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3:19:28

옥살라이아

옥살라이아
Oxala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70px-Oxalaia_lateral.jpg
옥살라이아 화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70px-Oxalaia_ventral.jpg
모식표본 중 하나인 전상악골 화석
학명 Oxalaia quilombensis
Kellner et al., 2011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상과 메갈로사우루스상과Megalosauroidea
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ae
옥살라이아속Oxalaia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옥살라이아 퀼롬벤시스?(O. quilombensis) 모식종
    Kellner et al., 2011
파일:oxalaia_l.png
복원도

1. 개요2. 특징3. 연구사4. 대중 매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백악기 전기와 후기 사이 세노마눔절[1] 남아메리카 브라질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 옥살라이아라는 속명을 처음 부여할 당시의 기원은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서남부 일대의 요루바족이 모시던 최고신 '오바탈라(Obatala)'의 이명인 옥살라(Oxalá)에서 파생된 것인데, 과거 노예제가 시행되었을 시절 이 지역으로 끌려온 흑인들을 따라 이 신에 대한 신앙이 유입되었기 때문.

2. 특징

2004년에 브라질의 아우칸타라 층에서 처음 발견되어 2011년 정식으로 학계에 보고되었다. 현재 단편적인 전상악골과 완전하지 않은 상악골만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공룡이 정확히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알칸타라층에서 발견된 어류 마우소니아, 폐어, 악어류 코린가수쿠스 등으로 보아 가까운 친척인 스피노사우루스처럼 강가나 늪지에 살면서 어식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옥살라이아의 두개골은 스피노사우루스의 것보다 짧으며, 두 공룡의 두개골을 비교하여 추정한 옥살라이아의 몸길이는 대략 12~14m, 몸무게는 5~7t 정도인데, 이는 브라질에서 발견된 수각류 중 최대 크기다.[2] 스피노사우루스와 같은 종에 속하는 공룡일 것이라는 의견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해당 의견이 모든 고생물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3. 연구사

옥살라이아의 첫 화석은 알칸타라(Alcàntara) 지층의 해변가에서 발견되었다. 운이 상당히 좋았는데, 조금만 늦었어도 표본은 바닷물에 의해 침식되어 사라졌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해당 표본은 상당히 보존 상태가 좋았으며, 리우데자이네루 국립 박물관의 고생물학자 일레인 마차도(Elaine Machado)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부분의 과학적 발견은 이렇게 일어나는 것이며, 우연한 것이다."라고 말했다.[3] 옥살라이아는 브라질에서 발견된 두 종류의 스피노사우루스과 공룡[4] 중 하나이다. 옥살라이아의 상악골은 타 스피노사우루스과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두개골은 1.4m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렇게 연구가 지속되던 중 2018년 9월 2일 브라질 국립박물관 화재 사고로 불행히도 유일하게 존재하던 표본이 불에 타서 소실되었다.[5][6] 이후 현재까지 옥살라이아의 새로운 표본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4. 대중 매체

적은 인지도로 인해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은 매우 적은 편이다.[7]

쥬라기 월드: 프라이멀 옵스라는 게임에서 스피노사우루스와 함께 등장하지만, 게임이 출시한 지 4개월 만에 서비스 종료를 했다.

5. 관련 문서



[1] 정확히 말하면 후기에 더 가까우며 같이 공존하지 않았지만 비슷한 외형을 하고있는 스피노사우루스와 동시대에 살았다 [2] Kellner, Alexander W. A.; Azevedo, Sergio A. K.; Machado, Elaine B.; Carvalho, Luciana B.; Henriques, Deise D. R. (2011). "A new dinosaur (Theropoda, Spinosauridae) from the Cretaceous (Cenomanian) Alcântara Formation, Cajual Island, Brazil" [3] Janeiro, Priscila Bessa, iG Rio de (March 2011).  "Museu Nacional anuncia descoberta de maior dinossauro brasileiro – Ciência – iG". [4] 이리타토르. [5] 이는 옥살라이아 외에도 닉토사우루스, 페페수쿠스, 투판닥틸루스, 케아라닥틸루스, 탈라소드로메우스, 곤드와나티탄 등 셀 수도 없이 많은 표본과 모식표본들이 소실되었다. 막사칼리사우루스도 확실하진 않으나 정황상 이 화재로 표본이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6] 스피노사우루스도 제2차 세계대전 때 폭격으로 표본들이 소실되었다. [7] 공룡 게임에서 일부 팬들에 의해 모드로만 제작되는게 대다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