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BF3333><colcolor=#fbe673> 배삼익
裵三益 |
|||
출생 | 1534년( 중종 29) | ||
사망 | 1588년( 선조 21) | ||
묘소 | 경상도 안동부 내성현(奈城縣) 호애산(虎崖山) | ||
관직 | 성균관 대사성, 황해도 관찰사 | ||
가족관계 | 부친 : 배천석(裵天錫) | ||
모친: 연일 정씨(延日鄭氏) | |||
처가: 영양 남씨(英陽南氏) 남신신(南藎臣)의 딸 | |||
자녀: 배용길(裵龍吉) , 배용필(裵龍弼) | |||
증조부: 배이순(裵以純), 조부:배헌(裵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F3333><colcolor=#fbe673> 본관 | 흥해 배씨 | |
자 | 여우(汝友) | ||
호 | 임연재(臨淵齋) | }}}}}}}}} |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에, 풍기군수, 양양부사, 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여우(汝友), 호는 임연재(臨淵齋)이다.2. 생애
1534년 안동 외조부 집에서 태어났다. 11세 때 부친을 따라 서울에 유학했고, 1558년 생원시험에 합격했다.1560년에는 퇴계 선생을 찾아 심경(心經)과 시전(詩傳)을 배우고 학문의 요체를 들었다. 1564년 31세에 과거(대과)에 급제하고, 이듬해 성균관 학유(學諭)를 시작으로 벼슬길에 오른다.
1558년(명종13) 생원이 되고, 1564년(명종19) 식년(式年) 문관(文科)에 31세의 나이로 병과로 급제했다.
1564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의 학유(學諭)·학록(學錄)·학정(學正)·박사를 거쳐 호조좌랑이 되었다.
풍기군수와 양양부사를 지내고, 1583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냈다. 뒤에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사헌부헌납 겸 춘추관기주관(司憲府獻納兼春秋館記注官) 등을 역임하였다.
1585년 겨울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이 되었고 이후 상호군(上護軍)을 역임했으며, 1587년에는 진사사(陳謝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나라에 바친 이몸이 기민(饑民)을 구제하라는 명을 받고서 신하의 의(義)로 감히 병이 있다고 해서 사양할 수 있겠느냐 |
병든 몸을 수레에 의탁하고 황해도로 떠났다. 그리고 심혈을 기울여 빈사상태에 놓인 주민들을 소생시켰다.
과로로 인해 배삼익은 건강이 악화되었고, 이에 좌우에서 휴양할 것을 권하면 건강을 돌보지 않고 주민 생활안정을 위해 매진했다.
민생의 고통이 이와 같은데 기식(氣息)이 붙어있는 동안 어찌 스스로 안일을 구하겠는가 |
배삼익은 조정에 청하여 호남지역 곡식 7천석과 호서지역 곡식 8천석을 지원받아 와서 각지에 배급소를 마련, 기민 1만1천188명에게 배급했다. 그리고 재령과 봉산의 둔전(屯田)을 감사해 수확량을 평등하게 분배, 가렴주구의 폐를 막는 등 어려운 백성 구휼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이를 통해 어느정도 민생이 안정되었지만, 그의 건강은 혈변이 나오는 등 점점 악화되었다. 그래서 그를 아끼는 조정의 관리들이 사직하고 돌아가기를 권하니 마지못해 사직을 청했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사람이 반드시 처자 앞에서 죽어야 마음이 편한가. 내가 이미 조정에 몸을 맡겼으니, 비록 직무를 수행하다 죽더라도 무슨 꺼릴 것이 있을 것인가. 사람의 명이 있는데 어찌 벼슬이 갈린다고 하여 목숨을 보존할 수 있겠는가. 임금님이 이미 허락하지 않았는데 어찌 감히 번거롭게 할 수 있겠는가 |
얼마 후 다시 병으로 사직을 청해 첨지중추부사로 체직(遞職)하는 명이 떨어져, 바로 길에 올랐으나 병으로 더 이상 갈 수 없었다. 청단으로 가는 도중에 더욱 위중하게 되어 수레에서 내려야 했고, 몇 시간 후 세상을 떠났다.
1588년(선조21) 황해도 관찰사로 나갔는데, 당시 황해도는 해마다 흉년이 들었고, 배삼익은 여러 고을을 순행하면서 백성을 살피다가, 고질병이 심해져서 벼슬을 사임하였다. 고향 안동으로 돌아가던 중에 55세의 나이로 해주의 청단역에서 사망했다.
3. 주변의 말
내 나이 열여섯 살 때 한성(漢城) 감시(監試)를 보았는데, 그 해 가을에 배삼익이 시골에서 서울로 올라와 두각을 나타내 동료들의 추앙을 받았다. 그는 고금의 일을 논하는데 막힘이 없고, 나는 그의 처소로 가서 그 이야기를 들었다. 시험을 치던 전날 밤 나는 그의 처소에 가서 잠을 잤다. …닭이 홰를 치자 그가 박차듯이 나를 일으켜 나란히 말을 타고 시험장으로 들어갔다. 뜰 가운데 큰 회나무 아래서 나무를 우러러보니 불빛 속에 겹겹의 녹색 나뭇잎이 아름답게 빛났다. 시제(詩題)가 나오자 그는 그다지 생각하지도 않고 날이 저물기 전에 두 편 모두를 완성하고도 왕성하게 힘이 남아 있었다. 나는 시는 완성했으나 쓰지는 못하고 있는데 그가 대신 썼다. 채점을 하자 나는 다행히 합격했지만, 그는 뜻을 펴지 못했다.
서애 류성룡[1]
서애 류성룡[1]
류성룡은 배삼익이 타고난 바탕에다 참된 학문을 했기 때문에 국가와 사회를 위해 큰일을 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의 경륜에 미치지 못한 성취와 55세를 일기로 세상을 버린 것에 아쉬움을 표했다.
배삼익은 내 벗이다.평소 교분이 매우 두터웠기 때문에 나는 그를 잘 알고 있으니 내가 신도비명을 짓지 않고 누가 짓겠는가
서애 류성룡
서애 류성룡
|
배삼익의 필체 |
4. 일화
4.1. 풍기 군수
풍기 군수로 재직할 동안 부정을 저지르는 교활한 아전을 반드시 법으로 다스려 조금도 용서하지 않으니 규율이 바로서고, 절약과 검소로 직무를 수행하니 관청 창고의 곡식에는 여유가 생겼다.남에게 이름 내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백성을 모아 놓고 불사르나, 그것은 내가 하지 않은 바이며 유용하게 쓰일 것을 쓸 데 없는 것으로 돌리는 것을 싫어하기에 모두 벽을 바르는데 쓸 것 |
5. 업적
중국 사신으로 가서 조선왕조 숙원사업인 종계변무(宗系辨誣) 마무리한것으로 업적을 이루었다.배삼익의 공직생활 중 가장 빛나는 업적은 중국 사신으로 가서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잘못 기록된 태조 이성계의 계통을 바로잡는 일인 ‘ 종계변무(宗系辨誣)’를 마무리한 일이다.
명나라 태조가 천하를 차지한 후 열국(列國) 왕가(王家)의 세계(世系)가 포함된 명나라 행정법전 대명회전에 조선 왕의 계통도 실려 있었는데, 태조 이성계가 고려 권신 이인임의 자손으로 잘못 기록돼 있었고, 조선의 역대 왕들은 사신을 보내 이를 바로잡기 위해 200년 동안 애썼으나 마무리 짓지 못하고 있었다.
배삼익은 1587년(선조 20) 봄에 진사사신(陳謝使臣)의 정사로 명나라에 갔는데, 그 전해에 사신들이 방물(方物:중국에 바칠 우리나라 토산품)을 잃어버리고 관사를 불태우는 등의 잘못을 저질러 생긴 마찰을 무마하기 위해 특별히 차출된 것이었다. 사신으로 떠나는 배삼익에게 왕이 “진사의 처지로 종계(宗系)의 일을 주문(奏文)에 삽입하는 것이 불가하나 드러나지 않게 탐지하여 최선을 다해 주선하라”는 유시를 내렸다.
배삼익은 사신의 일을 마친 후 담당 관리를 따로 만나 관련 문서를 올리고 대명회전 내 개찬된 조선 부분을 구할 수 있도록 요청했고, 시랑(侍郞)은 배삼익의 정중하고도 간절한 언행에 감동하며 최선을 다해보겠다고 약속했다. 배삼익은 다시 예부에 문서를 올렸고, 마침내 황제로부터 종계 초본(草本) 등서(騰書)를 허락받을 수 있었다. 당시 수정된 인쇄본은 발간되지 않은 상태여서 배삼익의 외교적 노력으로 초본을 입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소식을 먼저 전하자 선조는 기뻐하며 친히 모화관(慕華館)까지 나와 맞이하겠다고 했다. 배삼익이 귀국해 각별한 노력 끝에 바로잡은 내용을 담은 대명회전 조선조 종계 초본을 왕에게 올리니 선조는 “사신으로 가서 독자적인 판단으로 일을 처리하는 충성이 아니면 어찌 얻을 수 있었겠는가. 나로 하여금 선왕의 누명을 씻었음을 알게 했으니 심히 기쁘다”고 칭찬하며 내구마(內廐馬)를 하사했다.
종계변무와 관련 많은 관리들이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올랐으나 배삼익은 제외됐다. 사신으로 동행한 배삼익의 하인이 대도(大盜) 이산(李山)과 결탁해 중국 종묘의 보물을 도적질한 일이 나중에 밝혀졌고, 이에 연좌(連坐)돼 배삼익은 별세 후(1590년) 생전의 관작을 모두 박탈하는 삭직(削職)의 명을 받았고, 공신에도 들지 못하게 됐던 것이다. 그 후 후손(아들 琴易堂 배용길)의 신원소가 받아들여져 관작은 회복되었으나, 공신에 오르는 일은 후손이 대를 이어 억울함을 호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조선 광국공신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590년 8월 1일 선조에 의해 책록 | ||||||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 (1등) | |||||||
유홍 | 윤근수 | 황정욱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수충공성익모광국공신 (2등) | |||
윤두수 | 윤섬 | 윤형 | 이후백 | ||||
한응인 | 홍성민 | 홍순언 | |||||
수충공성광국공신 (3등) | |||||||
기대승 | 김주 | 류성룡 | 윤탁연 | ||||
이산해 | 이양원 | 정철 | 최황 | ||||
황림 | }}}}}}}}} |
- 역사의 기록에는 배삼익이 제외된것을 볼 수 있다. 후손들이 억울함을 호소했음에도 아랫사람인 몸종과 하인조차 단속 관리하지 못한 배삼익의 죄도 일부 있다고 판단해 광국 공신에는 끝내 포함되지 않았다.
그는 살아 생전 청렴 결백했으나, 주변사람의 간악함으로 그 공을 인정 받지 못했다. 끝까지 나라에 충성을 다했고 자기 몸은 돌보지 않고 조정일에 최선을 다했으나, 공직자 치고는 재산이 많지 않았다. 그의 곧은 성품때문에 백성이 흉년으로 힘들어 하고 있을때는 아들 배용길이 아버지 건강을 위해 잡수라고 올리는 쇠고기도 마다했다.
한 지방의 법을 집행하는 사람으로 있으면서 어찌 금하는 고기를 먹을 수 있겠는가. 나를 불의의 함정에 빠뜨리지 말라 |
류성룡이 휴가를 받아 안동(安東)에 근친(覲親)하러 가서는 겨우 그의 어머니만 뵙고는 즉시 같은 마을의 선비들과 더불어 10리 남짓 되는 곳에 있는 야정(野亭)에 모여 술을 마셨는데, 배삼익(裵三益)의 아들 배용길(裵龍吉)이 잔을 들고 앞으로 나아가서 말하기를 「선생이 지금 선비들과 회포를 푸는 것도 하나의 아름다운 일이다. 그러나 선생이 근친하지 못한 것이 이미 5, 6년이요, 선생이 이곳에 머무는 것 역시 며칠에 불과한데도 날마다 사람들과 술을 마시며 노니, 어버이를 모시는 시간이 적을까 염려된다.」 하니, 류성룡이 매우 부끄러워했다.’ 하였다.[2]
[1]
배삼익과 교분이 두터웠던 서애
류성룡(1542~1607)이 지은 신도비명에 두 사람이 함께 과거 보던 때(1557년)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2]
배삼익의 아들 배용길 또한 성품이 온화하고 곧았다 아버지 배삼익을 향한 효심도 매우 깊었다 전해진다.또한 잘못된 것이 있으면 자신보다 어른이라 하여도 직언을 멈추지 아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