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7:22:59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순천시 CI_White.svg 전라남도 순천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순천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금당고등학교 순천매산고등학교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 순천복성고등학교 순천여자고등학교 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 순천제일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팔마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순천효천고등학교 한국바둑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Suncheon Gangnam Girls' High School
順天江南女子高等學校
교훈 참된 생활(眞), 바른 마음(善)
고운 품성(美)
개교 1984년 3월 7일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여학교
운영형태 사립
교화
교목 살구나무
교색 청색
학생 수 593명
2023학년도 기준
교직원 수 56명
2023학년도 기준
관할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 조례1길 4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교훈 및 상징4. 학교 시설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5.2. 학교 일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6.2. 철도
7. 사건사고8. 출신 인물9. 기타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순천시의 사립 여자고등학교이다. 교명은 남쪽에 있는 강 주변의 학교라는 뜻이다.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명예 강남인, 항상 바르게 커라!

4. 학교 시설

학교가 오래돼서 좀 낡은 편이다.

두 개의 본관과 중간 건물[1], 행사관[2], 기숙사로 이루어져 있다. TV가 설치된 것도 불과 2년 전의 일이다. 최근 시설을 좀 개선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인다. 학교에 온 후 빔 프로젝터에 대해 환상이 깨진 학생들이 적지 않다. TV에 비해 그닥 선명하지 않은 화질을 보이며, 조명을 켠 상태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각 층의 모든 화장실이 아닌 일부 화장실은 대리석 자재로 이루어져있으며, 방향제도 설치되어있다.

5. 학교 생활

생활복은 여름 즈음에 입을 수 있다. 원래는 1, 2, 3학년이 모두 다른 색으로, 색상은 남색, 베이지색, 붉은색[3]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3년 기준 생활복 또한 전학년 남색으로 변경되었다.

5.1. 주요 행사

5월 중에 열리는 체육대회와 12월 말에 열리는 강남제가 대표적이다.

5.2. 학교 일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왕조1동행정복지센터[4] 22번, 100번
왕조1동행정복지센터[5] 22번, 101번
강남여고[6] 56번
조례호수도서관[7] 56번

6.2. 철도

7. 사건사고

2023년에 신대지구로 이전한다는 소문이 있었다. 기사까지 났으나 사실무근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사립학교법 위반으로 고발당했다. #

8. 출신 인물

채영인
이다몽: 머리카락을 뽑으면을 연재한 웹툰 작가

9. 기타

외국어고등학교가 아님에도 독일어를 가르쳤던, 흔치 않은 고등학교 중 하나이다.
[1] 벽돌로 지어진 두 개의 본관과 그 사이를 이어주는 통유리의 건물의 모습이 상당히 이질적이다. [2] 행사관 1은 강당, 행사관 2는 시청각실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다닐 행(行)이 아닌 교목을 딴 살구 행(杏)을 쓴다고 한다. [3] 코피색에 가깝다. [4] 신월방면. 주의: 56번은 버스정보시스템에 보여지는 내용과는 다르게 정차하지 않는다. [5] 시영아파트방면. [6] 두지마을방면 [7] 왕조우체국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