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악의 종류
한강 이남과 태백산맥 서쪽 지방의 무속 음악에서 유래한 민속 기악 합주곡으로, 남도민요(육자배기 토리) 선율을 기본으로 각종 악기가 허튼가락을 연주하는 곡이다. 북한에서는 신아우로 불리며, 함경도 지방의 퉁소 신아우가 널리 알려져 있다.
한문으로는 심방곡(心方曲), 신방곡(神房曲)[1][2]으로 쓰고 음역할 때는 신아위(神娥慰) 등으로 쓴다. '시나위' 라는 단어의 어원은 불분명한데 신라 때 노래를 뜻하는 '사뇌(詞腦)(또는 사뇌가)' 에서 비롯했다는 설도 있고 '정악(正樂)' 에 대비되는 의미, 즉 정악보다 격이 떨어지는 향악이라는 뜻을 가졌다고 해석하기도 한다.[주의]
산조 대금, 향 피리, 해금등의 관악기들이 장구와 북 장단(가끔씩 징이 들어가기도 한다)에 맞춰 자유분방하게 연주한다. 다만 현대에는 가야금이나 거문고, 아쟁같은 현악기들도 함께 편성할 때가 많고 심지어 퉁소나 태평소 같은 악기까지도 포함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기본적인 틀은 있지만 고정된 선율이 없고 유동적이며 즉흥적인 선율이다.[4] 서양의 재즈 음악과 비슷하게 악사들이 서로 끄덕끄덕하고 대충 서로 맞춘 다음에 연주한다는 느낌도 강하다. 특히나 초창기 재즈의 모습이 시나위와 아주 흡사한데, 드럼 박자에 맞추어 악기들이 한 코드 진행을 다른 멜로디로 연주를 하는 음악적인 특성이 아주 유사하다. 각 연주자들이 합주를 하다가 돌아가면서 각 악기가 하나씩 독주를 하는 허튼가락이 들어가는 것도 시나위의 특징 중 하나이다.
처음 들었을 때에는 악기가 제각기 아무 가락이나 연주하는 것 같이 들려 불협화음이 거슬린다고 느낄 수 있으나 여러 악기가 특정 선율에 매이지 않고 각자 독립성을 가지고 독주처럼 짜임새 있게 연주하면서 전체적으로 크게 어우러지는 조화로움이 생명력 넘치는 민속 음악의 세계를 보여준다.
참고로 이 시나위 가락을 정리해서 장단의 틀을 만들고 각 악기의 독주곡으로 파생된 것이 산조라는 말도 있는데, 산조는 류파마다, 악기마다 원형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시나위만 원형이라고 볼 순 없다.
2. 한국의 밴드
자세한 내용은 시나위(밴드) 문서 참고하십시오.3. 앙상블 시나위
Ensemble Sinawi
신현식(아쟁), 정송희(피아노), 이봉근(소리), 하세라(가야금), 김지혜(타악)로 구성된 국악연주단. 2011년 1월에 1집 앨범 '영혼을 위한 카덴차'를 냈다.
|
앙상블 시나위 - 영혼을 위한 카덴차 |
[1]
문헌에 나오는 명칭으로 '
무당이
굿할 때 쓰는 음악' 이라는 뜻.
[2]
하지만 시나위의 어원은 정확하지 않음으로 이야기할때는 주의
[주의]
그러나 국악을 비롯해 음악에는 급이나 격이 떨어진다는 개념이 원래는 없기에 마지막 해석은 굉장히 위험하고 민속악 연주자들에게 불쾌한 느낌을 줄수도 있는 발언이다.
[4]
그래서
전라도 쪽에 가면 판소리 평계면 선율에
육자배기 같은 지방 민요 가락까지 섞어서 연주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