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0년( 고종 27)[1] 2월 25일 ~ 1958년 5월 13일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원주(原州)[2], 초명은 변진호(邊縉鎬), 자는 문규(文圭), 호는 만헌(晩軒)이다.2. 생애
1890년 2월 25일 전라도 임피현 북삼면 나포리(현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나포리)에서 아버지 변기탁(邊基卓, 1858. 9. 18. ~ 1916. 3. 3.)[3]과 어머니 성주 현씨(星州 玄氏, 1857. 2. 5. ~ 1895. 8. 20.)[4] 사이의 9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중앙고등보통학교, 일본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1919년 경성방직의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1923년 고향 군산부에 설립된 민립대학 지방부 설립에 집행위원으로 참여했다. 1928년 친일단체인 군산 간화회(懇話會) 창립에 참여해 부평의장으로 활동했다.
8.15 광복 후인 1945년 1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정부장인 조완구의 요청과 기타 독립운동가들의 제청으로 결성된 애국금헌성회의 중앙위원으로 참여했다. 그 뒤 민주국민당에 입당하여 중앙위원으로 있다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국민당 후보로 전라북도 군산시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2대 국회 기간 동안 발췌 개헌에 결사반대했고, 이승만 정부에서 발췌 개헌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기립 투표에 들어가자 이에 불응하고 제자리에 앉아 일어서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58년 5월 13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1가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둘러보기
전라북도 제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전주 | 군산 | 이리 | 완주 갑 | 완주 을 |
박정근 | 변광호 | 이춘기 | 박양재 | 박영래 | |
진안 | 금산 | 무주 | 장수 | 임실 | |
김준희 | 임영신 | 김상현 | 김우성 | 엄병학 | |
남원 | 순창 | 정읍 갑 | 정읍 을 | 고창 갑 | |
조정훈 | 김정두 | 공석 | 김택술 | 김수학 | |
고창 을 | 부안 | 김제 갑 | 김제 을 | 옥구 | |
신용욱 | 공석 | 송방용 | 최주일 | 지연해 | |
익산 갑 | 익산 을 | ||||
소선규 | 윤택중 | ||||
* 정읍 갑
신석빈 납북 * 부안 최병주 납북 * 김제 을 최윤호 피살 |
|||||
◀
제헌
제3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ADFF2F><tablebgcolor=#ADFF2F>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ADFF2F><tablebgcolor=#ADFF2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김명수 | 최국현 | 신익희 | 신각휴 | 성득환 |
윤담 | 안만복 | 이규갑 | 변광호 | 이춘기 | |
소선규 | 윤택중 | 김양수 | 정순조 | 박민기 | |
고영완 | 양병일 | 장홍염 | 서상국 | 정남국 | |
최원호 | 노기용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