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현대 한국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일부 언어, 문화 등의 영역이나 현재 한반도에 남은 유물 등이 사실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한민족을 말살하고 민족정기를 훼손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음모론.2. 배경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이 조선에서 동화정책을 펼친 것 자체는 사실이며 1930년대부터는 민족말살정책을 펴며 한국어의 사용을 금하고 일본어의 사용을 강제하는 등 동화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이 결과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0년대 들어 일본어가 한국어에 상당 부분 침투하기도 했다.8.15 광복 이후에도 쓰레빠, 즈봉 같이 일본어로부터 전래된 단어들이 일상 생활에 여전히 쓰여왔지만 일제의 잔재를 없애로는 노력이 지속되었다.
하지만 8.15 광복 이후 일제가 시행한 것들을 바꾸는 과정에서 제대로 조사하지 않고 일제가 바꾸지 않았던 엉뚱한 것들이 일제의 만행으로 지목 받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식민지 시절부터 일제로부터 억압받으면서 생긴 반일 감정으로 인해 일제가 시행한 정책은 무조건 나쁘게 보려고 하다 보니 일부 극단적인 반일주의자들은 일제가 행한 건 모두 민족정기를 끊기 위해 행한 일이라고 주장하면서 역사 왜곡을 하게 되었다.
3. 특징
이들의 주된 오류는 "어? 이거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졌으니 일제가 한 짓 하니야?"로 요약할 수 있다. 실제로 일제가 바꾼 것도 있지만 문제는 일제가 한 짓이 아닌데도 일제가 한 짓으로 둔갑한 경우다.만물일본유래설과도 비슷한 부분이 있으나 만물일본유래설은 단순히 일본의 문화로부터 전래되었다는 설이고 만물일제설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조선의 민족문화를 말살하려고 고의적으로 자행했다는 설이다. 아무래도 일제가 민족문화 말살에 목적을 두고 한 짓이 워낙 많기 때문에 일제강점기에 우리의 생활에 정착한 언어나 문화, 유물 등의 것들이 일제의 의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오해를 하기 쉽다.
4. 현황
워낙 광범위하게 민간에 퍼진 설이라 교사들도 이걸 정설로 믿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고 그 때문에 현재도 그렇게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게다가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도 그렇게 잘못 알고 있어서 엉뚱한 걸 되돌린답시고 바꾸는 사례도 있는데 닭볶음탕이나 의왕시의 한자 표기 문제가 대표적인 사례다.2000년대부터는 인터넷이 보급되며 잘못된 정보들이 정정되고는 있지만 현재에도 바로잡히지 않는 것이 많으며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5. 사례
-
경희궁 훼손설
일제가 의도적으로 경희궁을 철거하였다는 설. 민간 자료는 물론이고, 문화재청 등 정부에서 발간한 공식적 자료에도 일제에 의해 경희궁이 파괴되었다는 내용이 최근까지 버젓이 서술되어 있었다. 때문에 대다수의 국민들은 광화문과 서대문 사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오랫동안 허허벌판으로 방치되고 있었던 경희궁터를 보며 조선 후기 양궐이었던 경희궁을 일제가 훼손한 것에 대해 분개해왔다.
그러나 경희궁은 구한말에 경복궁 복원을 위한 건축 자재로 사용되며 해체되어 이미 90% 이상이 훼손되었다. 이미 19세기 말에 잔여 전각 5채만 남은 상황이며 그마저 문짝이 모두 철거되어 건물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프랑스 사진작가가 찍은 사진상으로 경희궁 궁터는 이미 구한말에 잡초가 무성하게 황폐화된 상태였다. 일제시대 때 잡초가 무성한 공터로 방치되고 있던 해당 부지 일부에
서울고등학교의 전신인 경성중학교를 세웠고 잔여 전각 5개를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매각하여 동국대, 성균관대, 신라호텔 등의 부지로 이건되었다. 그리고 그 일부가 현재까지 남아 경희궁 복원에 이용되었다.
-
닭도리탕 일본어 유래설
닭도리탕에서 도리가 일본어로 새를 뜻하는 토리(鳥)에서 왔다는 설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순화어로 닭볶음탕이라고 바꿨는데,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어라는 근거는 없다. 다만 일제강점기부터 닭도리탕이라는 명칭이 기재된 기록이 존재한다는 점을 들어 일제강점기에 일본어의 영향을 받아 이름이 바뀌었다고 미루어 짐작한 것인데 이 부분에서 국립국어원은 많은 비판을 받았다.
-
대일본(大日本) 형상화설
조선의 심장부인 서울에 大 자, 日 자, 本 자로 생긴 건물을 세워 민족정기를 훼손했다는 설. 남산에서 바라보면 서대문형무소가 大, 조선총독부 청사가 日, 서울도서관(舊 경성부청, 서울특별시청)이 本 자를 닮았다고 주장하는 설이다. 그러나 위성지도만 봐도 이 건물들이 그 글자를 닮지도 않았다. 특히 서울도서관 건물은 本 자랑은 거리가 아주 멀다.
-
의왕시 한자 표기 변경설
의왕시는 본래 경기도 광주부 의곡면(儀谷面)과 왕륜면(旺倫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부군면 통폐합이 되면서 두 지역이 통합되어 수원군 의왕면(儀旺面)이 되었으며 이후 의왕면이 의왕읍으로, 의왕시로 승격되었다. 즉, 한자 표기 자체는 조선시대부터 이미 儀 자와 旺 자를 썼는데, 뜬금없이 의왕의 왕(旺)이 일왕을 찬양하기 위해 일제가 의도적으로 바꾼 이름이라는 낭설이 퍼졌다. 결국 의왕시는 2007년 멀쩡한 한자 표기를 義王으로 바꾸었다.
-
인왕산 한자 표기 변경설
1995년 4월 서울시는 지명위원회를 열어 인왕산의 표준 한자 표기를 仁王山으로 고치면서 '일제가 민족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고친 한자 표기를 바로잡았다'는 다소 근거 없는 주장을 했지만 인왕산의 본래 한자 표기는 仁旺山이 맞다. 이는 영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에서도 확인된다. #
-
장안평 한자 표기 변경설
1995년 서울시는 동대문구 장안평(장안동)의 표기가 일제가 변경한 것이라는 서울시 지명위원회 지리학자들의 잘못된 주장을 서울시가 받아들여 지하철 5호선 역명 표기가 장한평역으로 변경하여 확정했다. 지리학자들은 신라시대 기록을 근거로 이 지역 지명이 '장한(長漢)'인데 일제가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장안(長安)'으로 고쳤다고 했지만 조선왕조실록 등에서 조선시대에 이미 이 지역을 '장안(長安)'으로 표기한 사실이 확인되었고 결국 일제에 의해 강제로 지명이 개명되었다는 지리학자들의 음모론이 허위임이 드러났다. 지리학자들의 허위 주장 때문에 역명이 엉뚱하게 장한평역으로 확정되면서 해당 지역은 현재까지도 장안평, 장한평이라는 지명이 혼재하며 시민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