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26 17:47:12

소공석

소나라의 역대 군주
소나라 건국 초대 소강공
(召康公)
희석(姬奭)
??대
소 유백(召幽伯)[1]
연 국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국군

소강공
1대 국군

연후 극
2대 국군

연후 지
3대 국군

연후 무
4대 국군

연후 헌
5대 국군

연후 화
실전
7대 국군

연후 성
실전
9대 국군

혜후
10대 국군

희후
11대 국군

경후
12대 국군

애후
13대 국군

정후
14대 국군

목후
15대 국군

선후
16대 국군

환후
17대 국군

장공
18대 국군

양공
19대 국군

환공
20대 국군

선공
21대 국군

소공
22대 국군

무공
23대 국군

문공
24대 국군

의공
25대 국군

혜공
26대 국군

도공
27대 국군

공공
28대 국군

평공
29대 국군

간공
30대 국군

헌공
31대 국군

효공
32대 국군

성공
33대 국군

민공
34대 국군

희공
35대 국군

후환공
36대 국군

후문공
초대 왕

역왕
2대 왕

연왕 쾌
비정통

연왕 자지
3대 왕

소양왕
4대 왕

혜왕
5대 왕

무성왕
6대 왕

효왕
말대 왕

연왕 희
초한쟁패기

연왕 한광 | 연왕 장도 | 연왕 노관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소나라 초대 국군
연나라 초대 국군
'''
(姬)
석(奭)
아버지 주문왕(周文王) 희창(姬昌)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996년
재위 기간 음력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996년
1. 개요2. 생애3. 평가

[clearfix]

1. 개요

서주시대때의 소(召)나라의 초대 공작이자 연(燕)나라의 초대 백작으로, 주문왕의 아들이자 주무왕 주공 단의 동생이었으며, 연후 극의 아버지였다. 그는 형인 주 무왕을 따르며 상나라를 멸망시키는데 큰 공을 세워 계(薊) 땅[2]에 분봉받아 연나라의 초대 백작이 되었지만, 연나라가 주나라의 수도인 호경에서 굉장히 멀기도 하고 자신이 맡은 주 왕실의 재상일을 등한시할 수 없어, 아들인 공자 극(克)을 보내 연나라를 다스리게 했다. 그리고 자신은 채읍인 소 땅에 머물러 소(강)공 석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주 무왕 사후 형인 주공 단과 함께 조카인 성왕을 모시며 나라를 잘 다스려 주나라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인 성강지치를 이룩했다.

2. 생애

주 무왕 원년(기원전 1046년), 형인 주 무왕을 따라 목야대전에서 상군을 쳐서 격파했다. 대패한 주왕 제신은 달기와 함께 분신자살했다. 그리하여 주나라가 천하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역성혁명을 성공시킨 주 무왕은 신정권의 안정을 위해 공신과 희성 종실 및 성현의 자손들을 분봉했다. 그리하여 동북 변경의 땅에 분봉받아 연나라를 세웠다. 그러나 그는 주나라의 정사를 돌봐야 했으므로 연나라를 다스릴 여력이 없어 아들인 극에게 연나라의 백작위를 맡기고, 주나라의 내정을 돌보는데 전념했다. 그리하여 주 무왕은 석을 소읍에 봉해 소나라의 공작이 된 것이다.

주 무왕이 죽고 아들인 태자 송(誦)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주 성왕이다. 이때 3공 중 하나인 태보(太保)가 되었다. 주 성왕이 어려 주공 단이 섭정하자 그것을 불쾌히 여겼는데, 이에 주공 단이 〈군석〉이라는 글을 지어 주었다.
탕왕 대에는 이윤, 태무 때에는 이척·신호·무함, 조을 대에는 무현, 무정 대에는 간빈 등이 상나라를 다스렸는데, 이들은 현자로서 국정을 잘 이끌었다네.
소공 석이 그 말을 듣고서야 불쾌한 감정이 누그러졌다.

섬서 지역을 다스릴 때 친히 송사를 살피며 정사를 돌봤다고 한다. 그가 죽은 뒤 연나라는 극이 다스렸다. 소나라는 어느 아들에게 물려주었는지 알 수 없다.

3. 평가

형인 주공 단처럼 유능한 충신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특히 역설적으로 후대의 찬탈자들이 역사의 평가를 두려워해 주공 단을 많이 들먹인만큼 소공 석의 평가도 그와 궤를 같이 한다. 조카인 성왕을 보좌하면서 나라를 잘 통치했기 때문이다.


[1] 아들의 기록이 없어 후손인 소 유백으로 표기. [2] 현 북경 즉 베이징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