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25:18

신대방동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d6d00>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ed6d00> 노량진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구청
노량진동
노량진2동
상도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상도동
상도2~4동
흑석동 흑석동
사당1, 3~5동 사당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사당2동
대방동 대방동
신대방1, 2동 신대방동 }}}}}}}}}
동작구 법정동
신대방동
新大方洞 | Sindaebang-dong
<colbgcolor=#ed6d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동작구
행정표준코드 1159010900
관할 행정동 신대방1동, 신대방2동
하위 행정구역 59통 399반
면적 1.66㎢
인구 45,200명[A]
인구밀도 27,228.92명/㎢

1. 개요2. 지명 유래3. 역사4. 특징5. 교통
5.1. 철도교통5.2. 도로교통5.3. 버스교통
6. 상권7. 교육
7.1. 관내 학교 목록
8. 주요 시설
8.1. 기업8.2. 숙박시설8.3. 주거
9. 행정동 일람
9.1. 신대방1동9.2. 신대방2동
10. 출신 인물11. 여담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동작구 법정동. 행정동으로 신대방1동과 신대방2동을 두고 있다.

2. 지명 유래

출처[2] 신대방(新大方)이라는 이름은 대방동과 접한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1970년 서울특별시 조례 제613호에 의거 대림동에서 분동(分洞)되었다.

3. 역사[3]

년도 와우산 서쪽 와우산 동쪽 병무청 남쪽 병무청 북쪽·용마산 서쪽 용마산 동쪽
1759
이전
금천현 하북면
쇠냇피
衿川縣 下北面
牛臥陂里
금천현 하북면
번댕이
衿川縣 下北面
焚塘里
금천현 하북면
가마꿀
衿川縣 下北面
釜谷里
금천현 하북면
높은절이
衿川縣 下北面
高寺里
1795 시흥현 하북면
쇠냇피
始興縣 下北面
牛臥陂里
시흥현 하북면
번댕이
始興縣 下北面
番大坊里
시흥현 하북면
가마꿀
始興縣 下北面
釜谷里
시흥현 하북면
높은절이
始興縣 下北面
高寺里
1895 시흥군 하북면
쇠냇피
始興郡 下北面
牛臥陂里
시흥군 하북면
번댕이
始興郡 下北面
番大方里
시흥군 하북면
가마꿀
始興郡 下北面
釜谷里
시흥군 하북면
높은절이
始興郡 下北面
高寺里
1914 시흥군 북면
번대방리
始興郡 北面
番大方里
1936 시흥군 동면
번대방리
始興郡 東面
番大方里
경성부
번대방정
京城府
番大方町
1943 경성부 영등포구
번대방정
京城府 永登浦區
番大方町
1946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번대방동
永登浦區 番大方洞
1949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번대방리
永登浦區 番大方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번대방동
永登浦區 番大方洞
195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대방동
永登浦區 新大方洞
195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방동
永登浦區 大方洞
1973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대방동
冠岳區 新大方洞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방동
冠岳區 大方洞
197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永登浦區 新吉洞
1980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銅雀區 新大方洞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
銅雀區 大方洞
  • 옛 우와피리는 와우산 서쪽 지역만을 가리키고, 이를 계승한 현재의 신대방동은 대방천 이남 지역을 가리킨다는 차이점이 있다.
  • 1911년 우와피리가 번대방리에 흡수되어 사라진 후 1936년 번대방리 중 대방천 이북 지역이 경성부에 편입되었으며, 남은 번대방리는 나중에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신대방동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북면에 속하게 되었다가 1936년 북면 중 경성부에 속하지 않게 된 리는 동면으로 이관되었다.
  • 1975년 대방로(현 여의대방로의 일부)를 기준으로 대방동·신대방동과 신길동의 경계가 조정되었다. 이 때 영등포구로 넘어간 대방동·신대방동 구역은 신길6동 전 영역, 7동 일부를 이루었다. #

4. 특징

  • 동작구 법정동 중 금천구와 가장 가까운 동네다. 남부순환로를 넘어가면 바로 금천구 독산동이기 때문.[4]

5. 교통

5.1. 철도교통

5.2. 도로교통

5.3. 버스교통

6. 상권

7. 교육

7.1. 관내 학교 목록

초등학교 - 문창초등학교, 서울보라매초등학교
중학교 - 대방중학교, 문창중학교
고등학교 - 수도여자고등학교
대학교 -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8. 주요 시설

8.1. 기업

8.2. 숙박시설

8.3. 주거

  • 벽산건설(주) 펭귄아파트 ㅡ 총 2개동 60가구. (총 5층) ㅡ 1978년 11월 입주.
  • 우성건설 신대방 우성아파트 - 1988년 입주.[5]
  • 현대건설 보라매현대 ㅡ 총 1개동 82가구 (총 11층~25층) 1996년 11월 입주.
  • 현대건설 신대방현대 ㅡ 총 6개동 892세대 (총 20층) 1996년 입주.
  • 뉴홍현종합건설(주) 뉴홍현 ㅡ 총 1개동 19가구. (총 6층) 2002년 10월 입주.
  • 롯데건설 보라매 롯데낙천대 - 총 7개동 734가구. 2003년 6월 30일 입주.
  • 성원건설 동작 성원상떼빌 - 2006년 8월 입주.
  • (주)삼호 e편한세상 보라매 - 2010년 7월 입주.
  • GS건설 보라매자이 더 포레스트 - 2021년 10월 입주.
  • 협성건설 동작 협성휴포레 시그니처 - 2022년 4월 입주.

9. 행정동 일람

9.1. 신대방1동

동작구 행정동
신대방제1동
新大方第一洞 | Sindaebang 1(il)-dong
<colbgcolor=#ed6d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동작구
행정표준코드 3190057
관할 법정동 신대방동
하위 행정구역 36통 216반
면적 0.62㎢
인구 23,249명[A]
인구밀도 37,498.39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동작구 갑

김병기 (3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최민규 (초선)
동작구의원 | 라 선거구

이주현 (초선)

장순욱 (초선) }}}}}}}}}
행정복지센터 신대방길 72 (신대방동 604-8)
신대방1동 주민센터

동작구의 서남쪽 끝이다. 서쪽은 영등포구 대림동, 북쪽은 영등포구 신길동, 남쪽은 도림천을 통해 관악구 조원동과 접하고 있다. 문창초, 대방중이 있다.

신대방역 3번, 4번 출구와 직접 접하며, 구로디지털단지역 6번 출구와도 거의 붙어 있다. 그리고 신라스테이 구로가 여기에 있다.[7]

여의대방로변의 아파트단지와 대림사거리 ~ 신대방역 사이의 주택가ㆍ다세대 간은 같은 동네라 보기 힘들 정도로 풍경이 다르다. 외국인 비율이 20.7%로, 동작구 최대의 외국인 거주지인데 이것도 당연히 둘 중 후자에 해당된다.
[clearfix]

9.2. 신대방2동

동작구 행정동
신대방제2동
新大方第二洞 | Sindaebang 2(i)-dong
<colbgcolor=#ed6d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동작구
행정표준코드 3190058
관할 법정동 신대방동
하위 행정구역 23통 183반
면적 1.03㎢
인구 21,951명[A]
인구밀도 21,311.65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동작구 갑

김병기 (3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최민규 (초선)
동작구의원 | 라 선거구

이주현 (초선)

장순욱 (초선) }}}}}}}}}
행정복지센터 여의대방로24길 76[9]
신대방2동 주민센터

그 유명한 보라매공원의 대부분의 면적이 여기에 있다. 보라매공원 면적의 5%를 차지하고 있는 옆동네 관악구에서 행정동 이름을 보라매동으로 정해서 싸움이 붙기도 했다. 이외 시설로는 동작소방서, 기상청,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농심그룹 본사, 보라매초등학교, 문창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가 있다. 행정구역상 직접 접하지 않지만, 가까운 철도역으로는 신대방역, 보라매역, 신대방삼거리역, 보라매공원역, 보라매병원역이 있다.

신대방삼거리역에서 당곡사거리로 내려가려면 큰 언덕을 건너야 하는데[10], 조선시대 이 언덕을 거북고개라 했다가 6.25 전쟁이 나면서 생긴 미망인과 그 자녀들을 위해 이 일대에 주택단지를 만들면서 과부촌, 또는 모자원(母子院)고개라 불리게 되었다. 이 때 들어온 사람들과 만들어진 주택단지는 지금은 모두 없어지고, 모자원고개라는 이름만 남았다. 지금도 인근 주민들은 이 언덕을 모자원고개라 부르며, 버스정류장 명칭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2016년 1월 기준으로 신대방삼거리역에서 신대방2동 동사무소에 걸쳐있는 낡은 주택가들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신대방2동 동사무소 주위에는 현재 빌라촌이 철거가 예정되어 있는데, 아직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또한 보라매공원 북쪽에 위치해 있는 빌라촌들 역시 철거하고 보라매파크시티를 조성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기상청이 있는 곳답게, 날씨누리의 기본 측정 장소이다.

이웃한 대방동ㆍ상도동 및 관악구 봉천동(보라매동)과의 경계가 다소 특이하다. 대방동과의 경계는 여의대방로24길이라는 동네길인데, 신대방2동사무소가 하필 여기에 딱 붙어 있다. 그래서 이 동네길을 사이에 두고 이웃한 대방동의 코오롱하늘채아파트 등 상도로(7호선) 이남 동네 주민들에게는, 대방동사무소보다도 이 신대방2동사무소가 훨씬 더 가깝고 같은 동네의 관공서처럼 여겨진다.
[clearfix]

10. 출신 인물

11. 여담

죽음의 돈까스를 파는 온정돈까스가 신대방2동 동사무소 건너편에 있었다. 지금은 신림동으로 이사갔다.

SBS 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의 배경이었던 동네이다. 극중 주현과 종옥, 오중 등이 일하던 소방서도 동작소방서였고, 주현네 집과 홍렬네 집도 신대방동에 있던 설정이었다. 다만 소방서를 제외한 다른 장소들은 실제 촬영을 일산신도시에서 했다.

[A] 2024년 5월 주민등록인구 [2] 이는 오류다. 아래 '역사' 참조. [3] 조선 시대 시흥군 지리 내용은 여지도서, 호구총수, 시흥군읍지의 기록을 따름. [4] 사당동 서초구와 가장 가깝다면 이 동네는 금천구와 가장 가깝다. [5] 해당 아파트 부지가 옛 우성산업(舊 원풍모방) 공장 터였다. [A] [7] 볼드체를 친 이유는 이름과 달리 구로구에 없기 때문. [A] [9] 신대방동 723 [10] 국사봉의 지류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