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소나무의 그루터기를 건류하여 뽑아낸 테레핀과 파인유 계통의 유지류 물질. 송진을 증류해서 뽑아내는 일반적인 테레핀과는 달리 아예 그루터기를 건류해서 뽑아낸다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만들어진 송근유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2. 제조법
일단 유지류가 풍부한 적송이나 흑송 계통의 소나무를 잘라내어 그루터기(벌근)를 만들거나 산을 뒤져 찾아낸다. 벤 지 10년 정도 된 노령의 소나무가 애용되는데 송명이라 불리며 고대부터 등잔 연료로 애용된 고목들은 유지류를 많이 함유해서 20~30%의 높은 회수율을 보이기 때문이다.[1]일단 이렇게 벌근을 모았다면 건류통에 집어넣어 약 300도까지 가열한다. 이러면 타르와 목초액 등이 마구잡이로 섞인 휘발성 물질이 발생하는데 이를 송근조유라고 부르며 유정에서 막 뽑아낸 원유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발생한 송근조유를 액화통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타르를 뽑아내고 냉각기를 통해 액화하며 얼마간 놓아 두면 액화통에 모인 액체는 비중 차이에 의해 위의 조유와 아래의 목초액 2층으로 나누어진다.
아래의 목초액은 빼내서 재량껏 쓰도록 하고 위층의 조유만 따로 모아 다시 증류하는데 테레빈유를 파인유와 구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섞어 주고 정제하면 송근유 완성. 취득량엔 변동이 있지만 보통 소나무 벌근 1톤당 50~60리터 가량의 송근유를 채취할 수 있다고 한다.
3. 용도
테레핀유 성분은 각종 도료, 세척용[2] 성분으로 애용되며 크레오소트를 만들 수 있다. 400~450도의 높은 온도에서 백토를 촉매로 하여 가열하면 중질 가솔린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을 주로 사용했던 곳이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일본 제국으로, 밑에서 따로 설명한다.파인유 성분은 도료 외에도 고무 제조, 방향제 및 살충제의 성분으로 쓰인다. 300~360도 가량의 온도로 증류하면 로진유를 얻어 전지 제조에 쓸 수 있다.
가장 많이 쓰였던 시대와 장소는 중세 유럽으로 대항해시대가 시작되면서 목재의 부식을 막는 방부재가 배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때 목재 틈 사이의 방수재 겸 밧줄 등 삭구의 방부제로 사용된 것이 소나무 뿌리를 쪄서 뽑아낸 파인 타르다. 범선의 밧줄이 거무스름한 건 이물질이나 먼지가 껴서 그런 것도 있지만 모든 밧줄에 파인타르를 발라서 수명을 늘렸기 때문이다. 원래는 밝은 색인 마실이나 방수천에 여러 겹을 바를수록 색상이 어두워진다. 새까만 색의 아스팔트 타르와 달리 파인 타르는 갈색이고 여러 겹을 바를수록 진한 갈색이 된다. 당시 유럽에서 으뜸으로 쳐 줬던 파인 타르는 스웨덴의 왕실이 브랜드화한 스톡홀름 타르였다. 19세기 중엽부터 석탄으로부터 아스팔트 타르를 뽑아낼 수 있게 되자 대체되어 20세기에는 자취를 감추었지만 이전까지 사용량이 워낙 막대해서 대영제국은 파인 타르를 구하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 동부의 삼림을 거의 다 벌채하거나 구입해 갔을 정도다. 지금도 파인 타르의 대표적인 산지는 스톡홀름과 미국 동부다. 참고로 동양의 범선은 오동나무에서 짜낸 기름을 방수재로 사용했다. 오동나무 기름은 가구 만들 때 빼놓을 수 없는 텅오일이다.
3.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에서의 용도
2차대전 말기 미국의 공세에 속수무책으로 밀리던 일제는 자원 부족에 허덕이고 있었다. 원래 석유의 90%가량을 미국에서 수입하였는데 이제 그 물주와 대결하는 꼴이 되었으니...[3] 남방작전을 통해 동남아의 석유 생산지들을 손에 넣을 수 있었지만 전쟁 말기쯤 가면 남방 점령지와 본토는 미군의 필리핀 탈환으로 사실상 단절된 상태였기 때문에 있으나마나였다. 이 상황에서 1억 총옥쇄를 부르짖던 일제 수뇌부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연료를 구하고자 했고 기름이란 기름은 다 짜냈다. 유채 기름, 정어리 기름, 귤껍질 기름 등 온갖 바이오 오일이 닥치는 대로 동원되었고 송근유도 그 중 하나였으며 심지어 사람의 피지( 개기름)까지도 징발해서 연료로 사용했다.물론 당시에는 식용 기름 중 상당수는 정제만 잘 한다면 경유 대용으로 쓸 수있기는 했다. 디젤 엔진은 원래 땅콩 기름으로 작동시키려고 만들었기도 하고. 귤피유는 의외로 옥탄가가 높은 양질의 유사휘발유 연료다. 하지만 상기된 중질가솔린이라는 말은 원래 나프타를 가리키는 말로, 절대로 연료로 써서는 안되는 똥 중의 똥이다. 중질이라는 말은 옥탄가가 바닥이라는 뜻이니까. 그런데도 송근유를 원료로 휘발유의 부족분을 충당하겠다는 미친 짓을 했다.
본래 송근유는 그 쓰임이 많았기 때문에 일본에 생산하는 민간 업체가 꽤나 있어서 임업시험장에서 송근유를 원료로 항공유를 제조하게 되었다. 1944년 10월 20일에 최고전쟁 지도회의에서 송근유 등 긴급증산대책 조치요강이 결정되었으며 1945년 3월 16일에 각료회의에서 결의되었지만 원료인 벌근의 발굴과 소나무의 벌채엔 막대한 노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일제는 전국적으로 봉사
만들어진 송근유들은 시험을 거쳐 1945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될 것이었으나 아시는대로 일본이 미국에게 결정타 두 방을 얻어맞은 관계로 이전에 전쟁이 끝났다. 덕분에 전후에도 많은 양의 송근유가 남아 있었는데 진주한 미군이 일본산 휘발유를 그냥 지프에 넣고 달렸더니 며칠만에 엔진이 고장나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는 기술이 J. B.코헨의 <전시전후 일본경제>에 등장하는 걸로 봐서는 그 알맹이가 어떨지는 뻔하다. 결국 이렇게 가공할 가치도 없는 폐급임이 확인된 송근유는 어선의 연료로 소모되었다고 전한다.
이때의 흔적으로 영동 지방 동해안 소나무 숲을 가 보면 조금 커보이는 소나무에는 모두 시멘트를 바른 듯한 모양의 상처가 나 있는데 안 죽은 것이 기적이다. 영남도 예외는 아니다.
4. 관련 문서
5. 참조 문서
[1]
송명이 아닐 경우(젊거나 벤 지 얼마 되지 않은) 약 10%의 현저히 낮은 회수율을 보인다.
[2]
특히
유화에서 많이 쓰인다.
[3]
사실 일본 해군은 믿는 구석이 있었는데 식민지인
한반도 일대에서 초대량으로 잡히는
정어리 같은 물고기를 쥐어짜서 얻는 물고기 기름으로 연료를 충당한다는 충격적인(…) 계획이 있었다. 실제로도 수요의 절반 정도까지는 대체가 가능했다고 한다. 그런데 갑자기 물고기 어획량이
개발살나는 바람에 기름 부족에 처했다.
[4]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이 내용이 등장한다.
청도군
운문사 일대의 소나무들이 죄다 밑동이 파인 이유가 이 때문이라고 한다.
[5]
통상적으로는 송근 추출 경질유 10%:항공 휘발유 90% 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6]
실제로 먹고 죽은 사례가 존재한다. 복통이나 구토 등은 기본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