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數 | 典 | 忘 | 祖 |
셀 수 | 법 전 | 잊을 망 | 조상 조 |
1. 개요
근본을 잊거나 자기 나라 역사와 문화를 모름을 뜻하는 고사. 음수사원(飮水思源)과 반대의 뜻이다.2. 유래
기원전 527년 8월 무인일에 경왕(景王)의 왕후인 목후가 붕어하자 진나라의 대부 문백(文伯) 순력(荀躒)은 적담(籍談)을 부사(副使)로 삼아 12월에 진위사(陳慰使)[1]로 갔다. 상례가 끝나고 상복을 가볍게 갈아입으면서 상례 끝나서 수고했다는 의미로 잔치를 벌였다.[2] 이때 노나라가 왕실에 바친 청동기에 술을 담아 베풀었는데 여기서 고사가 비롯하였다. 출처는 춘추좌씨전 노소공 15년이다. 출전을 알기 쉽게 해석하면 이러하다.
경왕 :
노나라는
왕실에 청동기를 바쳤는데
진나라는 왜 안 바치냐?
순력 : (적담에게 읍을 하다.)[3]
적담 : 주나라가 진나라에게 하사한 청동기가 없는데 어쩌라고요?
경왕 : 임마! 안 주긴 뭘 안 줘? (주나라가 진나라에 하사한 걸 설명하다가) 또 네 씨(氏)가 적(籍)인 건 진나라의 공문서를 관리하는 벼슬을 세습해서 나온 건데 어떻게 네 나라의 공문서를 다스리면서 네 나라가 왕실에서 뭘 받았는지도 모르냐? (적담이 데꿀멍하고 나가자 독백) 쟤는 대가 끊어질 거야.[4] 전적을 들먹이면서 조상을 잊었으니까.(數典而忘其祖)
순력 : (적담에게 읍을 하다.)[3]
적담 : 주나라가 진나라에게 하사한 청동기가 없는데 어쩌라고요?
경왕 : 임마! 안 주긴 뭘 안 줘? (주나라가 진나라에 하사한 걸 설명하다가) 또 네 씨(氏)가 적(籍)인 건 진나라의 공문서를 관리하는 벼슬을 세습해서 나온 건데 어떻게 네 나라의 공문서를 다스리면서 네 나라가 왕실에서 뭘 받았는지도 모르냐? (적담이 데꿀멍하고 나가자 독백) 쟤는 대가 끊어질 거야.[4] 전적을 들먹이면서 조상을 잊었으니까.(數典而忘其祖)
실제로 적담의 손자 적진(籍秦)은 대부 중항인(中行寅)[5]의 가신으로 있다가 중항씨가 진나라의 다른 대부들의 공격으로 패망할 적에 포로로 잡혔고 자손이 없었으니 경왕의 말은 예언이 되었다.
이 고사에는 후일담이 있다. 좌전의 저자는, 이 말을 적담에게서 전해들은 숙향(叔向)이 상례가 끝났다고 바로 놀자판을 벌이고 제후에게 물건을 요구한 주경왕의 행태를 비판한 말을 기록했다. 두예는 좌전의 저자가 이 전을 기록한 까닭을 7년 후 주경왕 사후 벌어진 내란의 배경을 서술한 것이라고 주석을 달았다.
[1]
천자와 말미가 있는 상사(喪事)에 보내는 사절. 쉽게 말해서 조문사절
[2]
삼년상을 읽으면 알겠지만 고대 중국의
상례는 매우 빡셌으니 끝나고 나서 수고했다고 잔치를 벌일 만도 하다.
[3]
할 말이 없어서 적담에게 대신 답하라고 한 거다. 요즘으로 치면 옆구리를 쿡 지른 격
[4]
오늘날 같은 저출산 시대에는 오히려 대를 끊겠다고 작정한 사람이 많지만 19세기만 해도 대가 끊어진다는 건 심각한 문제였다. 하물며 고대에는 더욱 심각한 일이었으니 고대에 대가 끊어질 거라는 얘기는 매우 험악한 말이다.
[5]
여기서 行은 가다는 뜻이 아니라 군대(요즘으로 치면 소대)라는 뜻으로 쓰였기 때문에 항으로 읽어야 한다.
속음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