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2:50:13

SR 베이고맥스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SR(유희왕)
,
,
,
,
,

1. 원작2. OCG

1. 원작

파일:SpeedroidTerrortop-JP-Anime-AV.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소환=, 효과=,
한글판명칭=<ruby>SR<rp>(</rp><rt>스피드로이드</rt><rp>)</rp></ruby> 베이고맥스,
일어판명칭=<ruby>SR<rp>(</rp><rt>スピードロイド</rt><rp>)</rp></ruby>ベイゴマックス,
영어판명칭=Speedroid Terrortop,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600,
종족=기계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ARC-V에서 유고 유토와의 듀얼 중 사용. 첫 턴에 특수 소환돼 HSR 마검다마의 싱크로 소재가 됐다.

모티브는 일본의 나무팽이를 뜻하는 '베이고마(ベーゴマ)'+' 맥스'.

2. OCG

파일:SRベイゴマッ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SR<rp>(</rp><rt>스피드로이드</rt><rp>)</rp></ruby> 베이고맥스,
일어판명칭=<ruby>SR<rp>(</rp><rt>スピードロイド</rt><rp>)</rp></ruby>ベイゴマックス,
영어판명칭=Speedroid Terrortop,
속성=바람,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600,
종족=기계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SR(스피드로이드) 베이고맥스" 이외의 "스피드로이드"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OCG화되면서 통상 소환이 가능해졌고, 소환 성공시 SR 몬스터 서치 효과가 추가돼 초반 전개를 책임지는 카드가 됐다.

사이버 드래곤과 달리, 상대 몬스터 상황이 어떻든 자신 몬스터 존만 비어있으면 자체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특수 소환해서 타케톰보그를 패에 넣어 붉은 눈의 다이스로 이으면 레벨 2~7 싱크로 몬스터들을 다양하게 전개할 수 있고, 묘지 자원이 충분하면 SR 더블요요를 가져와 묘지에서 붉은 눈의 다이스를 퍼와서 레벨을 조정,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날리는 등 다양한 쓰임새가 있는 SR의 전개 핵심이다.

하지만 나온 당시에는 정작 쓰라는 정통 싱크로 SR은 거의 안 보이고, 이 카드+타케톰보그만 용병으로 투입한 덱이 태반이었다. 일반 소환권도 안 쓰고 선턴에 소환할 수 있는 데다, 소환하고 서치한 타케톰보그도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어서 패 1장 소모에 일반 소환권도 안 쓰고 랭크 3 엑시즈 몬스터가 튀어나오는 것. 공식에서도 이를 충분히 잘 알고 있는지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 유사 쇼마가 전뇌계 덱을 구축하는 도중 나온 구축월드에서는 전뇌계도 지우롱에 타케톰보그와 같이 있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

가장 자주 채용하는 덱은 피안 덱. 사실 이 카드 3장과 타케톰보그 1장만 끼워넣고 SR 피안이라고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타케톰보그를 이미 써서 서치를 못 해도 특수 소환 능력 때문에 포톤 스래셔의 레벨 3 버전처럼 쓸 수 있어서 문제 없다.

심지어 기존에 랭크 3 엑시즈 소환과는 전혀 관계없는 덱들도 토템 버드 등의 견제 랭크 3 엑시즈 소환을 하기 위해 용병으로 투입했다. 제왕 덱에선 릴리스 용도로 썼으며, Kozmo도 활용했다. 확실히 패 1장에 일반 소환 없이 릴리스 소재 몬스터 2장이 마련되는 게 실용적이다.

십이수 덱의 등장 이후 이 카드의 영향력이 한층 더 강력해졌는데, 범용 랭크 3 엑시즈 몬스터인 M.X-세이버 인보커를 통해 일반 소환을 안 하고 십이수 모르모래트를 소환할 수 있었기 때문. 이로써 이 카드는 십이수의 핵심 마법 카드인 십이수의 회국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

SR피안 주축 3축의 필수 카드인데도 슈퍼 레어여서 평균 가격이 2750엔까지 올랐지만, 국내에선 하이스피드 라이더스의 슈퍼 레어 봉입률이 1통에 9장으로 일본 가격의 1/4 정도에 구할 수 있었다. 이후 일본에서도 재록돼 쉽게 구할 수 있다.

2017년 1월에 제한이 됐다가 2018년 7월에 준제한으로 완화됐다. 완화되자마자 강귀에서 패 1장으로 일반 소환도 필요 없는 엑스트라 링크 용도로 절찬리에 쓰였으며 그 외의 덱에서도 쓰이는 등 환경 변화에도 여전히 강력한 카드임을 입증했다. 타케톰보그와 같이 인보커의 엑시즈 소재가 돼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링크 소환하거나,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로 링크 소환해 댄디라이언을 묘지로 보내고 토큰 1장을 링크 스파이더로 바꿔주면 3 소재의 쇄룡사-스컬데드가 탄생했다. 이후 댄디라이언, 그로우업 벌브, BF-은신의 스팀, M.X-세이버 인보커가 2019년 1월에 금지되고, 2019년 4월에 베이고맥스는 다시 제한이 됐다.

이후 용사의 등장으로, 성전의 수견사를 덱에서 확정적으로 덤핑해 아라메시아의 의를 무조건 서치할 수 있는 케루비니가 재평가받으며, 현재 풀리지 않고 있는 이 카드의 제재 현황은 신의 한 수로 작용하고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4년 1월 금제로 제한에서 무제한으로 석방되었고 마침 이전 금제들에서 인보커 제한과 회국 무제라는 변화가 있었던만큼 본진인 스피드로이드, 케루비니, 3엑시즈의 3축덱, 전사족/야수전사족 굿 스터프 덱이 환경에 영향을 끼칠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일단 석방과 동시에 초중무사가 환경의 중심에 등극하면서 베이고맥스 전개에 치명적인 드롤 & 로크 버드가 메인 패 트랩이 된 상황이라 환경권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다만 드롤 자체가 상당히 극단적인 패 트랩이고, 일소권 소모 없는 원핸드 전개 파워 자체는 현 시점에서도 상당히 강한지라, 드롤 메타가 완화되면 떠오를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 중론. 드롤메타 이후에는 샐러맨그레이트 불꽃성기사가 초동으로서 애용하는 중이며, 같이 완화된 십이수 역시 아머드 엑시즈 파츠를 받으면서 고점을 올리는 형태로 나아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하이스피드 라이더스 SPHR-KR001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링크 브레인즈 팩 2 LVP2-KR083 레어 한국
듀얼리스트 팩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DP25-KR008 노멀 한국
ブースターSP - ハイスピード・ライダーズ- SPHR-JP001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INK VRAINS PACK 2 LVP2-JP083 레어 일본
デュエリストパック -疾風のデュエリスト編- DP25-JP008 노멀 일본
High-Speed Riders HSRD-EN001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3 OP03-EN002 얼티미트 레어 미국
Star Pack Battle Royal SP17-EN022 노멀
스타포일 레어
미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