에 재조정되면서 중구난방이었던 초기와 달리 어느 정도 일관성이 있어졌다. 두 자릿수 노선들은 진천군 읍면 지선노선으로 운영되며 네 자릿수 노선(1000번대, 2000번대)은 충북 혁신도시 순환노선에만 사용된다. 본선은 세 자릿수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다.
BIS 번호(노선) 기점 및 방면
100번대 덕산읍, 맹동면, 충북혁신도시
200번대 진천읍, 문백면, 초평면, 증평군
300번대 백곡면, 천안시(입장면)
500번대 이월면, 광혜원면
600번대 음성읍
700번대 감곡면, 금왕읍(무극), 삼성면, 생극면
800번대 소이면, 원남면
900번대 대소면

4.1. 진천군

진천군 농어촌버스
노선수 35개
업체수 2개
차량수 진천여객
34대
음성교통 31대
운행시간 06:20 ~ 21:30
운임제도 단일요금제[12]
홈페이지 # 진천군청
진천군 농어촌버스는 진천터미널에서 출발할 때와, 진천터미널로 돌아올 때 거의 진천읍내(일방통행 도로)를 1바퀴 돈다. 출발할 때 도는 것은 읍내에 있는 승객을 태우기 위함이고, 터미널로 향할 때 도는 것은 읍내에 볼일이 있는 승객 때문이다.[13]

다만 이는 노선마다 차이가 있는데, 대부분(덕산, 백곡 등) 노선이 터미널에서 KT, 진천우체국 앞을 지나 진천농협 쪽으로 꺾어 읍내를 돌지만, 광혜원 같은 경우 터미널에서 나와 강변도로로 우회해 진천경찰서 쪽으로 들어가기에 KT, 진천우체국을 거치지 않는다.

해당 문서에 기입된 노선들은 모두다 진천터미널과 광혜원터미널에서 출발하거나, 혹은 들어오는 노선만 기재됐다.

진천군은 버스가 자주 다니는 편이나, 옆동네마냥 배차간격이 10분에서 60분까지 벌어지는 등 들쑥날쑥하다. 그래도 진천읍과 주변 면을 이어주는 노선은 적어도 하루 30회 이상씩 다닌다. 충북혁신도시 같은 경우 혁신도시 순환노선이 자주 다니는 편.

4.1.1. 진천 - 청주시

청주, 진천 버스 711 문서를 참조.

4.1.2. 광혜원면

진천에서 광혜원면으로 향하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광혜원
    • 광혜원 - 대소
    • 광혜원 - 월성
    • 광혜원 - 구암
    • 광혜원 - 실원

4.1.3. 덕산읍

진천과 덕산읍을 오가는 노선들로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도장골.기지
    • 진천 - 용소.용촌
    • 덕산 - 기지
    • 덕산 - 수태.가척.홍개

4.1.4. 문백면

진천군 문백면 일대로 향하는 노선. 711번이 15분마다 수시로 다니기 때문에 이 노선이 다니지 않는 곳으로 다닌다. 자세한 정보는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지암. 계산
    • 진천 - 통산. 안능. 은탄. 문백
    • 진천 - 소강정. 사양리. 통산. 주락골
    • 진천 - 삼진. 원동

4.1.5. 백곡면

진천과 백곡면을 오가는 노선들로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배티. 양백
    • 진천 - 성대. 학동. 대명동
    • 진천 - 대문. 갈월. 입장
    • 진천 - 지구. 명암

4.1.6. 이월면

진천에서 출발하여 이월면 일대로 향하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사지. 궁골
    • 진천 - 신월리
    • 진천 - 논실. 서원말. 신계리. 일영. 물미
    • 진천 - 홍개
    • 진천 - 용사. 내기

4.1.7. 진천읍

진천읍 내부를 종점으로 삼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문봉. 연곡
    • 진천 - 행정(순환)
    • 진천 - 독바위. 우렁터. 가산(순환)
    • 진천 - 진밭골
    • 진천 - 소강정

4.1.8. 초평면

진천에서 출발하여 괸돌을 지나 초평면 일대로 향하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증평
    • 진천 - 금한. 통동
    • 진천 - 오갑. 덕산

4.2. 음성군

음성군 농어촌버스
노선수 48개
업체수 2개
차량수 진천여객
34대
음성교통 31대
운행시간 06:00 ~ 21:30
운임제도 단일요금제[14]

파일:음성 버스.jpg

음성교통 차량은 키자마자 음성군의 트레이드마크가 나온다.

4.2.1. 감곡면

생극을 거쳐온 차량이 감곡면 각 마을까지 운행한다. 문서 참조.
  • 노선
    • 무극 - 감곡 - 감곡장호원역
    • 감곡 - 원당2(무극)
    • 감곡 - 오향4
    • 감곡 - 월정. 수상
    • 감곡 - 상우. 문촌. 사곡
    • 감곡 - 단평

4.2.2. 금왕읍(무극)

무극(금왕읍)과 음성터미널을 오가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무극 - 음성
    • 무극 - 본대2. 연방죽
    • 무극 - 각회
    • 무극 - 육령
    • 무극 - 백야
    • 무극 - 봉곡. 진천
    • 무극 - 상유촌. 삼봉. 부윤
    • 무극 - 안골. 삼성

4.2.3. 대소면

대소면에서 출발하여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대소(내산. 이월)
    • 대소 - 덕산(미곡. 수태)
    • 대소 - 무극(부윤. 홍창골)
    • 대소 - 무극(본대리. 소석리. 도청2리)

4.2.4. 혁신도시, 맹동면

혁신도시에서 진천과 음성으로 가는 노선과 무극에서 맹동면으로 향하는 노선들로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노선
    • 진천 - 혁신
    • 무극 - 혁신
    • 무극 - 인곡.혁신.진천
    • 대소 - 혁신
    • 혁신 - 기지
    • 혁신 - 용소.용촌
    • 혁신 - 인곡
    • 혁신 - 통동
    • 혁신 - 홍개
    • 혁신내부순환

4.2.5. 삼성면

무극 - 삼성 간 노선과 능산으로 향하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무극 - 삼성(안골)
    • 삼성 - 대소. 광혜. 진천
    • 삼성 - 상곡. 광혜
    • 삼성 - 선정1.2
    • 무극 - 능산
    • 삼성 - 능산
    • 삼성 - 양덕. 용대. 능산. 생극

4.2.6. 생극면

무극/감곡에서 출발해 생극면을 거쳐가는 노선에 대해 서술. 문서 참조.
  • 노선
    • 무극 - 생극(감곡)
    • 생극 - 차곡. 차평
    • 생극 - 팔성. 임곡. 관말
    • 생극 - 송곡2

4.2.7. 소이면

소이면 비산리, 금고리 쪽으로 향하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음성 - 돌뫼. 후미. 문등
    • 음성 - 갑산. 설피. 문등
    • 음성 - 충도. 구안
    • 음성 - 금고리
    • 음성 - 목도. 괴산

4.2.8. 원남면

원남면(보천) 일대로 향하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음성 - 주봉. 덕정. 마송. 상노
    • 음성 - 장갈. 동음
    • 음성 - 증평(도안)
    • 음성 - 하당회관
    • 음성 - 원남산업단지
    • 음성 - 괴산(소수)

4.2.9. 음성읍

음성터미널을 출발해서 음성읍 내부를 종점으로 삼는 노선. 문서 참조.
  • 노선
    • 음성 - 동음(신천. 장갈)
    • 음성 - 구례골(초천1리)
    • 음성 - 구.덕생초교(초천4리)
    • 음성 - 생골(순환)
    • 음성 - 광벌
    • 음성 - 한벌
    • 음성 - 사정리(무극)

4.3. 아침 학생노선

진천군, 음성군 농어촌버스 중 각 읍면에서 6시~8시 사이에 출발하여 통학 용으로 승차할 수 있는 노선들에 대해 서술한다. 진천여자중학교 말고도 각 노선이 아침 시간대 한정 음성여자중학교, 덕산중학교, 광혜원고등학교, 대금고등학교, 충북반도체고등학교를 경유한다.

4.3.1. 진천여중, 진천상고, 진천중

파일:진천여중1.jpg
파일:진천여중2.jpg
  • 진천여중
진천여중은 진천터미널에서 출발 후 10분 이내로 온다. 반대로 터미널 방향 버스는 위 사진과 같이 진천여중 정류장에 대략적인 통과 시간이 적혀있다.
덕산, 혁신도시 행 노선을 제외하면 학기 중 평일 아침 통학 시간대에만 각 종점에서 출발한 읍면노선들 일부가 진천읍내를 통과한 후 진천여중에서 U턴하여 터미널로 가는 식으로 운행한다.
하교 시간대에는 다른 읍면노선들은 오지 않고 덕산. 혁신 방면 노선 버스가 15~20분 간격으로 온다. 15:30분 즈음에 끝나는 수요일이나 금요일 같은 경우 15:30분 차 놓치면 30분동안 기다려야하는 등 하교시간인데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하다.

이하는 통학 시간대에 진천여중을 경유하는 노선들 목록.
  1. 행정리 출발, 진천여중에서 U턴해서 터미널로 가는 버스.행정리 7시 40분 출발.
    2. 진천에서 출발, 삼진아파트와 원동을 순환한 후 진천여중에서 U턴해서 터미널로 가는 버스. 삼진아파트 7시 50분 출발.
    3. 보탑사(연곡)에서 출발, 진천여중에서 U턴해서 산호오크빌아파트로 가는 버스. 보탑사 7시 20분 출발.
    4. 안능에서 출발, 진천여중에서 U턴해서 터미널로 가는 버스. 안능 7시 출발.
    5. 홍개에서 출발, 진천여중에서 U턴해서 터미널로 가는 버스. 홍개 7시 출발.
  • 진천상고[15]
  • 삼진아파트, 원동 순환노선. 삼진아파트 7시 50분 출발.
    2. 산호아파트에서 출발하는 삼진, 원동 노선. 산호아파트 8시 출발.
  • 진천중
  • 신월에서 출발, 잿들을 거쳐 진천중 앞을 지난다. 신월 07:00 출발.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장호원-감곡 경계지역인 노탑리를 살짝 지나간다. [2] 과거 시간표 아카이브는 다음과 같다: 2010년대 초반, 2020년 3월, 2021년 3월(1), 2021년 3월(2) [3] 특히 진천군과 음성군은 충북 혁신도시의 개발과 수도권 기업체들의 이전으로 충청북도에서 토박이의 비율이 35%대로 가장 낮은 곳이기도 하다. [4] 진천군 같은 경우, 진천읍, 덕산읍(혁신도시), 광혜원면으로 음성군 같은 경우, 음성읍, 맹동면(혁신도시), 금왕읍, 감곡면 등 독자적인 시가지가 있으며, 다 따로 논다. [5] 다만 진천 711번은 하차단말기가 있으며 이후 청주 버스랑도 무료 환승된다. 하차단말기가 있기 때문에 타 진천군 농어촌버스와 달리 하차태그 안 할 경우 청주처럼 다음 승차 시 카드 할인 미적용 [6] 변경 이전에는 100번은 진천군에 위치한 우렁터를 경유하는 노선인데, 101번은 진천에서 무극으로 향하는 노선이고 102번은 음성군 노선이었다(...). 이는 노선 번호를 등록하면서 특정 차량 한 대가 운행하는 노선 순서대로 번호를 붙였기 때문. 즉 A라는 차량이 100번을 운행하고 그 다음에 101번을 운행하는 식이었다. 100~267번은 진천터미널에서 주박하는 20대가 사용하는 번호고 268, 300~543번은 혁신도시와 무극에서 주박하는 23대가 사용하는 번호였다. [7] 2021년 8월 1일부터 새로운 노선체계 방식을 사용했었다. 이전보다 노선번호가 많아졌으며 진천→무극행 차량은 100(-n)번과 120(-n)번을 사용하고, 무극→진천행 차량은 160(-n)번을 사용했었다. 진천→혁신행 차량은 100(-n), 110(-2), 120(-n)번을 사용했었는데, -n은 가지번호. 가장 높은 가지번호는 혁신→진천행의 160-12번이며, 우렁터/독바위 순환버스는 920-3번을 사용했었다. [8] 정식 고시된 노선번호가 아닌 임의로 부여된 2자리수, 4자리수 노선은 조회 불가 [9] 예: 진천-광혜, 진천-가산(우렁터.독바위) 등 [10] 천안으로 저렴하게 가고자 한다면 진천터미널에서 천안시 동면에 위치한 덕성리를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성인 기준 1600원으로 갈 수 있으니, 덕성리에서 410~413번을 타고 갈 수도 있다. [11] 혹은 감곡 다리앞 ( 감곡장호원역 방면) 정류장에서 장호원읍까지 8분정도 걸어가 안성 37, 37-1번 버스 혹은 이천 25번 계열 버스. 광주 114번 버스 등을 탈 수 있다. [12] 안성 17번이나 천안 410, 411번같은 경우는 타 지역이라 시계외요금을 징수한다. [13] 만약 승객이 2명 이하고 이들 모두 터미널로 향한다면 의향을 묻고, 결과에 따라 돌지 않고 터미널로 직행하기도 한다. [14] 안성 3번이나 충주 172번등 노선은 타 지역이라 시계외요금을 징수한다. [15] 진천 - 원동 노선만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