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6:32

삼국지 13/중신특성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국지 1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관련 문서 보기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시나리오 · 영걸전 · 역사 이벤트 · 병과 · 특기 · 중신특성 · 전법 · 일기토 및 설전 · 인연 · 명품
위명 · 결혼 및 육아 · 엔딩
발매 전 정보 · 평가 ( PK 평가) · 패치 노트
}}}}}}}}} ||

1. 개요2. 군사중신 (지력)3. 내정중신 (정치)4. 군무중신 (통솔)

1. 개요

중신특성은 해당 특성을 가진 장수를 해당 부분의 중신으로 임명했을 때에만 발동된다. 단, 군주나 도독, 태수의 경우는 담당에 상관없이 적용된다. 군주 및 군주중신의 경우에는 세력 전체에 적용되지만, 도독 및 도독 중신일 경우에는 도독이 담당하는 도시 전체에, 태수와 태수중신은 해당 도시에 한해서만 특성이 적용되고, 공정무사를 제외한 다른 특성들의 효과는 중복되지 않기 때문에 골고루 사용하는 것이 이득이다.

모든 장수들이 중신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본편내 등장하는 장수 800명 중 149명(18.6%)[1]만 중신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중신특성을 가지고만 있어도 최소 B급 이상인 장수라고 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필요 능력치(군사 계열은 지력, 내정 계열은 정치, 군무 계열은 통솔) 가 90이 넘어 임무장이 2개인 장수들은 최소 A급 이상인 장수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군주인 조조의 경우 조조의 중신특성인 합리철저가 조조 영토 전체에 적용되어 타 세력에 비해 내정을 정비하는 속도가 빠른 편이며, 초반 군주 군사중신으로 임명되어 있는 순욱의 공정무사 특성 덕에 계절이 바뀔 때마다 직할령 장수들의 충성심이 1씩 상승하는 식. 유비군의 경우 도독이 되기전까진 십중팔구 군주군무중신으로 임명되어 있는 관우의 창술조련 덕분에 B급 장수들이 창병 S를 보유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위에 잠깐 서술했듯 중신특성은 중복되지 않기 때문에 호단맹진 + 신중견수만 빼고 최대한 겹치지 않도록 활용하는게 중요하다. 군주와 그 중신들의 특성(4개) + 도독과 그 중신들의 특성(4개) + α(태수와 그 중신들의 특성)을 겹치지 않게 배치하면 상당히 유용하다. 때문에 임무장 2개를 챙긴다고 특성을 활용안하고 능력치 좋은 순으로만 중신을 임명하는 것 보다 능력치 B급 장수의 중신특성이라도 활용하는게 장기적으로 볼 때 이득이다.

2. 군사중신 (지력)

  • 신산귀모(神算鬼謀): 소속 무장의 지휘 병력과 부대의 최대 사기를 상승. 정확히는 지휘 병력 +3000, 최대 사기 +30. 사실무장들 중에선 5명만 보유 중이며 그 무장은 제갈량, 사마의, 주유, 육손, 방통이고 고대 무장까지 더하면 범려, 손빈, 여상, 오기, 장량이 포함된다.
  • 공정무사(公正無私): 계절마다 소속 무장의 충성도 1 상승. 군사중신특성 중에서는 신산귀모와 함께 최고의 특성으로 꼽히는데 충성도 관리가 어려운 본작에서 매우 유용하기 때문. 도움말 항목에서 군주, 도독, 태수의 중신특성은 같은 효과일 경우 중첩되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으니 설령 <공정무사> 특성을 가진 무장들을 둘 이상 쓴다고 해도 충성도는 단지 1만 오를 뿐이다. 다만 <국사> 위명을 소지한 무장(순욱, 유엽, 초선)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공정무사>와 충성도 중복 상승이 가능하니 결국 계절당 최대로 올릴 수 있는 충성도는 2가 되는 셈이다. 소지 무장은 초선, 노식, 장각, 강유, 유엽, 전풍, 서서, 순욱 / 악의, 우희, 전단, 히미코
  • 적중작적(敵中作敵): 전투 중 적 무장을 아군으로 돌아서게 만드는 「적중작적」이 실행 가능. 이 커맨드를 잘 사용하면 적무장을 아군으로 둘리는 것 외에도 반란을 사주할 수 있다. 소지 무장은 원술, 왕윤, 가후, 곽가, 가충, 제갈각, 진궁, 마속, 법정, 이유, 누규, 장춘화, 하정 / 범증, 소진, 장의
  • 화기생재(和気生財): 외교에서 초기 교섭률이 증가. 소지 무장은 괴량, 간옹, 사마사, 종요, 조예, 조충, 손건, 손권, 장기, 장굉, 진규, 등지, 마량, 노숙, 왕이, 왕필, 하증, 종예 / 공구, 공수반, 인상여, 추기

3. 내정중신 (정치)

  • 합리철저(合理徹底): 내정 커맨드(시장·농지·학사)의 실행 기간 5일 단축. 소지 무장은 가규, 고옹, 조조, 장소, 진군, 정욱, 보즐, 황월영, 채염 / 관이오, 나시메, 영정, 이사
  • 병참관리(兵站管理): 군세의 소비 군량 20% 경감. 소지 무장은 사마소, 주준, 순유, 장완, 조비, 두예 / 곽외, 양홍옥, 황헐
  • 농업중시(農業重視): 농업 특기 소유자의 특기 레벨 1 상승. 소지 무장은 사마망, 장제(위), 장제(오)[2], 장로, 비의, 미축, 유복, 양습, 소교, 보연사, 마일제, 우길
  • 상업중시(商業重視): 상업 특기 소유자의 특기 레벨 1 상승. 소지 무장은 이적, 괴월, 제갈근, 조무, 동윤, 육적, 유표, 하씨. 추씨, 대교, 채옹, 양표 / 포숙아, 한비
  • 원정보좌(遠征補佐): 귀환병의 도시 귀환 속도 상승. 소지 무장은 원소, 감택, 사마염, 조식, 유비, 견씨 / 굴원, 소하

4. 군무중신 (통솔)

  • 창술조련(槍術調練): 소속 무장의 창병 병과 적성 1단계 상승. 소지 무장은 악진, 관우, 관평, 위연, 엄안, 주태, 전위, 문추, 양호, 여몽, 관은병 / 악비, 전기, 한신
  • 궁술조련(弓術調練): 소속 무장의 궁병 병과 적성 1단계 상승. 소지 무장은 하후연, 감녕, 황충, 서성, 태사자, 장임, 육항, 이엄, 손상향, 포삼랑 / 왕전, 조옹
  • 기마조련(騎馬調練): 소속 무장의 기병 병과 적성 1단계 상승. 소지 무장은 곽회, 안량, 기령, 고순, 공손찬, 서황, 손책, 장합, 장수, 장료, 문앙, 방덕, 여포 / 곽거병
  • 신중견수(慎重堅守): 소속 부대의 방어 10% 상승, 기동 5% 감소. 소지 무장은 왕평, 학소, 허저, 황보숭, 조진, 조인, 손환, 진등, 등애, 마등, 마운록, 조엄, 두습 / 유방, 이목
  • 호단맹진(豪胆猛進): 소속 부대의 기동 10% 상승, 방어 5% 감소. 소지 무장은 하후돈, 화웅, 관색, 황개, 조창, 손견, 조운, 장비, 동탁, 마초, 맹획, 능통, 축융, 여령기 / 백기, 순관, 염파, 영포, 한세충, 항연, 항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8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오리지널은 700명 중 140명(20%) [2] 위의 장제와 오의 장제가 모두 농업중시특성을 가지고 있다. 장수의 삼촌이자 추씨의 남편인 장제는 해당사항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