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
수업료 (1940) 授業料 | Tuition |
|
<colbgcolor=#444><colcolor=#fff> 감독 | 최인규, 방한준 |
원작 | 우수영 |
각색 | 야기 야스타로(八木保太郎) |
대사 | 유치진 |
제작 | 이창용 |
제작사 | 고려영화 남대문촬영소 |
기획 | 니시카메 모토사다(西亀元貞) |
촬영 | 이명우 |
조명 | 최진 |
음악 | 이토 센지(伊藤宜二), 도쿄교향관현악단 |
편집 | 양주남 |
출연 | 스스키다 겐지(薄田研二), 정찬조, 복혜숙, 문예봉, 김신재 |
개봉일 | 1940년 4월 30일 |
[clearfix]
1. 개요
|
1940년 개봉한 일제강점기 시절 영화. 연출은 최인규, 방한준이 공동 감독하였다. 주연은 정찬조, 김종일. 원래는 최인규 감독의 단독작품인데 촬영 중 병이 나서 방한준 감독이 마무리를 했다.
2. 상세
경성일보의 경일소학생신문 공모에서 조선총독상을 받은 우수영의 작문을 원작으로 한다. 한국 최초의 아동 주연의 어린이 영화라는 이야기도 있다.배경은 경기도 수원군(현 수원시 팔달구) 매향심상소학교.
김수용 감독의 저 하늘에도 슬픔이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 고전기 시기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 가난이 중심 소재가 되는 장르의 작품에는 크든 작든 영향을 주었다.
2014년 6월 중국에서 오리지널 필름이 발굴되어 복원작업을 거쳐 2015년 극장 및 DVD로 공개되었다.
초반부 4~6분경에 교실 칠판에 그린 지도를 보면 1940년 당시 일본의 통치 구역이었던 한반도 + 일본 본토 + 남사할린 + 쿠릴 열도가 나타나 있다.
영화 자체만 본다면 "불쌍한 조선인 학생과 선한 일본인 교사"에 관한 감동적인 얘기지만, 조선인을 불완전한 존재(병들거나, 어리거나, 부재함)로 묘사하고 반대급부로 일본인은 완벽한 존재(선하고, 행동력 있으며, 지위가 높음)로 묘사되는 등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를 우회적으로 정당화한다고 볼 수 있는 시대적 맥락이 나타나 있다.
수업료를 구하기 위해 숲속 길을 걸어가며 무서워하는 주인공 조선인 소년(영달)이 두려움을 쫓기 위해 일본군 군가[1]를 부르는 장면도 오늘날의 한국인 관객이 보기에는 씁쓸해지는 장면이다. 그 외에도 영화에 나오는 일본인 선생은 조선어를 하지 못해 주인공의 할머니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조선인 학생들은 학교에서 일본어, 집에서는 조선어를 쓰며, 식사 때 사용하는 밥그릇의 크기가 매우 크다는 점 등 당시의 시대상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