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54:38

승리자동차종합기업소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기업소
중화학공업
<colbgcolor=#cccccc,#333333> 군수 태성기계공장 ( 남포시) · 평화자동차공장 ( 남포시) · 전천 2.8 기계공장 ( 자강도) · 평양 1월 25일 기계공장 ( 평양시)
농업기계 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 ( 남포시) · 강계뜨락또르종합공장 ( 자강도)
비료 순천린비료공장 ( 평안남도) · 흥남비료련합기업소 ( 함경남도)
전자기기 대동강텔레비죤수상기공장 ( 평양시)
시멘트 상원세멘트련합기업소 ( 황해북도) · 순천세멘트련합기업소 ( 평안남도)
자동차 금평자동차 ( 평양시) · 삼흥회사 ( 평양시) · 승리자동차종합기업소 ( 평안남도) · 조선평운중성합영회사 ( 평양시) · 청진버스공장 ( 청진시) 청풍합영회사 ( 량강도) · 평화자동차종합공장 ( 남포시) ·
오토바이 부강오토바이회사공장 ( 평양시)
정밀기계 강계정밀기계련합기업소 ( 자강도)
정유 승리화학련합기업소 ( 라선시) · 봉화화학공장 ( 평안북도)
제철·제강 천리마제강련합기업소 ( 남포시) · 황해제철련합기업소 ( 황해북도) · 김책제철련합기업소 ( 함경북도) · 성진제철련합기업소 ( 함경북도)
조선소 함북조선소련합기업소 ( 함경북도)
종합기계 대안중기계련합기업소 ( 남포시) · 락원기계련합기업소 ( 평안북도) · 북중기계련합기업소 ( 평안북도) · 룡성기계련합기업소 ( 함경남도)
종합화학 남흥청년화학련합기업소 ( 평안남도) · 순천화학련합기업소 ( 평안남도) · 2.8비날론련합기업소 ( 함경남도) · 7.7련합기업소 ( 함경북도)
철도차량 김종태전기기관차련합기업소 ( 평양시) · 원산철도차량련합기업소 ( 강원도)
탄광기계 라남탄광기계련합기업소 ( 함경북도)
경공업
가공식품 대성산아이스크림공장 ( 평양시) · 평양어린이식료품공장 ( 평양시) · 평양강냉이가공공장 ( 평양시)
음료 대동강맥주공장 ( 평양시) · 대성산샘물공장 ( 평양시) · 룡악산샘물공장 ( 평양시)
신발 순천구두공장 ( 평안남도)
인쇄 평양종합인쇄공장 ( 평양시)
· 목장
국영농장 강동온실농장 ( 평양시) · 9.21농장 ( 자강도) · 련포온실농장 ( 함경남도) · 중평온실농장 ( 함경남도) · 황주과수농장 ( 황해북도) · 삼천담배농장 ( 황해남도)
종합농장 대동강과수종합농장 ( 평양시) · 선봉종합농장 ( 라선시) · 고산과수종합농장 ( 강원도) · 대홍단군종합농장 ( 량강도)
협동농장 청산협동농장 ( 남포시) · 함주과수전문협동농장 ( 함경남도)
목장 력포목장 ( 평양시) · 부전사슴목장 ( 함경남도) · 세포등판 ( 강원도) · 운곡목장 ( 평안남도)
수산사업소 김책수산사업소 ( 함경북도)
일용직노동
청년돌격대 백두산영웅청년돌격대 ( 량강도)
}}}}}}}}}



파일:승리자동차종합기업소 로고.svg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파일:승리자동차련합기업소.jpg

평안남도 덕천시( 대한민국 이북5도 기준 평안남도 덕천군)에 자리잡은 북한 최대의 자동차 생산 공장.

여기서 기업소는 쉽게 말하자면 국영 기업 비스무리한 거다. #

2. 역사

파일:승리_58_Thumbnail.jpg
승리-58
한국 전쟁 직후인 1956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원조로 건설된 '덕천자동차공장'이 모체이다. 1958년 북한 최초의 자동차인, 소련 GAZ-51 화물차를 라이센스한 2.5톤 화물차 " 승리-58"을 자체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60~80년대를 거쳐 설비와 기술을 확충하여 '자주호', '백두산호', '갱생호', '집산호', '태성호', '태백산' 등 각종 군용·민용 화물차·승용차·버스를 자체 생산하였으나, 내수 수요만 근근히 충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5년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북한의 여느 기업소와 마찬가지로 생산기반이 크게 붕괴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서 겨우 이를 회복하고 있다고 한다. 2009년에는 생산량을 2012년까지 연 1만 대[1]까지 늘리겠다고 선언했다지만 글쎄... 2017년에는 김정은 현지지도하기도 하였다.

파일:승자연기 1.png

자동차 제작에 필요한 자재나 부속품은 자체로 생산하고 있지만, 여전히 외국차를 복제하여 생산하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기술 수준도 남한에 비해 조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부지 넓이는 25만㎡, 종업원의 수는 약 2.5만명에, 연간 약 3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갖추었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생산량은 이보다 적을 것이다.) 여전히 1급 기업소로 대우받는 등 북한 최대의 자동차 생산 공장으로서 위상을 잃지 않고 있다.


[1] 북한이 경제적으로 멀쩡하게 굴러가던 1970년의 생산량이라고 한다. 참고로 남한의 자동차 생산량은 2009년 350만 대, 2017년 410만 대이다. 2022년에는 376만 대로 약간 줄었지만 그래도 독일보다도 많은 세계 5위 수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