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대 부산광역시의회 의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
중 | 서 1 | 서 2 | 동 1 | 동 2 |
강주택 | 송상조 | 최도석 | 강철호 | 황석칠 | |
영도 1 | 영도 2 | 부산진 1 | 부산진 2 | 부산진 3 | |
안성민 | 양준모 | 박희용 | 이대석 | 김재운 | |
부산진 4 | 동래 1 | 동래 2 | 동래 3 | 남 1 | |
배영숙 | 박중묵 | 송우현 | 서국보 | 조상진 | |
남 2 | 남 3 | 남 4 | 북 1 | 북 2 | |
정태숙 | 성현달 | 김광명 | 박대근 | 김효정 | |
북 3 | 북 4 | 해운대 1 | 해운대 2 | 해운대 3 | |
이종진 | 박종율 | 신정철 | 임말숙 | 김태효 | |
해운대 4 | 기장 1 | 기장 2 | 사하 1 | 사하 2 | |
강무길 | 박종철 | 이승우 | 최영진 | 전원석 | |
사하 3 | 사하 4 | 금정 1 | 금정 2 | 강서 1 | |
성창용 | 이복조 | 공석 | 이준호 | 이종환 | |
강서 2 | 연제 1 | 연제 2 | 수영 1 | 수영 2 | |
송현준 | 안재권 | 김형철 | 박철중 | 이승연 | |
사상 1 | 사상 2 | 비례 | 비례 | 비례 | |
윤태한 | 김창석 | 문영미 | 박진수 | 정채숙 | |
비례 | 비례 | ||||
서지연 | 반선호 | ||||
* 사하 2
강달수 사퇴 (2023.10.17.) * 금정 1 윤일현 사퇴 (2024.09.10.) |
|||||
◀
제8대
|
}}} }}}}}} |
부산광역시의
의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5007F><tablebgcolor=#E5007F> |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동 沙下區 第二選擧區 Saha District 2 |
}}} | |||
|
||||||
<colbgcolor=#E5007F><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64,646명 ( 2022년) | |||||
상위 행정구역 | 부산광역시 | |||||
관할 구역 |
|
|||||
시의원 |
|
전원석 (초선)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사하구의 북서부에 위치한 당리동, 하단동 일대를 관할한다.낙동강 벨트라 불리는 서부산 답게 국민의힘 지지세가 부산치고는 조금 약한 편이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괴정동하고 함께 엮여 사하구 갑을 형성 중인데, 괴정동에서의 보수 표심을 이 지역에서 다 메꿔서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이 재선을 하고 있을 정도다. 다만 이는 개인기도 크게 한몫하는 것인데다 외지인 유입 차도 있다보니 오히려 사하구 을 지역의 두 선거구보다 보수세 자체는 강한 편이다. 그러다보니 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당선되었다.
2. 역대 선거 결과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사하구 제2선거구 | ||||
제2대 | 장창조 |
[[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1] |
제3대 |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2] | |
제4대 | 2002년 7월 1일 ~ 2004년 12월 11일[3] | |||
제5대 | 최대수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6대 | 이정윤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7대 | 신현무 |
[[새누리당| |
2014년 7월 1일 ~ 2018년[4] | |
제8대 | 이성숙 |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제9대 | 강달수 |
|
2022년 7월 1일 ~ 2023년 10월 17일[5] | |
전원석 |
|
2024년 4월 11일[6] ~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괴정4동,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창조(張昌祚) | 23,730 | 1위 |
[[민주자유당| |
54.23% | 당선 | |
2 | 박원갑(朴元甲) | 10,020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89% | 낙선 | |
3 | 이승희(李勝喜) | 4,496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27% | 낙선 | |
4 | 차태규(車台圭) | 5,51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5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0,453 |
투표율 64.53% |
투표 수 | 45,467 | ||
무효표 수 | 1,709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창조(張昌祚) | 14,302 | 1위 |
|
61.69% | 당선 | |
2 | 송노일(宋魯一) | 3,127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13.48% | 낙선 | |
4 | 송동후(宋東厚) | 2,65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43% | 낙선 | |
5 | 이승희(李勝喜) | 3,10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3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6,342 |
투표율 43.42% |
투표 수 | 24,466 | ||
무효표 수 | 1,284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창조(張昌祚) | 16,236 | 1위 |
|
75.43% | 당선 | |
2 | 이승희(李勝喜) | 5,288 | 2위 |
[[새천년민주당| |
24.5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8,855 |
투표율 37.52% |
투표 수 | 22,083 | ||
무효표 수 | 559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동호(金東昊) | 6,580 | 2위 |
[[열린우리당| |
21.44% | 낙선 | |
2 | 최대수(崔大洙) | 18,680 | 1위 |
|
60.87% | 당선 | |
4 | 하원오(河元伍) | 3,394 | 3위 |
[[민주노동당| |
11.06% | 낙선 | |
6 | 김명호(金明鎬) | 2,03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6,310 |
투표율 46.98% |
투표 수 | 31,157 | ||
무효표 수 | 471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이정윤(李正允) | - | 1위 |
|
- | 무투표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현무(辛鉉茂) | 20,346 | 1위 |
[[새누리당| |
55.75% | 당선 | |
2 | 유동철(柳東澈) | 14,419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39.51% | 낙선 | |
3 | 공은희(孔銀熙) | 1,728 | 3위 |
[[통합진보당| |
4.7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8,680 |
투표율 54.43% |
투표 수 | 37,388 | ||
무효표 수 | 895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숙(李聖淑) | 20,666 | 1위 |
|
54.29% | 당선 | |
2 | 강달수(姜達秀) | 14,642 | 2위 |
[[자유한국당| |
38.47% | 낙선 | |
3 | 박성국(朴成國) | 2,751 | 3위 |
[[바른미래당| |
7.2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6,978 |
투표율 58.29% |
투표 수 | 39,042 | ||
무효표 수 | 983 |
전국적인 더불어민주당의 돌풍에 힘입어 사하2 선거구 최초로 민주당 계열 정당 소속 후보가 당선되었다.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숙(李聖淑) | 11,738 | 2위 |
|
39.20% | 낙선 | |
2 | 강달수(姜達秀) | 18,202 | 1위 |
|
60.7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4,646 |
투표율 46.97% |
투표 수 | 30,367 | ||
무효표 수 | 427 |
국민의힘에서는 비례대표인 윤지영 시의원과 저번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한 강달수 전 재선 구의원, 외교관 출신 최종원 건국중· 고등학교 학교법인 기획관리실장이 경선을 치러 강달수 후보가 승리하며 설욕에 나선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 그리고 저번 선거에 이은 이성숙 후보와 강달수 후보간의 리턴매치가 치러진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강달수 후보가 20%p 이상의 득표율로 복수에 성공하였다. 모든 동에서 강달수 후보가 60% 이상 받았는데, 하단2동에서 60.8%, 하단1동 61%, 당리동에서 62.95%로 하단동에서 약간 득표율이 낮았고 당리동에서 약간 득표율이 높았다. 더불어민주당 표심이 강한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2.5% : 47.5%로 불과 5%p차로 접전이였다. 그나마 이성숙 후보는 사하구의 네 선거구 중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리며 그나마 선전하였다.
2.9.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사하구 제2선거구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전원석(田元錫) | 19,256 | 1위 |
|
49.39% | 당선 | |
7 | 박성국(朴成國) | 3,307 | 5위 |
|
8.48% | 낙선 | |
8 | 오다겸(吳多兼) | 4,97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75% | 낙선 | |
9 | 최광렬(崔光烈) | 4,457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43% | 낙선 | |
10 | 허일(許逸) | 1,560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00% | 낙선 | |
11 | 김숙자(金淑子) | 5,431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3,387 |
투표율 00.00% |
투표 수 | 41,746 | ||
무효표 수 | 2,761 |
전임자 강달수 의원이 버스에서 여학생의 신체를 촬영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상태에서 의원직을 사퇴하며 공석이 되었고, 재보궐선거가 결정되었다.[7]
국민의힘에서는 귀책사유로 재보궐선거가 발생할 경우 후보를 공천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키며 후보를 내지 않았고, 원내정당 중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개혁신당이 후보를 낸 가운데 무소속[8] 후보가 난립하는 구도로 선거가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원석 후보가 국민의힘 예비후보였던 무소속 김숙자 후보를 큰 표차로 따돌리며 당선되었다. 이로써 더불어민주당은 2년만에 부산광역시의회 지역구 선거구를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