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04:00:54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

소 몰트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대(大) 몰트케에 대한 내용은 헬무트 폰 몰트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야전원수
Generalfieldmarschall
파일:DR_Generalfeldmarschall_1918.gif
육군
야전원수
<colcolor=#000,#fff> 프란츠 요제프 1세 | 콜마르 폰 데어 골츠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빌헬름 2세 | 뷔르템베르크의 빌헬름 2세 |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 카를 폰 뷜로 |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 [[프리드리히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프리드리히 대공]] | 메흐메트 5세 |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 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 루트비히 3세 | 페르디난트 1세 | 카를 1세 | 콘스탄티노스 1세 | 레무스 폰 보이르슈
해군
원수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 헤닝 폰 홀첸도르프 | 빌헬름 2세 |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상급대장
Generaloberst

파일:KHeer_OF9_GenOberst_(Bayern)_1918.gif
육군
상급대장
펠릭스 그라프 폰 보트머 | 모리츠 폰 린커 |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 | 알렉산더 폰 클루크 | 루트비히 폰 팔켄하우젠 | 막스 폰 하우젠 | 알렉산더 폰 린징겐 | 구스타프 폰 케셀 | 요아힘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 요시아스 폰 헤링겐
명예원수 베른하르트 3세 | 명예원수 한스 폰 플레센 | 명예원수 프리드리히 2세
병과대장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General_(Wurttenburg).gif
육군
병과대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보병 | 에른스트 루트비히 카를 알브레히트 빌헬름보병 | 에리히 루덴도르프보병 | 로타르 폰 트로타보병 | 에른스트 폰 회프너기병 | 콘라트 크라프트 폰 델멘징엔포병 | 오스카 폰 후티어보병 | 오이겐 폰 팔켄하인기병 |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보병 |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기병 | 막시밀리안 폰 바덴기병 | 빌헬름 폰 우라흐기병 | 프리드리히 식스트 폰 아르민보병 | 카를 에두아르트보병 | 오토 폰 벨로보병 | 에두아르트 폰 리에베르트보병 | 프리드리히 빌헬름 빅토르 아우구스트 에른스트보병 | 헤르만 폰 슈타인포병
해군
대장
후고 폰 폴 | 라인하르트 셰어 | 프란츠 폰 히퍼 | 루트비히 폰 로이터
중장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육군
중장
콘스탄틴 폰 알트록 | 카를 폰 베닝거 | 헤르만 폰 쿨 | 빌헬름 그뢰너 | 프리드리히 폰 작센마이닝겐 | 게오르크 그라프 폰 발더제
해군
중장
막시밀리안 폰 슈페
소장
Generalmajor / Konteradmiral
육군
소장
한스 폰 젝트 | 막스 호프만 | 프리츠 폰 로스베르크 | 카를 하우스호퍼 | 아이텔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 게르하르트 타펜 | 뤼디거 폰 데어 골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제국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윗 첨자 : 전사
}}}}}}}}}
<colbgcolor=#666> 독일 제국군 육군 상급대장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
Helmuth Johannes Ludwig von Moltke
파일:external/media-2.web.britannica.com/9940-004-5F9FBFF1.jpg
이름 Helmuth Johannes Ludwig von Moltke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1]
출생 1848년 5월 25일
프로이센 왕국
사망 1916년 6월 18일 (향년 68세)
독일 제국
복무 파일:독일 제국 전쟁기.svg 독일 제국군
최종 계급 파일:KHeer_OF9_GenOberst_(Bayern)_1918.gif 상급대장
주요 참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주요 서훈 붉은 독수리 대십자상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명 소(小) 몰트케로 불린다. 그의 숙부인 헬무트 폰 몰트케와 구분하기 위하여, 이 사람은 소 몰트케, 그의 숙부를 대(大) 몰트케라고 흔히 칭한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당시 독일 제국군을 지휘했지만, 제1차 마른 전투를 비롯한 초기의 주요 전투에서 실패했다. 그의 실책으로 독일은 속전속결로 승리할 기회를 놓치게 되었고, 이후 전쟁은 참호전으로 대표되는 4년간의 장기 소모전 및 교착상태를 지속하게 되었다.

2. 생애

2.1. 초기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는 프로이센 왕국에서 1848년에 태어났다. 그는 자신의 큰아버지인 헬무트 폰 몰트케의 이름을 따라 헬무트라는 이름을 받았다. 1868년 프로이센군에 입대하여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참전해 2급 철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1875년부터 1878년까지 장군참모 과정을 밟기 시작했다. 이후 프로이센 전쟁 대학에 입학했고, 1880년에 졸업했다. 1882년, 그는 자신의 큰아버지인 헬무트 폰 몰트케의 부관이 되었으며, 1902년 중장 진급과 함께 병참감이 되었다. 빌헬름 2세의 이 임명은 큰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

1906년 빌헬름 2세에 의해 알프레트 폰 슐리펜 백작의 후임으로 참모총장에 임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초기까지 그 직위를 지켰다. 소 몰트케는 군단급 부대에서 참모 보직을 맡은 적이 없었기에 그의 임명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슐리펜의《비망록》에 남아있었던 작전 계획을 실제로 실행한 당사자이고, 그가 수정한 슐리펜 계획이 실패한 것으로 인하여 흔히 비판받는다. 다만 그 이전의 슐리펜 계획도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본질적으로 허점이 많은 전략이었다.

그러나 소 몰트케는 그 이전부터 슐리펜 계획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대폭 수정시켜 버렸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슐리펜 계획의 우익과 좌익의 병력 비율은 7:1이었는데, 그것을 6:2로 변경했고, 1, 2군을 각각 18개에서 13개 군단으로 축소시켰다... 게다가 러시아의 총동원이 의외로 빠르자 서부전선의 우익에서 5개 군단을 빼내 우익을 더 축소시킴은 물론, 후방에 있었던 6개의 예비병력을 좌익 지원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슐리펜 계획하에 포위의 핵심인 우익의 군사력을 크게 약화시키는 무리수를 저질렀다.[2]

이렇게 악화된 조건에도 불구하고 40일이라는 비현실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강대국 프랑스을 굴복시키고, 동시에 동부에서 러시아까지 항복시켜야 할 상황이었다. 소 몰트케는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이었는데, 독일군이 제1차 마른 전투에서 저지당하고, 이로 인해 빌헬름 2세의 신임까지도 잃게 되자 그는 정신적으로 무너지게 되었다. 황제는 몰트케를 해임한 후 에리히 폰 팔켄하인 보병대장을 후임 참모총장으로 임명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소 몰트케는 1916년에 사망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조국 독일의 항복을 보지 않아도 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세르비아 왕국에 전쟁을 선포한 이후, 소 몰트케는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에게 러시아에 대한 총동원령을 내릴 것을 요구하는 월권을 행사했다.

2.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나친 낙관주의로 일관했기 때문이었지만, 소 몰트케의 슐리펜 계획 수정도 전쟁 수행에 악영향을 끼쳤다.[3] 결국 이는 프랑스를 빨리 정복하지 못해 제1차 마른 전투라는 결과를 낳았으며, 독일의 양면전과 참호전을 초래했다.

3. 기타

인터넷에서 '몰트케'란 이름을 넣고 검색하면, 1) 장발에 수염이 없는 깔끔한 장군과 2) 대머리에 콧수염이 달린 장군이 동시에 나와서 헷갈리기 쉬운데, 본 항목에 나오는 소(小) 몰트케는 후자의 인물이다. 그런데 미국 디스커버리 채널이 2000년대 초에 제작한 8부작 전쟁사 다큐멘터리 <전쟁과 문명>(War and Civilization)의 6부에서는[4] 대 몰트케를 설명하는 장면에서 소 몰트케의 사진을 넣는 실수를 저질렀다.[5] 은근히 헷갈리기 쉬운 듯 하다.

신지학(Theosophy) 신봉자였다.

대 윌리엄 피트 소 윌리엄 피트와 달리 상대적으로 안 알려진 것도 사실이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몰트케'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2] 융커들이 자신들의 심장인 동프로이센을 지키겠다고, 프랑스 전선에서의 좌•우익 균형을 깨버린 결과가 바로 제1차 세계 대전의 단기 결전을 무산시키고, 참호전의 양상으로 변화시킨 제1차 마른 전투였다. [3] 총력전의 양상으로 확대된 국민전쟁의 특징을 간과하고, 대 몰트케의 중심타격이론을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왜곡해 받아들인 결과였다. 이러한 문제는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때도 있었지만 당시의 대승리에 도취되어 이를 간과했다. [4] 영국의 원로 전쟁사학자인 존 키건도 출연했다. [5] 링크된 영상의 34~35분 정도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