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천보전자악단의 리경숙이 부른 원곡 |
1. 개요
1991년, 보천보전자악단의 지휘자이며 작곡가인 리종오(1943~2016)에 의해 작사, 작곡된 가요이다.2. 상세
1991년, 보천보전자악단이 북일 수교회담을 기념하기 위해 일본 순회공연을 하던 중 리종오가 공연장의 어색한 분위기를 바꾸고 재일동포들과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지은 곡으로 남북 이산가족 상봉 등 남북한이 만나는 행사가 있을 때마다 자주 불리게 되면서[1] 남한에서 유명해졌다. 방남한 북한 예술단이나 탈북자들이 꾸린 예술단이 공연할 때 첫곡으로 십중팔구 이 곡을 고를 정도였다.[2]남한에서도 그 유명세 때문에 수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를 했으며, 심지어 트로트 메들리에서도 수록된 사례가 꽤 있을 정도이다. 아마도, 북한의 노래 중에서도 드물게 북한의 독재 체제를 선전하는 내용이 없어서 그런지 남한에서도 유명해진 듯 하다. 대홍단 감자, 장군님 축지법 쓰신다(...)를 제외하면 남한에서 가장 유명한 북한 노래라고 할 만하다.
과거 대남확성기에서도 틀어주던 노래라 전방 GP, GOP에서 군생활을 한 사람들도 들어본 노래 중 하나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일본과 미국을 배척하는 북한인데도 리경숙의 공연 영상을 자세히 보면 야마하 엘렉톤 등의 일본산 악기를 사용한다.[3]
3. 가사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bgcolor=#FFF> 절 ||<bgcolor=#FFF>
보면 알겠지만 3절에 은근히 사상성을 드러낸 부분이 있다. 그래서 방남 공연이나 남한 가수들이 부를 때는 보통 2절까지만 부른다. 온라인 음원에서도 공식적으로는 3절의 후반부를 1절의 것을 사용한다.
문화어 표기
||1 |
동포 여러분 형제 여러분 이렇게 만나니 반갑습니다 얼싸안고 좋아 웃음이요 절싸안고 좋아 눈물일세 어허허 어허허허허 닐리리야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
2 |
동포 여러분 형제 여러분 정다운 그 손목 잡아봅시다 조국위한 마음 뜨거우니 통일잔치 날도 멀지 않네 어허허 어허허허허 닐리리야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
3 |
동포 여러분 형제 여러분 애국의 더운 피 합쳐갑시다 해와 별이 좋아 행복이요 내 조국이 좋아 기쁨일세 어허허 어허허허허 닐리리야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
북한이탈주민 출신들로 구성된 공연예술단이 행사 첫순서로 부르는 곡이기도 하다. 대개 1절만 부르는게 대부분이다. 임진강의 예와 같이 사상적인 부분이 강한 3절은 생략하고 2절의 통일잔치날도 북한이 의미하는 통일은 남한이 의미하는 통일과는 다른 의미의 통일이기 때문.
"반갑습네다" 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반갑습니다" 가 맞다. 북한 말투하면 유래는 모르지만 실향민이 쓰던 평안도 사투리에서 유래한 말투를 떠올려, 사람들이 "~네다" 로 끝나는 종결사를 많이 떠올려서 그런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문 규범인 문화어나, 탈북민이 많은 함경도에서는 분단 이전부터 거의 안 쓰는 표현이다.
4. 공연 영상
이 곡은 남한에도 여러 차례 공연된 바가 있고, 심지어 앨범으로 나온 바가 있으며 다른 북한 가요에 비해 사상성이 적은 편이라 여러 공연 자료가 많은 편이다.삼지연관현악단 강릉 공연(2018년)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을 기원하기 위한 북한의 삼지연관현악단 공연에서 2차례 모두 첫 곡으로 나온 적이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의 북한 피겨 페어팀 공연[4] |
5. 패러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를 합성한 패러디 영상 |
북한 노래에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소재를 엮어 패러디 영상을 만들어 유명해진 유튜버, Yonchi[5]가 우마무스메의 한국 정식 출시를 기념해 이 노래와 "곧바로"와 "다시 만납시다" 등의 다른 북한 노래, 우마무스메의 삽입곡 GIRLS' LEGEND U을 섞어 패러디 영상을 만들었다.
[1]
결정적으로 유명해진 계기가
2000 남북정상회담이었다. 이 회담 이후 이른바 '김정일 신드롬'이 불 정도로 남북관계가 가장 유연했기 때문이다. 이 시기는 심지어 초등학교 운동회에서 반갑습니다와 휘파람 등 북한 노래에 맞춰 율동까지 하던 시기이다. 또 청소나 쉬는 시간에는
김밥과 같이 남북 화합의 메시지를 담은 노래를 틀어주기도 했다.
[2]
이와 대조적으로 마지막 곡은 '다시 만납시다'나
우리의 소원을 선곡하는 경우가 많다.
[3]
애초에
김정일부터가
일본인 요리사를 고용한 전적이 있고
김정은도
미국 농구선수와 친분이 있는 사람이다.
[4]
렴대옥과 김주식이 페어 갈라로 반갑습니다에 맞춰 공연하였다. 갈라였지만 거의 실제 경기 못지않은 구성이었다.
[5]
한국 거주 중인
한국인과
조선학교를 나온
재일 조선인(
조선적) 사촌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