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8:32:37

우루무치시

위륌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8px" <tablebordercolor=#ee1c25><tablebgcolor=#ee1c25>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olor: #ffd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1c25><colcolor=#ff0> 화베이 지방 타이위안시 · 스자좡시 · 후허하오터시
화둥 지방 지난시 · 허페이시 · 난징시 · 난창시 · 항저우시 · 타이베이시 · 푸저우시
중난 지방 광저우시 · 하이커우시 · 정저우시 · 창사시 · 우한시 · 난닝시
둥베이 지방 선양시 · 창춘시 · 하얼빈시
시베이 지방 란저우시 · 시안시 · 시닝시 · 인촨시 · 우루무치시
시난 지방 구이양시 · 청두시 · 쿤밍시 · 라싸시
※ ◈ 표시된 10개의 시는 부성급시.
※ 자치구의 행정중심지는 수부
※ 취소선은 중화민국이 실효지배 중인 지역
}}}}}}}}}

{{{#!wiki style="margin: -12px -0px" <tablebordercolor=#ee1c25>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4, 지구 5, 자치주 5
현급행정구
시할구 13, 현급시 28, 60, 자치현 6
우루무치시
성도
乌鲁木齐市
톈산구
天山
사이바커구
沙依巴克区
신스구
新市
터우툰허구
头屯河
다반청구
达坂
미둥구
米东
우루무치현
乌鲁木齐县
카라마이
克拉玛依市
카라마이
克拉玛依区
두산쯔구
独山子
바이젠탄구
白碱滩
우얼허구
乌尔禾区
투르판
吐鲁番市
가오창구
高昌
산산현
鄯善
퉈커쉰현
托克逊县
하미시
哈密市
이저우구
이우현
伊吾县
아크수지구
阿克苏地区
아크수
阿克苏市
쿠처시
库车市
원쑤현
温宿县
사야현
沙雅县
신허현
新和
바이청현
우스현
乌什县
아와티현
阿瓦提县
커핑현
柯坪县
카슈가르지구
喀什地区
수푸현
수러현
疏勒县
잉지사현
英吉沙县
쩌푸현
泽普县
예청현
마이가이티현
麦盖提县
웨푸후현
岳普湖县
가스현
伽师县
바추현
巴楚县
호탄지구
和田地区
호탄
和田市
호탄
和田县
모위현
墨玉
피산현
皮山
뤄푸현
洛浦县
처러현
策勒县
위톈현
于田
민펑현
民丰
창지 후이족 자치주
昌吉回族自治州
창지시
昌吉市
푸캉시
阜康
후투비현
呼图壁县
마나쓰현
玛纳斯县
치타이현
奇台
지무싸얼현
吉木萨尔县
모리 카자흐 자치현
木垒 哈萨克自治县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博尔塔拉 蒙古自治州
보러시
博乐市
아라산커우시
阿拉山口
징허현
精河
원취안현
温泉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巴音郭楞 蒙古自治州
코를라
库尔勒市
룬타이현
轮台县
위리현
尉犁县
뤄창현
若羌
체모현
且末
허징현
和静
허숴현
和硕县
보후현
옌치 후이족 자치현
焉耆回族自治县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克孜勒苏 柯尔克孜自治州
아르투슈
阿图什市
아커타오현
阿克陶县
아허치현
阿合奇县
우차현
乌恰县
일리 카자흐 자치주
伊犁 哈萨克自治州
쿨자
伊宁市
쿠이툰시
奎屯市
훠얼궈쓰시
霍尔果斯市
쿨자
伊宁县
훠청현
궁류현
巩留
신위안현
新源
자오쑤현
昭苏
터커쓰현
特克斯县
니러커현
尼勒克县
타청지구
地区
타청시
우쑤시
乌苏市
사완현
沙湾
어민현
额敏县
퉈리현
托里县
위민현
裕民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和布克赛尔 蒙古自治县
알타이지구
阿勒泰地区
알타이
阿勒泰市
부얼진현
布尔津县
푸윈현
富蕴
푸하이현
福海
하바허현
哈巴
칭허현
지무나이현
吉木乃县
자치구직할
현급행정구
스허쯔시
石河子
아라얼시
阿拉尔市
툼슈크
图木舒克市
우자취시
五家渠
베이툰시
北屯
톄먼관시
铁门关
솽허시
双河
커커다라시
可克达拉市
쿤위시
昆玉
후양허시
胡杨河
신싱시
新星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255, 0, 0, .2)"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파일:중국 우루무치 1.jpg

파일:우루무치 중국.jpg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수부
[ruby(乌鲁木齐, ruby=Wūlǔmùqí)][ruby(市, ruby=Shì)] | ئۈرۈمچى شەھىرى
우루무치시 | Ürümqi City
시정부 소재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시
수이모거우구 난후둥루30호
新疆维吾尔自治区乌鲁木齐市
水磨沟区南湖东路30号
지역 시베이
면적 14,577km²
하위 행정구역 7구 1현
시간대 UTC+8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인구 4,054,369명 (2020)
인구밀도 278명/km²
민족 구성 한족 74.91% | 위구르족 12.46%
후이족 9% | 카자흐족 2.19%
HDI 0.792 (2016)
서기 양파선(杨发森)
시장 멤티민 카디르( 위구르족)
(买买提明·卡德 | مۇھەممەتئىمىن)
GRDP 전체 $406억 (2017)
1인당 $18,255 (2017)
상징 시화 회화꽃
시목 느릅나무
차량번호 新A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 650100
지역전화번호 0991
우편번호 830000
ISO 3166-2 CN-XJ-01 }}}}}}}}}
홈페이지
1. 개요2. 명칭3. 기후4. 역사
4.1. 우루무치 건설 이전4.2. 베쉬발릭4.3. 우루무치 건설 이후4.4. 2009년 우루무치 유혈사태4.5. 우루무치 시위
5. 민족 구성6. 교통
6.1. 철도
7. 문화8. 여담9. 출신인물


[clearfix]

1. 개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수부(행정중심지). 인구는 2020년 기준 405만명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성도이다.

신장 위구르 지역에서 가장 도시이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중북부에 위치해 있다. 참고로 인구 100만 이상 도시 중 세계에서 가장 바다와 멀리 떨어진 곳이다. 실제로 황해 인도양은 말할 것도 없고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사실상 내해인 카스피 해와도 멀다. 이곳에서 북쪽으로 조금만 더 올라가면 대륙 도달불능점이 있을 정도.

우즈베키스탄 호레즘 주의 도시 우르겐치와는 다르다.

일출 시각이 늦으면 09시, 일몰 시간이 늦으면 무려 22시이다! 베이징 표준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 여기서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표준시를 써서 일출 07시, 일몰 20시로 보거나 아예 출근/등교를 10시에 하기도 한다.[A] 우루무치보다 더한 지역으로는 카스(카슈가르)가 있는데, 이곳은 일몰 시각이 23시이다! 이곳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표준시를 써도 일몰 시각이 21시.[A]

2. 명칭

  • 중국어: 乌鲁木齐 (Wūlǔmùqí 우루무치), 정체자: 烏魯木齊[3]
  • 위구르어: ئۈرۈمچى (Ürümqi / Үрүмқи 혹은 Ürümchi / Үрүмчи 위륌치)
  • 몽골어: ᠥᠷᠥᠮᠴᠢ / Өрөмч (Örömch 우룸치)
  • 카자흐어: ٴۇرىمجى / Үрімжі (Ürımjı 위름즈)

도시의 원래 이름인 '우룸치'는 오이라트 몽골어로 좋은 목초지라는 뜻으로, 1954년 도시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 도시 이름의 공식 영문 표기가 병음 표기가 아닌 'Ürümqi'인 것도 이러한 어원에 따른 것. '우루무치'는 현지어명인 '우룸치'(몽골어) 내지는 '위륌치'(위구르어)를 한자로 다시 음차하여 전사하고 그 한자를 다시 한어병음으로 표기한 발음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우루무치라는 표기가 일반적으로 쓰이고, 외래어 표기법 용례집에서도 도시의 이름이 우룸치가 아닌 '우루무치'로 실려 있다. 오히려 중국 내의 조선족들이 이용하는 사이트에서 원래의 발음에 가까운 '우룸치'라는 표기가 사용되는 편.[4][5]

1954년 이전에 사용된 중국어 명칭은 청 건륭 연간에 명명된 디화(迪化, Díhuà, 적화)이다. 1949년 이후 중국의 행정구역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대만에서 운용하는 캉딩급 호위함 4번함 디화함이 여기서 따온 명칭을 쓰고 있다. 우정식 병음으로는 Tihwa로 표기되었다.

3. 기후

우루무치의 기후는 냉대기후 건조기후의 중간인 스텝기후에 속해 있다.[6]

위도는 북위 43.5도에 위치하며, 이는 블라디보스토크보다 높은 위도이며 시카고보다도 위도가 높다. 남한은 물론 북한보다도 위도가 높은지라, 한반도의 그 어떤 곳보다도 고위도이다. 오히려 남유럽 국가들과 위도가 비슷할 정도이다.

또한 우루무치의 해발고도는 약 860m로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902.2m)와 얼추 비슷하기 때문에, 겨울이 매우 춥다. 대한민국의 최한지인 철원, 대관령이나 러시아 모스크바보다 매서운 추위가 불어닥친다.[7]

1월 평균 기온은 -12.6℃이며 7월 평균 기온 23.7℃, 연평균 기온 6.9℃ 로 전형적인 사막 기후대이다. 강수량이 250mm보다 많아 스텝기후는 아니다. 여름은 생각보다 덥지 않다. 가끔 매우 더운 날이 나타나지만 이도 낮 한정이고 밤에는 춥다. 열대야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막이라서 더울지 모른다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서늘한 편이다. 물론 그래도 낮에는 40℃까지는 치솟는다. 그러나 습도가 낮아서 그늘에 들어가면 시원하며, 밤에는 기온이 급강하해 이때 얼어죽는 사람도 생긴다. 역대 최저 기온은 -42.0℃이며, 역대 최고 기온은 42.0℃이다.

여름의 습도는 낮지만[8] 겨울의 습도는 80% 정도로 매우 높은데, 겨울 기온도 매우 낮은데 습도까지 높아 온몸이 떨리는 추위를 경험할 수 있다.

4. 역사

파일:중국 우루무치.jpg
당나라 때부터 19세기까지 승려들이 수행한 훙산 (홍산)

4.1. 우루무치 건설 이전

우루무치가 소재한 준가리아 분지 지역은 본래 이란계 기마민족인 스키타이 사카족이 살던 지역으로,[9] 이후 월지족이 근방에 투르판 분지에 자리 잡았다. 한서에는 이 지역 근방에 차사국(車師國), 윤대(輪臺) 등의 도시 국가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이 중 차사국의 속국이었던 인구 2천의 동차미국(東且彌國)이 오늘날의 우루무치에 비정되는 장소에 위치해 있었다 한다.

그리고 이들 준가리아 분지의 스키타이계, 토하라계 국가들은 대부분 흉노 부족 연맹의 지배를 받았으며 잠시 한나라가 흉노를 제압한 후 영향력을 행사하다 한 멸망 후 유연 등 유목민들의 지배를 거쳐 튀르크계 종족 돌궐의 땅이 되었다.

4.2. 베쉬발릭

돌궐 역시 위구르 제국에 무너지고, 이 일대는 위구르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우루무치 근교 오늘날의 창지 후이족 자치구 내에 위치한 베쉬발릭(别失八里)은 위구르 칸국의 주요 다섯 도시 가운데 하나였다. 위구르 제국은 마니교로 개종한 후 베제클리크에 고분을 건설했으며, 이후 키르기스에 멸망한 이후 위구르 난민들이 근교 투르판 분지에 고창회골을 건국한다. 위구르 제국 시절부터 주요 도시였던 베쉬발릭은 고창회골의 하절기 수도가 되었다. 고창회골의 중심지 투르판 분지는 여름에 지나치게 더웠기 때문이다. 이후 이 일대에는 카라 키타이 몽골 제국이 들어왔으며, 차가타이 칸국이 이 지역을 장악했다.

4.3. 우루무치 건설 이후

근세 이 일대 주인은 오이라트인으로 바뀐다. 남쪽 타림 분지에는 차가타이 칸국에 이어 티무르 제국 모굴리스탄 칸국 등의 튀르크계 이슬람 국가들이 연신 들어선다. 오이라트의 후예 준가르는 전쟁 포로들을 데려와 농사를 짓게 하고 석조 요새를 쌓았는데 이는 오늘날 우루무치시와 쿨자시 등 도시의 기원이 된다. 우루무치라는 도시의 명칭은 오이라트 몽골어아름다운 목장이라는 뜻이다. 명나라 때 기록에도 등장한다. 하지만 당시에는 투르판 같은 지역에 비하면 중요도가 낮은 지역이었다.

18세기 중엽 만주족 건륭제 연간에 이 지역을 정복하고 숙적 준가르인들을 추방/학살한 이후 공백지가 되었다.근처 일리 강 너머 사는 카자흐인이나 키르기즈인 등 튀르크계 유목민들이 다시 이 지역을 점거할 것을 우려한 청나라는 이 지역의 목초지를 농경지로 유지해 유목민들의 활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1759년 남쪽에 있는 타림 분지에 있던 위구르족과 간쑤성에 있던 후이족들이 이곳으로 불러들여 공백지가 된 이곳에 식민했다. 이들은 준가르 족이 데려온 타란치[10]들이 가꾼 농장들을 확장시켰다.

건륭제의 명으로 1763년 적화(迪化, Díhuà 디화)라는 이름으로 개명했고[11] 성벽이 건설되었으며, 만주-몽골 팔기군 상당수가 이 지역으로부터 군량을 보급받았다. 도시는 무슬림들이 사는 구역과 한족들이 거주하는 한청으로 구분되었는데 한청에서는 관우를 숭배하는 사원을 비롯해서 여타 다른 청나라 도시와 다를 것이 없었다는 기록이 있다.

1864년 코칸트 칸국 야쿱 벡이라는 야심가가 스스로 에미르를 자처하며, 이곳에 예티샤르라는 칸국 이슬람 국가를 세우고 위구르 튀르크계 부족들을 이용해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후이족들과 야쿱 벡 군대 간의 전투가 벌어져 함락되었다. 웃긴 것은 전투 당시 후이족들에 의해 우루무치에서 쫓겨났던 한족, 만주족들이 야쿱 벡 군대에 합류해서 우루무치의 후이족들을 공격했던 것. 청나라의 명장 좌종당이 이곳을 원정하자 후이족들은 별 다른 저항 없이 항복했고, 좌종당은 여세를 몰아 야쿱 벡 정권을 붕괴시키고 신장 대부분 지역을 수복했다. 야쿱 벡은 탈레반처럼 강경 이슬람 신정을 펼치는 바람에 모든 종교에 관대했던 튀르크인들의 신임을 잃으며, 앞뒤가 안 맞는 정책으로 후이족들의 협조를 받지 못했다.

좌종당에 의해 1884년 신장성이 설치되면서 우루무치는 신생 신장성의 성도가 되었다. 천산북로에서 수도 역할을 하던 도시는 쿨자시였으나, 청과 러시아 제국 사이의 국경이 변경되면서 국경에 위치한 쿨자 대신에 천산북로의 경제 중심지이던 우루무치가 신장성 전체의 성도가 되었다.

신해혁명의 혼란기를 틈타 우루무치를 관할하던 한족 관리 양쩡신이 신장성을 장악했다. 양쩡신은 후이족 출신 사병 2천여 명을 이끌고 예전에 동료이자 상관이었던 다른 한족 관리들을 제압한 후에, 위안스카이로부터 신장성 도독으로 임명받았다.

양쩡신의 암살 이후 현실 감각이 전무한 진수런이 이곳을 지배했다. 전임자 양쩡신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화폐를 함부로 찍어내는 일은 자제했으나, 진수런은 화폐가 찍어내면 다 돈이 되는 줄 알고(...) 마구 찍어내서 인플레이션으로 신장성 경제를 파탄냈다.

1933년 4.12 디화 정변이 일어나 천중으로 지배자가 교체되었으나 성스차이가 이들을 모두 처형하고 후이족 군벌 마중잉의 공격을 격퇴한 후 지배자로 등극한다. 성스차이는 신강왕 내진 서북왕[12]이라 불리던 인물로 이 지역을 반독립국처럼 만들어 소련에 충성을 맹세하고 사실상 영주처럼 군림했었다. 중일전쟁으로 내몽골 등 서북에 몽강국이 들어선 직후에도 성스차이가 다스리던 신장성은 전혀 영향 없이 혼자 태평했다. 그는 소련 장제스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1944년, 장제스의 개입으로 성스차이도 축출되고 중화민국 즉 국민 정부의 소속이 된다. 이후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이 우루무치를 점거하고 이후 중화민국이 국공 내전에서 패전하면서 1949년 신생 중화인민공화국 정권이 세워진 이후 도시의 이름은 오이라트 몽골어 이름에서 따온 현재의 우루무치로 개칭되었다. 디화라는 표현을 민국 시절에 썼기 때문에 소련과 친소련 성향의 소수 민족 공산주의자들을 자극할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4.4. 2009년 우루무치 유혈사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09년 우루무치 유혈사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우루무치 시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문서
3.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민족 구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주도지만 주민의 대부분은 한족으로, 2010년 기준으로 인구의 75%가 한족이다. 한족들은 중국 각 내륙지역에서 여기로 이주한 이주민들이다.

원래 주인이라 할 수 있는 위구르족은 12%에 불과하고, 그 외 소수민족으로 후이족(9%)과 카자흐족(2%), 키르기즈족, 우즈베크족 등 타 튀르크 종족들 그리고 몽골인, 일부 러시아계 중국인 등이 거주한다. 우루무치 시 역사에서는 후이족들이 여러모로 크게 기여했으며, 이 때문인지 시 근교에는 창지 후이족 자치주(昌吉回族自治州)가 위치해 있다.

몽골인 후이족, 러시아계 중국인을 제외한 나머지 소수민족은 거의 튀르크계 혈통이다. 이 중 카자흐, 키르기즈, 우즈베크 등의 종족은 이웃에 자기 민족의 독립국이 있기도 하다. 특히 우즈베크인과 위구르인은 튀르크어족 차가타이어파, 카자흐와 키르기즈는 킵차크어파에 속한데다 서로 이웃하고 있어 언어가 통한다.

이곳의 몽골인들은 러시아에서 이주한 칼미크인들의 후손들로 몽골어 오이라트 방언을 써서 외몽골의 할하 몽골인이나 내몽골의 차하르 몽골인과는 좀 차이가 있고 스스로를 할하/차하르 인과 철저히 구분한다.

경제권을 장악하고 있는 한족과 소외되어 있는 위구르인 간의 시위 혹은 테러 등의 충돌도 종종 일어났는데, 2009년 7월 위구르인들이 분리 독립을 요구하면서 대규모 유혈 충돌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때 중국은 계엄령 선포를 시사했으나 한국의 전투경찰격인 무장경찰을 동원해 진압했다. 2008년 이웃 티베트에서 일어난 소요사태도 비슷하게 진압한 적이 있다.

6. 교통

6.1. 철도

주요 철도역은 우루무치역으로 과거에는 우루무치난역[13]이 주요한 역할을 했으나 2016년 8월 현 우루무치역이 개업하면서 2018년 9월 1일부터 열차가 정차하지 않게 되었으나 2022년 4월 10일부터 신장 자치구 내를 운행하는 일부열차가 정차하면서 영업이 재개되었다. #

중국 중심부인 동쪽의 베이징시, 상하이시, 광저우시 등으로 가는 철도는 매우 활발히 운행되고 있다. 이래 봬도 특쾌열차로 광저우시 선전시, 그리고 새로 건설된 유창샤고속철도를 이용해서 홍콩 구룡반도 홍콩사이까우룽역으로도 연결된다.

특히 최근에 중국의 대륙 철도망 확장계획인 8종8횡 계획의 하나로 유창샤고속철도가 간쑤성 란저우시에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우루무치 시까지 1,776km의 고속철도 구간이 연장/완성되어 교통이 크게 좋아졌다.

이 노선은 우루무치 시가 서쪽 종점으로 동쪽으로 칭하이성 시닝시(青海省 西宁)와 간쑤성 란저우(甘肃省 兰州)시에 연결되고 거기서 허난성 정저우시(河南省 郑州) 를 거쳐 동쪽 종점은 장쑤성 롄윈강시 (江苏省 连云港)까지 고속철도 노선으로 연결된다.

물론 유사시 중국 무장경찰부대 소속 폭동진압 경찰기동대 병력을 신속히 투입하려는 목적도 있다. 참고로 1989년 천안문 6.4 항쟁 이후 중국은 절대 현역 인민해방군을 시위진압에 투입하지 않는다!!! 천안문 트라우마 때문. 대신 시위진압이나 무장강도, 테러, 인질극 등 특수범죄 진압용 부대인 무장경찰부대를 투입한다. 홍콩 홍콩 경찰 PTU 기동대가 이 역할을 대신하고 마카오도 마카오 치안경찰 기동대가 이 역할을 맡는다.

한편 카자흐스탄 최대 도시인 알마티로 1,374km 구간을 달리는 국제열차가 매주 월, 토요일 주 2회 양 도시에서 각각 출발한다.

지하철 우루무치 지하철 참조.

공항은 우루무치 디워푸 국제공항이 있으며 이 공항을 베이스로 하는 우루무치항공도 존재한다. 15대의 보잉 737-800로 기단을 구성하고 있는데 A330까지 있는 옆동네 티베트항공에 비하면 아담한 편이다. 한국에선 가끔 대한항공 전세기가 뜨는데 소요시간이 6시간으로 중국 노선 중 최장거리이며 거의 타슈켄트 알마티 등 타 중앙아시아 노선이나 싱가포르, 발리, 자카르타 등 중거리 동남아시아 노선과 맞먹는다.

참고로 인천국제공항에서 이스탄불 공항으로 가는 터키항공 대한항공 터키 노선이 이 도시 근처 상공을 질러간다. 이후 카자흐스탄 러시아의 아스트라한을 거쳐 흑해를 통해 이스탄불 공항에 내린다.

인천공항발 프랑크푸르트행 대한항공 노선이 우루무치시 근방을 지나간다.

7. 문화

파일:우루무치 중국 1.jpg
그랜드 바자르의 중심가. 부하라의 미나렛을 모방한 첨탑이 특징이다.

스포츠의 경우 중국 농구 명문팀 신장 플라잉 타이거즈의 연고지다. 그리고 축구가 인기있어 축구팀 신장 톈산 쉐바오가 있다. 이 팀은 중국 을급 리그에 소속되어있다. 축구를 잘 못해도 사랑만은 대단하다.

이 지역 한족들의 경우 상당수가 청나라 산시성 쓰촨성, 간쑤성 등 주변에서 올라온 빈농 출신들이었다. 티베트도 비슷하게 쓰촨성의 빈농들이 대거 이웃동네인 티베트로 이주했다. 후이족들은 우루무치 건설 초창기부터 대거 이주했으며 우루무치가 신장의 상업 중심지가 되는데 크게 기여했다. 근처에 차로 두 시간 반 거리로 위구르인들이 모여사는 투르판 분지가 위치해 있고 위구르인 식민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위구르 영향도 큰 편이다.

신장의 역사를 저술한 제임스 밀워드 박사에 따르면, 시내에서 한족들이 카자흐인들이 대중 교통 이용이 서툴다고 대놓고 깔깔거리고 비웃는 등 나중에 굴러온 돌 주제에 다수인 한족들의 텃세(?)가 심한 듯 하다고 했다. 이 외에도 친소 군벌 성스차이 정권 시절 세워진 소련식 건축물들도 꽤 남아 있다.

8. 여담

  • 우루무치 시내에 포르쉐 매장이 있다. #
  • 심지어 포르쉐 말고도 테슬라 매장 #, BMW, 벤츠등 다양한 고급차 매장들이 있다.
  • 세계에서 바다와 가장 멀리 떨어진 도시이다.

9. 출신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우루무치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 베이징 표준시대로 출퇴근 시 자연시간으로 정오에 퇴근하게 된다. [A] [3] 한자를 한국식으로 표기하면 '오로목제'가 된다. [4] 사실 이는 중국 내 다른 지명도 마찬가지로, 소수민족어든 뭐든 일률적으로 병음 표기만을 따르도록 한 외래어 표기법 때문이다. 정작 중국 내에서는 한자 지명은 한국 한자음으로 읽고 소수민족어에서 유래한 외래 지명은 'Harbin → 할빈'처럼 비교적 원어에 가깝게 읽는다. 북한도(베이징 제외) 그렇게 하고, 중국어 외래어 표기법 제정 이전 한국에서도 그렇게 했다. [5] 다만 어째서인지 티베트 자치구 라싸(이 쪽도 티베트어의 중국식 음차)는 라싸, 라사가 복수 표준어다. [6] 강수량 패턴으로 보면 Dfa와 비슷하다. [7] 추위로는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도 한 가닥 하는 편으로, 카자흐스탄 알마티만 해도 겨울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급으로 추운 도시로 악명 높으며,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도 겨울에 전라남도 여수시급으로 꽤 춥다. [8] 강수량의 대부분이 이때 집중되는데도 습도는 낮다. [9] 한무제가 장건을 사신으로 보내 동맹을 맺으려 했던 오손도 스키타이계 왕조다. 이 스키타이인들은 백인종으로 붉은 머리의 푸른 눈을 하고 있었기에 외양으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했다. [10] 준가르 족이 전쟁 포로로 잡아온 한족, 키르기스, 카자흐인으로 된 농업 노예 집단 [11] 차츰 교화시킨다는 뜻으로 옛날 지도나 지구본에서는 디화라는 명칭을 찾아볼 수 있으며 타이완의 타이베이에도 여기서 따온 길 이름인 디화제(迪化街)가 있다. [12] 링크되어 있듯이 서북왕은 마부팡을 지칭하는 말이기에 성스차이의 별명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13] 2014년 4월 30일 역 입구에서 자살폭탄테러가 발생한 역으로 2014년 9월 1일 우루무치역에서 우루무치난역으로 명칭으로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