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5:58:43

마르코 니콜리치(축구감독)

파일:816141.png
2024-25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하산비
비지예프

파일:Dinamo_logo_PNG.png
마르첼
리치카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발레리
카르핀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미하일
갈락티오노프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라시트
라히모프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데얀
스탄코비치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자우르
테데예프

파일:FC_Akron_logo_1_2023.png
마고메트
아디예프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다비드
데오그라시아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세르게이
세마크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마르코
니콜리치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무라트
무사예프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이고리
오신킨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사샤
일리치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이고리
체렙첸코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파일:FC 힘키 로고.svg
러시아 퍼스트 리그 감독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마르코 니콜리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50대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44대
}}} ||
PFC CSKA 모스크바
ПФК ЦСКА Москва
파일:MarkoNikolicCSKA.png
마르코 니콜리치
Marko Nikolić | Марко Николић
<colbgcolor=#003991,#191919> 출생 <colbgcolor=#ffffff,#191919> 1979년 7월 20일 ([age(1979-07-20)]세)
유고슬라비아SFR 세르비아SR 베오그라드
국적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직업 축구 선수 (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003991,#191919> 선수 FK 라드 (1989~1999)
FK 도르촐 (1998~1999 / 임대)
감독 FK 라드 (2001~2007 / 유스)
FK 라드 (2007~2008 / 수석 코치)
FK 라드 (2008~2011)
세르비아 U-18 대표팀 (2011~2012)
FK 라드 (2012~2013)
FK 보이보디나 (2013)
FK 파르티잔 (2013~2015)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2016)
FK 파르티잔 (2016~2017)
MOL 페헤르바르 FC (2017~2019)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20~2021)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23~2024)
PFC CSKA 모스크바 (2024~ )
국가대표 없음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 국적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베오그라드 태생의 니콜리치는 1989년에 FK 라드에 입단하였다. 오랜시간을 유스에서 보낸 후, 3부리그의 FK 도르촐로 임대를 갔으나, 심한 부상으로 인해 은퇴를 하였다.

3. 감독 경력

3.1. FK 라드 시절

20대 초반부터 니콜리치는 라드의 유스팀을 수년간 지휘해왔고, 2008년에 1군팀 코치로 승격해 미하일로 이바노비치와 알렉산다르 야니치의 수석코치 역할을 수행했다. 그 후 2008년 10월 26일, 야니치 감독의 후임으로 내정되었다. 3년 후, 니콜리치 감독은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역사상 최연소 감독이 되었고, 보이보디나를 상대로 1대0 승리를 거두었다. 팀도 9위로 시즌을 마치면서 수페르리가에 잔류하는데 성공하였다. 2011년 5월 23일, 라드는 유로파리그 진출을 확정지었지만, 니콜리치 감독은 목표를 이뤘다면서 구단을 떠나기로 했다.

2012년 3월 6일, 라드는 다시 한번 니콜리치를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계약기간은 2013년 여름까지.

3.2. FK 보이보디나

2013년 6월 7일, 보이보디나는 니콜리치를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니콜리치는 보이보디나를 이끌고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 예선까지 나갔으나, 셰리프 티라스폴에 패하였다. 2013년 12월 9일, 구단과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하였다.

3.3. FK 파르티잔 1기

2013년 12월 16일, 파르티잔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보이보디나에서 자신이 좋아했던 선수들을 몇명 데려왔다. 2014년 2월 22일의 데뷔전은 노비 파자르를 상대로 한 0대0 무승부였다. 2013-14시즌 즈베즈다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실패하였고, 다음시즌엔 유로파리그에서 조별리그 꼴찌를 기록하였다. 결국 2015년 3월 25일, 구단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3.4.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2016년 1월 11일, 니콜리치는 슬로베니아리그의 올림피야 류블랴나로 이동하였다. 계약기간은 2.5년. 라드에서 같이 일했던 풋볼 디렉터인 란코 스토이치와 재회했다. 2016년 4월 10일, 자브르츠와의 경기에서 니콜리치는 자신의 선수인 블레싱 엘레케가 추가시간에 동점골을 기록한 후 열정적으로 골 셀레브레이션을 하자, 그를 검은 바보라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후에 그는 선수, 팬들, 보드진들에게 사과하였다. 하지만, 2016년 4월 14일, 슬로베니아 축협에서는 7경기 출장정지와 1500유로의 벌금을 물렸다. 결국 2016년 4월 18일, 불명예스럽게 구단과 상호해지를 하였다.

3.5. FK 파르티잔 2기

2016년 8월 4일, 니콜리치는 파르티잔과 2년계약을 맺으며 복귀했다. 복귀 첫 경기는 FK 보이보디나와의 3대1 패배였다. 첫 4경기에서 2승 2패를 기록한 이후, 니콜리치의 파르티잔은 공식경기에서 37경기 연속 무패를 기록하였다. 그러면서, 리그와 컵 모두 우승을 거머쥐었다. 2017년 5월 31일, 니콜리치는 파르티잔과 계약을 해지했다. 본인 요구였다고 한다.

3.6. MOL 페헤르바르 FC

2017년 6월 6일, 니콜리치는 당시 비데오톤이라고 불렸던 페헤르바르와 2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첫 시즌부터 넴제티 바이녹사그 I을 우승하였다. 2018-19시즌에는 팀을 UEFA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까지 진출시켰으나, AEK 아테네에게 패하였고, 유로파리그 조별리그로 진출하였다. 페헤르바르는 PAOK에게 2승을 거두고, 첼시에게 1무를 거두는 등 좋은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다음시즌에는 FC 파두츠에게 유로파리그 3차예선에서 패하였다. 2019년 11월 25일, 니콜리치는 MOL 아레나 소스토에게 3대1로 홈에서 패배한 이후 경질당했다. 2019-20시즌 전반기에서 라이벌인 페렌츠바로시 TC보다 일정상 이점으로 인해 더 많은 승점을 쌓을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이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페렌츠바로시가 우승을 거두었다.

3.7.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20년 5월 14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유리 세민 감독의 후임으로 마르코 니콜리치 감독의 선임을 발표하였다. 감독 계약은 6월 1일부터 시작한다. 첫 풀시즌 전반기에는 리그에선 알렉세이 미란추크의 이적설과 그의 대체자를 찾느라 소란이 있으면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줬으나, 겨울 휴식기 이후 후반기에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주면서 팀의 유로파리그 진출을 이끌어냈다. 2021-22시즌을 앞두고 랄프 랑닉이 단장으로 선임되면서, 그의 역습축구를 선호하는 축구철학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아 내쳐질 수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2021년 10월 5일,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한 뒤 팀을 떠났다.

3.8.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23년 6월 29일,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제안이 왔지만 거절하였다. 이후 리그 2위로 마치며 우승에 실패했고 2024년 5월 28일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종료하였다. 이후 PFC CSKA 모스크바 감독 후보에 오르고 있다.

3.9. PFC CSKA 모스크바

2024년 6월 4일, PFC CSKA 모스크바과 원칙적으로 감독직을 맡는 데 합의하였다. 이후에 정식으로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2024년 6월 6일, 2년 계약을 정식으로 체결하였다.

4. 수상 경력

4.1. 감독 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