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사고 일어나기 9달전에 찍힌 사진
1994년 3월 23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홍콩으로 향하던 아에로플로트 항공 593기가 시베리아 지역에서 추락한 사고. 사고기종은 에어버스 A310-304로 탑승객 76명 전원이 사망하였다. 국내에는 항공 사고 수사대에서 방영한 덕분에 알려진 사고이다.
아무 문제없이 잘 날아가고 있던 항공기가 뜬금없이 추락한 까닭에 러시아의 적대세력에서 벌인 테러행위이거나 항공기 결함쪽을 의심하였지만, 블랙박스가 회수되고 음성기록을 분석한 결과 당시 사고조사를 하던 사람들 모두 망연자실한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사건의 정황은 다음과 같다.
2. 사고 진행
당시 아에로플로트 항공 593기의 기장 야로슬라프 쿠드린스키는 홍콩으로 가는 비행에 자신의 가족들을 동행시켰고, 이 기회에 자신의 아들과 딸에게 조종석 구경을 시켜주었다. 게다가 이륙과 착륙 또는 긴급상황을 제외하면 자동비행으로 항공기가 날아가고 있었기 때문에 이참에 아들과 딸이 직접 비행기를 조종하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자동조종장치를 조작하여 항로를 미리 결정하고 아이들에게 조종석에 앉아서 조종간을 잡아보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화근이 되었다.사실 딸 야나가 조종간을 잡은 시점까지는 문제가 없었는데, 아들 엘다르가 조종간을 잡고 나서 모종의 이유로 자동조동이 풀려버렸고 그 시점부터 비행기는 이미 아들 엘다르의 조종을 따르고 있었다. 처음 뭔가 이상함을 눈치챈 아들이 이야기하였지만, 당연히 자동조종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한 조종사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갑자기 비행기의 경로를 알려주는 화면에 원형을 그리며 선회하는 형태가 나타나자 조종사들은 크게 당황하여 9초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였다. 그 사이 비행기는 선회를 계속하고 있었고 초기에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비행기는 결국 급격한 뱅크로 인하여 실속상태에 빠졌고 나선형태로 추락하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추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높은 G로 인하여 기장이 조종석으로 이동하지 못하였고 그 사이 아들 엘다르와 부기장이 조종간을 잡고 비행기를 살려야 했다. 중간에 잠시 G가 안정된 사이에 잽싸게 기장이 조종간을 잡고 비행기를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썼으나 결국 비행기는 추락하고 말았다.
3. 의문점
3.1. 자동조종장치는 왜 풀렸는가?
사고조사 내내 조사단을 당황하게 만들었던 것은 자동조종으로 잘 날아가고 있던 비행기가 아이들이 조종간 좀 건드렸다고 추락해버렸다는 점이었다. 하지만 블랙박스 회수 이후에 자동조종장치가 풀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럼 왜 자동조종장치가 풀렸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처음에는 기장이 자동조종장치를 건드리는 과정에서 또는 아이들이 조종간을 건드리는 과정에서 실수로 푼 것이 아닌가라 생각하기도 하였는데, 조사 결과 의외로 자동조종은 스스로 해제되었다.자동조종장치는 한번 설정이 되고 나면 수동조종으로 뭔짓을 해도 씹는 것이 기본적인 원칙이었다. 하지만 조종사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힘으로 조종간을 잡는다거나 그 외의 조종장치를 건드리고 이와 같은 상황이 30초 이상 지속되어서 상황의 모순이 발생하는 경우, "조종사가 무슨 상황으로 인해서 직접 조종하려고 하는구나"라는 판단에 따라 자동조종장치가 저절로 풀리도록 설정되어 있었다. 이는 자동조종장치가 오류를 일으키거나 오작동을 하는 상황에서 조종사가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넣은 안전장치였는데, 이 사고에서는 오히려 독이 되었던 것.
하지만 당시 항공기는 자동조종버튼에 설치된 등의 On/Off 여부 이외에는 자동조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러시아의 자동조종장치에 경우 위와 같이 강제로 자동장치가 해제될경우 점등뿐만 아니라 비프음이 울려 조종사에게 경고하지만 에어버스 기종은 오직 On/Off등만이 Off로 됐을 뿐이었다. 쿠드린스키는 기존의 러시아산 여객기를 운항하다 에어버스로 넘어온것이었는데 당시 그는 자동조종장치가 해제될때 On/Off등만 점등되는 사실을 교육받지 못했다. 이에 따라 조종석에 그 누구도 자동조종장치가 풀렸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사고를 방지할 수 없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조종사가 직접 Off하는 것 이외의 상황에서 자동조종이 해제된다면 이를 반드시 경고하여 알려줘야 된다는 설계지침이 추가되었다.
3.2. 나선선회에 빠진 시점에서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었는가?
정답은 의외로 'No'. 그것도 아주 쉽게 항공기를 살릴 수 있었다. 바로 조종간에서 손을 놔버리는 것.모든 항공기는 실속상태에 빠졌을 경우 기계가 스스로 자동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훈련기들의 경우 이런 능력이 우수하여 우리나라의 KT-1 같은 경우 수동조작보다 기체의 자동 회복이 빠른 몇안되는 기체다) 당시 항공기였던 A310-304기종 역시 이와 같은 능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조종사들은 그냥 조종간을 놔버렸으면 해결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도저히 자신의 힘으로 살릴 수 없으면 그냥 조종간을 그냥 놔버리는 것이 최선이라는 교육 역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엄밀히 말하면 최선일 뿐이지 해결되는건 아니다. 충분한 고도가 없다면 실속에서 회복되기 전에 추락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경우 사람이 조종하여 실속에서 회복하는게 빠르며 조종사들은 실속 회복 훈련을 받는다.) 하지만 상황이 갑작스러운 방향으로 전개되자 베테랑 조종사들도 크게 당황하고 말았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의 연속에 혼란해진 상황에서 어떻게든 수동으로 살리려고 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튼 이 사고에 대해서는 기장에게 비난의 화살이 날아가고 있다. 아들의 경우에는 아버지가 해보라길래 어린 나이에 멋모르고 따른 것이라 할 수 있어도, 원래 조종에 있어서 신중을 기해야 했을 기장의 행동은 명백히 경솔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현재는 9.11 테러 이후 조종석 문은 항상 걸어잠그도록 규정하고 있고, 규정된 상황이 아니면 절대 열면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런 규정 덕분에 앞으로 이런 유형의 사고는 발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