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3 11:46:04

연혜왕

연 국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국군

소강공
1대 국군

연후 극
2대 국군

연후 지
3대 국군

연후 무
4대 국군

연후 헌
5대 국군

연후 화
실전
7대 국군

연후 성
실전
9대 국군

혜후
10대 국군

희후
11대 국군

경후
12대 국군

애후
13대 국군

정후
14대 국군

목후
15대 국군

선후
16대 국군

환후
17대 국군

장공
18대 국군

양공
19대 국군

환공
20대 국군

선공
21대 국군

소공
22대 국군

무공
23대 국군

문공
24대 국군

의공
25대 국군

혜공
26대 국군

도공
27대 국군

공공
28대 국군

평공
29대 국군

간공
30대 국군

헌공
31대 국군

효공
32대 국군

성공
33대 국군

민공
34대 국군

희공
35대 국군

후환공
36대 국군

후문공
초대 왕

역왕
2대 왕

연왕 쾌
비정통

연왕 자지
3대 왕

소양왕
4대 왕

혜왕
5대 왕

무성왕
6대 왕

효왕
말대 왕

연왕 희
초한쟁패기

연왕 한광 | 연왕 장도 | 연왕 노관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연나라 제4대 왕'''
희(姬)
악자(樂資), 융인(戎人)
아버지 연소왕(燕昭王) 희직(姬職)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272년
재위 기간 음력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72년

1. 개요2. 생애
2.1. 태자 시절2.2. 왕으로 있었던 시절

[clearfix]

1. 개요

연(燕)나라 제40대 군주. 제4대 . 연소양왕(燕昭王)의 아들. 연무성왕의 친척.[1] 죽음이 불분명한 군주다.[2][3]

2. 생애

2.1. 태자 시절

혜왕은 태자로 있던 시절에 악의(樂毅)가 잘나가는 것에 불만이 생겨 아버지인 소양왕에게 악의에 대한 참소를 했다. 그러자 소양왕이 크게 노해 태자에게 매질을 하면서까지 악의를 믿어주었다.[4] 명군이었던 소양왕이 죽자 태자인 그가 뒤를 이었다.[5]

2.2. 왕으로 있었던 시절

연 혜왕 원년(기원전 278년), 소양왕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제(齊)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은 반간계를 써서 연혜왕과 악의 사이의 틈을 벌여 놓고, 결국 악의를 실각하게 만든 후, 그 자리를 기겁(騎劫)이 대신하도록 했다. 그러자 악의는 연혜왕에게 죽을까 두려워 그 처자식을 버리고 조(趙)나라로 망명했다. 한편 전단은 악의를 대신해 연나라의 대장군이 된 기겁에게 책략을 써서 제나라군의 전의를 불태우고, 유명한 '화우지계'를 써서 기겁을 죽인 후, 연나라군을 무너뜨려서 몰아냈다.

연혜왕은 그런 일련의 사태를 겪고 나서야 명장 악의를 내쫓은 일을 후회해 악의를 다시 부르려고 했으나 악의는 조나라에 머물기로 하며 결국 거절했다. 그러나 악의의 아들인 악간이 창국군으로 봉해져 연나라와 조나라를 왕래하는 객경이 되었다.

연 혜왕 7년(기원전 272년), 혜왕이 공손조(公孫操)에게 살해당하고 그 일족이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연무성왕이었다.[6] 일설에는 자연사했다고 전해지며, 무성왕이 혜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1] 일설에는 연무성왕이 연혜왕의 아들이라고 한다. [2] 일설에는 성안군(成安君)인 공손 조(公孫操)의 손에 살해당했다고 하고, 그냥 병으로 죽었다는 설도 있다. [3] 그만큼 연나라의 기록이 부족하다는 증거다. [4] 그때문에 악의는 감동하여, 제나라 정벌때 민심을 얻고, 최대한 조여가면서까지 완전히 멸망시키고자 했다. [5] 《열국지》에서는 연소양왕이 신선술에 빠진 나머지 중금속에 중독되어 죽었다고 했으나 《사기》에서는 그냥 죽었다고만 나온다. [6] 안타깝게도 무성왕의 이름은 실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