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후 | 혜종 후 | [ruby(정종, ruby=定宗)] 후 | 광종 후 |
1
신혜왕후2
장화왕후3
신명왕후4
신정왕후5
신성왕후6
정덕왕후
|
1
의화왕후
|
1
문공왕후2
문성왕후
|
1
대목왕후
|
|
<rowcolor=#670000> 경종 후 | 성종 후 | 목종 후 | 현종 후 | |
1
헌숙왕후2
헌의왕후3
헌애왕후4
헌정왕후
|
1
문덕왕후2
문화왕후
|
1
선정왕후
|
1
원정왕후2
원화왕후3
원성왕후4
원혜왕후5
원용왕후6
원목왕후7
원평왕후 |
|
<rowcolor=#670000> 덕종 후 | [ruby(정종, ruby=靖宗)] 후 | 문종 후 | 순종 후 | |
1
경성왕후2
경목현비3
효사왕후
|
1
용신왕후2
용의왕후3
용목왕후
|
1
인평왕후2
인예왕후
|
1
정의왕후2
선희왕후 |
|
<rowcolor=#670000> 선종 후 | 숙종 후 | 예종 후 | 인종 후 | |
1
정신현비2
사숙왕후
|
1
명의왕후
|
1
경화왕후2
순덕왕후3
문정왕후
|
폐
연덕궁주폐
복창원주1
공예왕후2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의종 후 | 명종 후 | 신종 후 | 희종 후 | |
1
장경왕후2
장선왕후
|
1
의정왕후
|
1
선정왕후
|
폐
태자비 왕씨1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후 | 고종 후 | 원종 후 | 충렬왕 비 | |
1
사평왕후2
원덕왕후
|
1
안혜왕후
|
1
정순왕후폐
경창궁주
|
1
제국대장공주
|
|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 충숙왕 비 | 충혜왕 비 | 공민왕 비 | |
1
계국대장공주
|
1
복국장공주2
조국장공주3
경화공주4
공원왕후
|
1
덕녕공주2
희비 윤씨
|
1
노국대장공주6
순정왕후
|
|
<rowcolor=#670000> 우왕 비 | 공양왕 비 | |||
폐
근비 이씨
|
1
순비 노씨
|
|||
}}}}}}}}} |
1. 개요
濮國長公主고려의 제27대 국왕인 충숙왕의 제1비. 원나라의 공주로 이름은 보르지긴 이린친발라(孛兒只斤 亦憐眞八剌).
증조할아버지는 쿠빌라이 칸, 할아버지는 쿠빌라이의 5남인 운남왕(雲南王) 보르지긴 후게치(孛兒只斤 忽哥赤), 아버지는 영왕(營王) 보르지긴 에센테무르(孛兒只斤 也先帖木兒)이다. 에센테무르는 아버지 후케치가 죽은 후로 그 지위를 승습받아 운남왕으로 있다가, 1307년 영왕으로 진봉되었다.
2. 충숙왕과의 결혼생활과 사망
당시 고려는 원나라의 부마국이라서 부마국의 지위 유지를 위해 충숙왕은 이미 명덕태후라는 임자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원나라 공주를 1비로 맞이해야 했다. 그래서 충숙왕은 1316년 원나라에 있을 때 복국장공주와 결혼했다.그런데 충숙왕은 복국장공주와의 결혼이 본인이 자청해서 한 게 아니라 억지로 한 결혼이라서 그녀에게 정을 전혀 주지 않아 그녀와의 부부 관계가 소원했다. 수시로 사냥을 하러 나가거나 평민 복장을 하고 밤에 궁궐을 나가 돌아다니는 등[1] 도통 복국장공주의 처소에 가지 않았고, 그러니 복국장공주의 임신 소식은 들리지 않았다. 때문에 말만 부부 사이였지 실상 남보다도 못한 사이였다. 이는 충숙왕이 자신의 첫 아내이자 왕자 왕정의 어머니 덕비 홍씨와 사이가 더 좋았고 그녀를 오히려 더 진정한 아내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충숙왕은 복국장공주의 처소는 가지 않아도 덕비 홍씨의 처소는 계속 드나들었다.
그러던 중 1319년 9월 들어 복국장공주는 원인 모를 병으로 시름시름 앓기 시작했다. 《 고려사》에 따르면 1319년 음력 9월 7일에 복국장공주가 몸이 좋지를 않았는데, 왕은 사원과 도관(道館) 및 사저로 자주 거처를 옮겼다고 한다. 의원들도 정성껏 약을 쓰고 치료에 충실했음에도 전혀 차도가 없었고, 결국 20일도 채 되지 않은 1319년 음력 9월 26일[2]에 끝끝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복국장공주의 사후 충숙왕은 조국장공주와 새로 결혼했고, 조국장공주가 아들 용산원자를 낳고 죽은 후에는 또 경화공주와 새로 결혼했다. 3명의 몽골인 왕비들로부터 얻은 아들은 용산원자가 유일했으나, 용산원자도 병으로 요절하여 충숙왕은 고려인 덕비 홍씨에게서 낳은 아들 충혜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3. 의문사
1319년 음력 9월 26일에 복국장공주가 의문사한 것은 충숙왕의 정치적 입지가 크게 위태로워질 뻔할 정도로 엄청난 사건이었다. 그러나 1320년 음력 1월에 당시 원나라 황제였던 인종 보르지긴 아유르바르와다(孛兒只斤 愛育黎拔力八達)가 갑자기 죽으면서 사건이 유야무야 묻히게 되었다. 그 때문에 사건이 일어난 지 [age(1319-11-08)]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복국장공주의 정확한 사인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3.1. 충숙왕의 구타가 사인인가?
복국장공주가 병을 앓고 불과 20일도 채 안 되어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원나라에서는, 복국장공주의 사인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그리하여 당시 원나라 황제였던 인종은 선사(宣使) 이상지(李常志)를 보내 복국장공주의 사인을 조사하도록 했다. 고려에 도착한 이상지는 궁녀였던 쿠라치(胡剌赤)와 요리사 한만복(韓萬福)을 억류하여 복국장공주의 사인을 조사했다. 그런데 그 때 한만복의 입에서 충격적인 증언이 나오게 된다. 한만복의 증언은 다음과 같다."지난 해 8월 국왕이 연경궁으로 덕비(德妃)를 찾아간 것을 공주가 시샘하다가 왕에게 맞아 코피를 흘렸습니다. 9월에도 왕이 묘련사(妙蓮寺)에 갔다가 공주를 때렸는데, 에센부카(於侁夫介) 등이 말린 일이 있습니다."
- 《 고려사》 권 89 <열전> 2 후비 2 충숙왕 후비
- 《 고려사》 권 89 <열전> 2 후비 2 충숙왕 후비
즉, 충숙왕은 복국장공주를 찾지 않는 대신 덕비를 찾았고, 이 사실을 알게 된 복국장공주가 질투를 했는데,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코피가 나도록 두들겨 팼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 달에 왕이 공주와 함께 묘련사란 절에 행차했는데, 그 때에도 충숙왕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또 복국장공주를 마구 때려서 호종하던 몽골인 관리인 에센부카란 인물 등이 충숙왕을 뜯어말렸다는 것이다. 결국 쿠라치와 한만복은 원나라로 끌려가게 되었다. 이 증언을 들은 원 인종은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구타해서 죽인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품었다.
이에 고려는 크게 난처해졌다. 고려는 원나라의 부마국이었으니, 원나라 공주와 사이가 소원한 것도 모자라 원나라 공주를 때려죽였다는 소문이 퍼지게 되면 원나라가 가만히 있을 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충숙왕은 백원항(白元恒), 박효수(朴孝脩) 등을 시켜서 원나라 중서성(中書省)에 글을 올려 "한만복이 거짓말을 했다"고 변명하도록 했다. 그리고 1320년 2월에 복국장공주를 '정화공주'(靖和公主)로 추증하고 후히 장례를 치르며 원나라의 의심을 풀기 위해 갖은 노력을 했다. 하지만 그 무렵에 이 사건을 조사하던 원 인종 역시 승하하면서, 결국 이 사건은 유야무야 묻히게 되어 현재까지 의문으로 남게 되었다.
3.2. 사건의 파장
하지만 묻힌 건 어디까지나 복국장공주의 사인 뿐이었다. 이 사건이 중요한 것은 이후 정치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낳게 되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알기 위해선 심왕 제도를 알아야 한다. 쿠빌라이 칸이 승하한 후 한동안 원나라의 정치 상황이 어지러웠는데, 혼란기를 거친 후 쿠빌라이 칸의 증손자 무종 보르지긴 카이샨(孛兒只斤 海山)이 즉위하였다. 그런데 이 무종이 즉위하는데 크게 힘을 써준 인물이 바로 제국대장공주의 아들 충선왕이었다.[3] 자신이 황제의 자리에 올라오는데 크게 도움을 준 충선왕이 너무나도 고마웠던 무종은 그에게 심양왕이란 작위를 추가로 부여해 만주 지역까지 다스릴 수 있는 권한을 보장해주었다. 이후엔 심양왕을 심왕으로 높여주며 더욱 충선왕의 지위를 높여주었다.하지만 이것이 후에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되었다. 고려 국왕과 심왕 작위를 겸직하고 있었던 충선왕이 1313년에 양위할 때, 고려 왕위는 아들인 충숙왕에게 물려주었지만 심왕은 조카인 왕고에게 물려주었기 때문이다. 왕고는 충선왕의 이복형인 강양공의 차남이었는데, 충선왕이 몽골에 체류할 당시 그를 아끼고 사랑하여 양자로 삼았던 인물이었다. "고려왕이 심왕을 겸직하는 게 옳지 못하다"는 여론의 압력도 있었고, 자신의 어머니가 원나라 공주라는 이유로 형을 제치고 왕이 된 것을 미안해 했던 것도 있었던 데다 조카를 너무도 아끼고 사랑했던 충선왕이었기에 결국 이런 실수를 범한 것이다.
이후 왕고는 내심 자신이 고려 국왕 자리까지 차지하려는 음모를 꾸미며, 지속적으로 충숙왕을 참소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다 충숙왕은 본인대로 정사를 소홀히 하고 사치와 향락을 부리며 스스로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키고 말았다.
3.3. 학계의 주장
사건이 일어난지 [age(1319-11-08)]년이나 지났기에 현재로서는 추측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원나라가 복국장공주의 사인을 의심하게 된 한만복의 증언을 '과장된 증언'이라고 보고 있다고 한다. 즉, 한만복의 증언대로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몇 번 손찌검한 건 사실일지 몰라도, 그것이 직접적인 사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원나라에서 처음부터 복국장공주의 사인에 대해 의심하고 있었는데, 한만복의 과장 섞인 증언을 듣자 결국 '충숙왕의 구타 때문에 복국장공주가 죽었다'고 믿어서 일이 커지게 된 것이라는 게 학계의 주장이다. 즉, 일종의 확증편향이라 할 수 있다.우선 당시 고려는 정치적으로 원나라에 예속되어 있었던 반독립(半獨立) 상태였는데, 이 상황에서 충숙왕이 원나라 공주인 복국장공주를 싫어해도 죽을 정도로 마구 두들겨 팬다는 건 너무 무모하고 위험하다는 게 첫 번째 이유이다. 충숙왕의 아버지 충선왕만 해도 계국대장공주를 대놓고 싫어하며 박대했다가 그녀의 모함으로 폐위당한 적이 있다. 그리고 훗날의 일인데, 충숙왕의 아들인 충혜왕도 경화공주를 강간한 것이 들통나서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고 원나라로 귀양을 갔으며, 귀양가던 중에 30세로 죽었다. 경화공주가 충혜왕의 서모가 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때려 죽인 것과 비슷한 일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이 일을 생각해 봤을 때 정말로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두들겨 패죽였다면 과연 왕위를 무사히 유지할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 즉, 정치적으로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몇 번 손찌검한 적은 있었을지 몰라도, 죽을 정도로 심하게 구타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그리고 2번째 이유는, 복국장공주는 이미 건강이 좋지 못했다는 것이다. 비록 정략결혼한 사이였고 부부 관계도 나빴지만, 복국장공주가 건강이 악화되자 충숙왕은 나름대로 사원과 도관(道觀) 및 개인의 집으로 자주 거처를 옮기며 공주의 병이 낫길 기원하였다. 또 《 고려사》를 보면 알겠지만 본래 그 사서가 조선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려를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에서 서술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려 말기 국왕들을 보면 꼭 어딘가 정신적으로 결함이 있는 인물들인 양 서술되어 있다.[4] 충숙왕도 예외는 아니다. 《고려사》 속에 묘사된 충숙왕은 아들 충혜왕만큼은 아니어도, 그 역시도 대단히 놀기 좋아하고 정사를 게을리하는 암군이었으며 함부로 살인까지 한 악당으로 묘사된다.
이렇게 충숙왕을 부정적으로 서술한 사서인데, 만약 정말로 복국장공주의 사인이 충숙왕의 구타 때문이라면 직접적으로 그렇게 서술했을 것이다. 그러나 《고려사》에서도 "복국장공주가 죽을 무렵에 그녀의 건강이 매우 좋지 못했다"고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도 충숙왕의 구타가 복국장공주의 직접적 사인이라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실제로 복국장공주 이외에도 고려에 시집온 몽골 공주들은 그나마 60세 정도까지 살았던 덕녕공주를 제외하면 모두 단명했고, 대부분 남편들보다 더 먼저 죽었다. 이러한 이유로는 오랜 타지 생활로 인한 향수병과 고려와 몽골의 다른 환경으로 인한 풍토병 등이 꼽힌다. 복국장공주 역시 크게 다르진 않았을 가능성이 높고, 단지 충숙왕이 자주 손찌검을 했던 사실로 인해 폭행치사 의혹이 불거진 것이란 게 학계의 주장이다.
[1]
심지어 이 때 충숙왕은 길에서 만난 사람을 몽둥이로 때려 죽이기까지 했다고 한다.
[2]
양력으로 환산한
날짜는 11월 8일이다.
[3]
원 무종은
보르지긴 칭김의 손자인데, 칭김은
제국대장공주의
오빠이며, 충선왕의 1비
계국대장공주의 할아버지이다. 고로 충선왕은 무종의 아버지 보르지긴 다르마발라(孛兒只斤 答剌麻八剌)에게 고종사촌 동생이 되는 인물이었고 무종 본인의 5촌 아저씨 뻘이었다.
[4]
최악의 폭군인
충혜왕은 말할 것도 없고, 개혁 군주로 이름난
공민왕조차도 말년의 모습을 보면
동성애에
관음증까지 있는 변태 성욕자로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