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5 14:06:40

북한 올림픽 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30><table bordercolor=#fff> 파일:국제올림픽위원회 로고.svg 국제올림픽위원회
소속 올림픽 대표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555555"
파일:아시아올림픽평의회 로고.svg 아시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만 대한민국 북한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중국 베트남 태국 필리핀
파일:유럽올림픽위원회 로고.svg 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헝가리
파일:팬아메리칸 게임 로고.svg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국 브라질 캐나다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호주 뉴질랜드 }}}}}}}}}
파일:북한 올림픽 대표팀 엠블럼.jp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DPR Korea
<colbgcolor=#e6002d> 국가 코드 PRK
올림픽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
대륙 파일:아시아올림픽평의회 로고.svg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메달 <rowcolor=#000> 16 17 24 57
최고 순위 하계 16위( 1992)
동계 13위 ( 1964)
최다
메달 수
하계 9개 ( 1992)
동계 1개 ( 1964, 1992)
최다
금메달 수
하계 4개 ( 1992, 2012)
동계 메달획득 없음

1. 개요2. 역대 성적
2.1. 하계2.2. 동계
3. 유명 선수들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올림픽 대표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8.15 광복 직후인 1948 장크트모리츠 동계올림픽 1948 런던 올림픽부터 줄곧 태극기를 앞세워 올림픽 무대에 출전했던 것과 달리 북한은 국호 문제 때문에 1960년대 초반까지 올림픽에 공식 출전하지 않았다. 이 당시만 해도 국제적으로 공식 국가로 인정 받은 한반도의 국가는 대한민국이 유일했고[1] 'Korea(KOR)'라는 명칭도 대한민국에만 유효했기 때문에 북한이 나서지 않은 것이다.

결국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 때 IOC의 특별 승인을 얻어서 'North Korea'라는 국호를 내세워 처음 올림픽 무대에 선을 보였고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 1972 뮌헨 올림픽부터는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 Korea, PRK)'라는 국호로 출전하게 돼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항의하는 의미로 미국을 비롯한 제1세계 국가들의 올림픽 보이콧에 동참하기 위해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 불참한 것이 1945년 해방 이후 유일한 올림픽 불참 기록이지만 북한 올림픽 대표팀은 올림픽 불참 기록이 대한민국보다 더 많다.

1972년 올림픽 무대 공식 데뷔 이후 첫 번째 불참은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이었는데 이는 1980 모스크바 올림픽 당시 제1세계 국가들의 보이콧을 복수하는 개념이었다. 북한은 소련과 혈맹으로 제2세계의 핵심이었기에 당연히도 소련의 보이콧에 동조했다. 두 번째 불참은 1988 서울 올림픽이었는데 이 당시만 해도 남북관계가 좋지 않았던 시기였고 오히려 북한이 남한의 올림픽 개최를 향해 훼방을 놓는[2] 상황이었다.

그러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올림픽 무대에 컴백했고 2000 시드니 올림픽에는 남북 선수단이 올림픽 개회식에 공동 입장하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는 여자 아이스하키 종목에 한해 남북단일팀이 구성될 정도로 상황이 달라지기도 했으나 2020 도쿄 올림픽에 불참했다. 공식적인 불참 사유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이었다. 그동안 두 차례의 올림픽 보이콧에 대해서는 IOC로부터 제재를 받지 않았지만 도쿄 올림픽 보이콧은 IOC도 가만히 있지 않았고 결국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까지 출전 금지 조치를 당했다.

어쨌든 국가적으로 특별한 사고가 없거나 대외 관계에 크게 문제가 없는 한 북한도 올림픽에 꾸준히 참가하는 동아시아 국가 중 하나다. 전력으로 보면 동아시아 스포츠 최강 3국인 대한민국, 중국, 일본보다는 뒤떨어지지만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 국가들보다는 나은 모습을 보여줄 정도의 실력을 갖고 있다. 특히 역도, 탁구, 사격, 체조 등의 종목에서는 메달을 곧잘 따낼 정도의 실력을 자랑한다.

북한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오지 못하면 아오지 탄광으로 끌려간다는 소문이 있지만 사실과는 다른 얘기다. 올림픽 메달을 따내지 못했다고 해서 무조건 탄광에 끌고 가지는 않지만 대한민국, 미국, 일본 등 북한 입장에서 적국으로 취급되는 국가의 선수에게 지면 사상 비판이나 농사일 등 단기간의 혁명화 조치를 당한다고 체육인 출신 탈북자들의 증언이 있었다. #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참가한 북한 선수들이 귀국한 그 직후부터 평양에서 사상총화, 사상비판을 받는 중이라고 하는데, 외국 선수들과 접촉하거나 성적이 좋지 못하면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3] 기사에서도 국제 대회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둔 선수들이 1~2개월 무보수 노동 처벌을 받은 사례가 언급되었다. #

2. 역대 성적

2.1. 하계

­ 1위
­ 2위
­ 3위
4~10위
11 ~ 20위
20위 미만
노메달
연도 순위 최종 순위 합계
1972 뮌헨 22위/121개국 22위 1 1 3 5
1976 몬트리올 21위/92개국 21위 1 1 0 2
1980 모스크바 26위/80개국 26위 0 3 2 5
1984 로스앤젤레스 불참[4]
1988 서울
1992 바르셀로나 16위/169개국 16위 4 0 5 9
1996 애틀랜타 33위/197개국 33위 2 1 2 5
2000 시드니 13위/199개국 60위 0 1 3 4
2004 아테네 13위/201개국 57위 0 4 1 5
2008 베이징 34위/204개국 34위 2 2 2 6
2012 런던 20위/204개국 20위 4 0 3 7
2016 리우데자네이루 34위/207개국 34위 2 3 2 7
2020 도쿄 불참[5]
2024 파리 68위/?개국 68위 0 2 4 6
2028 LA ?위/?개국 ? ? ? ? ?
하계 올림픽 통산 10/28회 46위 16 16 23 55

2.2. 동계

­ 1위
­ 2위
­ 3위
4~10위
11 ~ 20위
20위 이하
노메달
연도 순위 최종 순위 합계
1964 인스브루크 13위/36개국 22위 0 1 0 1
1992 알베르빌 19위/64개국 19위 0 0 1 1
동계 올림픽 통산 9/25회 45위 0 1 1 2

3. 유명 선수들




[1] 물론 현재도 북한을 합법적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나라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명시한 일본. [2] 대표적인 방해 사례가 1986년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와 1987년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이다. 이외에도 "남조선 단독으로 올림픽을 치르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으니 서울-평양 올림픽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궤변적 망언을 하기도 했다. 물론 서울-평양 올림픽에 대해서는 IOC가 들은 척도 하지 않았기에 넘어갔다. [3] '사상 세척'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만큼 북한에서는 해외 체류 자체를 비사회주의 문화를 접하는, 소위 오염 노출 행위로 간주하고 있다. [4] 1984년 올림픽은 제2세계 국가들과의 동맹 불참이었고 1988년 올림픽은 최대의 적성국이었던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대회였기에 불참한 것. [5] 2020년 올림픽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