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03:49:25

우리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우리들(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계 3대 디스토피아 소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예브게니 자먀틴
《우리들》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조지 오웰
《1984》
}}}}}}}}}
우리들
Мы[러시아어] | We[영어]
파일:우리들 표지.pn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디스토피아, SF
작가 예브게니 자먀틴
출판사 E. P. Dutton
발매일
[[미국|]][[틀:국기|]][[틀:국기|]](영어) 1924년

[[러시아|]][[틀:국기|]][[틀:국기|]](러시아어) 1952년
쪽수 226
ISBN 0-14-018585-2

1. 개요2. 특징3. 타 미디어물에 끼친 영향4.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 소련 작가 예브게니 자먀틴이 1920~21년에 집필한 SF 소설. 미래의 전체주의 디스토피아 장르계의 효시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2. 특징

조지 오웰 1984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와 함께 3대 디스토피아 소설로 꼽힌다. 발표 시기로는 나머지 두 작품에 앞서거니와 1924년에 일찌감치 영역본이 나왔으며 암울한 디스토피아를 묘사한 점에서 일찍이 두 작품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3] 다만, 영어권의 두 작품과는 달리 망명 소련 작가의 마이너한 작품이라 그만큼 인지도를 얻지 못한 느낌도 없지 않다. 당시 소련 체제를 비판, 풍자한 탓에 소련에서 발표되지 못하고 1924년 영문판이 먼저 출판되었으며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으로 규제가 완화된 1988년에야 소련에서 출판이 허용되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오프닝 세레머니 당시 러시아 키릴 문자 한 자마다 한 단어씩 러시아를 대표하는 단어를 읊는 영상 퍼포먼스가 있었는데 이때 '우리들'이 언급되었다. 그래서 혹시 이 디스토피아 소설 '우리들'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었으나 영상 내용으로 볼 때는 그냥 일반적 의미 그대로의 뜻으로 보인다.

==# 줄거리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29세기이며[4] 주인공인 우주선 엔지니어 D-503이 쓰는 일기의 형식을 취한다.

전 세계는 모두 투명한 유리벽 "푸른 벽"에 둘러싸여 "은혜로운 분"이 다스리는 단일국가 체제하에서 통치된다.[5] 유리 감시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건 섹스시간의 커튼이 장막으로 가려주는 시간 뿐. 모든 인민들은 코드화된 기호숫자를 이름 대신 부여받고 같은 제복만을 입으며 매일 같은 시각에 기상하여 명령받은 일을 수행해야 한다. 사생활은 전면 부정된다. 성관계조차 당국의 감시하에 놓이며,[6] 애초에 자유로운 연애의 개념 자체가 소멸해 모든 성적 행위는 법적으로 할당제에 묶여 있다.

주인공은 이러한 사회에서 아무런 의심없이 생활하던 중, 체제 전복을 꾀하는 I-330이라는 여성을 만나게 되고 차츰 그녀에게 물들어 동조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성관계를 하라고 닫은 커튼 사이로 금지된 음주를 한다던가 하는 식이다. 결국 그들의 계획은 밀고자에 의해 발각되어 실패로 끝나고, I-330은 처형당하며 주인공은 "상상력 적출 수술"을 받아 모든 계획을 밀고하면서 I-330의 처형식에도 어떠한 감정도 받지 않게 되고 예전의 생활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벽 너머의 사람들이 여전하여 체제가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온다.

3. 타 미디어물에 끼친 영향

  • 절대권력자 "은인/은혜로운 분" → 《1984》에서는 빅 브라더
  • 인민감시기관 "수호국(守護局)" → 《1984》의 애정성 (愛情省, Ministry of Love / Miniluv)
  • 과학적 논리와 합리성을 앞세우는 세계관 → 멋진 신세계의 세계관에서도 엿볼 수 있다.[7]
  • 개성이 말살되고 코드명을 부여받은 사람들 → 조지 루카스 THX1138, 스타워즈 스톰트루퍼. 《1984》에서도 이름 뒤에 숫자가 붙는 묘사가 있다.
  • 주인공이 일기를 쓴다 → 《1984》에서도 일기를 쓰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 주인공이 여자를 만난다 → 《1984》도 그렇거니와 《 브라질》에서는 아예 반체제 운동가 여성이 등장하는 것도 같다.
  • 주인공이 결국 세뇌당한다 → 《1984》도 마찬가지.
  • 푸른 벽 → 《 스타 컨트롤2》의 노예 보호막. (Slave Shield) 인류를 비롯한 노예 종족이 우주로 나가지 못하도록 가둔다.
  • 인민들의 일련번호화, 인민감시기관 "수호국(守護局)", 일국(One State) - Hearts of Iron IV/Red Flood에서 알렉세이 카피타노비치 가스테프라는 실존 인물[8]이 집권할 경우 그의 사상인 호모 메탈리카와 함께 우리들에 나온 개념과 정책이 사용되는 국가를 볼 수 있다.

4. 외부 링크


[러시아어] 거칠게 한글로 옮기면 '므'에서 '믜'에 가까우나 한국어에서는 해당 두 모음의 음가가 가변적이어서 정확한 발음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IPA로는 [mɨ\]이므로 현대 젊은층의 한국어에서는 모음을 강조한 '므'의 조음과 대응될 것이고, 고연령층으로 갈수록 조음부를 'ㅣ'방향으로 가까이 가져가야 비슷한 조음을 할 수 있다. '믜'라는 표기는 이에 따른 것이다. 러시아어로 "우리들"을 뜻한다. 영어의 Me와 발음이 비슷한데 이는 인도유럽어에서 1인칭 대명사들이 양순연구개음류를 따르는 경향 때문이다. [영어] [3] 정확히 말하자면 오웰은 영감을 받아온 걸 인정했지만 헉슬리는 부정했다. 헉슬리는 당대 유토피아 소설들을 비튼 것이다. [4] 참고 블로그 및 책소개 기사 참조.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26세기로 적혀 서술되어 있으며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One thousand years after..." 즉 30세기로 제각각이니 주의를 요한다. [5] 당시에는 텔레비전도 없던 시절이라 감시카메라라는 체제를 상상할 수 없었다. [6] 티켓 하나당 성관계 하나다. [7] 멋진 신세계는 사회의 모토가 과학을 내세우지만 사실 그다지 논리적이지 않다. 애초에 바보들의 천국에 가까운 세계가 논리적으로 굴러갈 리가 없다. [8] 현실에서는 러시아식 포드주의를 만든 인물. 노동자의 극단적인 숙련공화로 마치 기계와 하나인 듯 움직여야 한다는 숙련공주의자였다. 그래서 노동조합에서도 활동했고 노동자가 얼마나 더 효율적이고 기계에 맞게 일할 수 있는지 자세와 태도부터 고치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