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2:47:08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2024년 7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1. 개요2. 변경점
2.1. 전망2.2. 경과
2.2.1. 일본2.2.2. 한국2.2.3. 총평
3. 목록
3.1. 금지 카드3.2. 제한 카드3.3. 준제한 카드3.4. 제한 해제

유희왕 러시 듀얼의 연도별 리미트 레귤레이션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1월 4월 7월 10월

1. 개요

2024년 7월부터 적용되는 유희왕 러시 듀얼의 리미트 레귤레이션 개정 변경 리스트. 2024년 06월 16일 21시에 공개되었다.

2. 변경점

붉은색으로 표기된 카드는 제재 단계가 강화된 카드이고, 초록색으로 표기된 카드는 제재 단계가 완화된 카드다.
  • 제한 카드로는 비밀수사관 미스캐스트, 비밀수사관 미스테이크, 셀레브로즈 워록이 선정되었다.
    • 비밀수사관 미스캐스트와 미스테이크는 약 1년간 환경을 장악하고 있던 파충류(비밀수사관) 덱의 핵심 파츠로서 아드창출의 필수 카드라 할 수 있는 해당 카드들이 제한으로 올라가게 되었다. 둘 다 조건이 있긴 하지만, 파충류족을 패에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기타 덱들보다 핸드 아드 소모가 매우 적은 편이었다. 특히나 미스테이크의 경우 덱을 섞지 않기 때문에 덱 탑에 자기 자신이 있다면 손쉽게 공짜 아드를 불릴 수 있다는 점도 있었다.
      러시 듀얼에서 덱의 결과물이 아닌 엔진을 잘라내는 경우는 흔치 않았기에 비수관 견제는 청정의 사희가 잘릴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비밀수사관은 말이 파충류지 압도적인 어드밴티지 확보 & 회수 능력으로 굿 스터프 픽들도 알뜰하게 잘 써먹는 덱이었고 사희를 잘라도 다른 결과물을 찾아 기생할 미래가 너무 훤했기에 덱의 동력 자체를 견제하는 제재로 이어졌다.
    • 셀레브로즈 워록의 경우 대다수의 유저들이 예상하지 못한 제한 카드로 올라왔는데, 원인은 셀레브로즈 럭셔리 매지션즈와의 무한 루프. # 하지만 그와 별개로 싱글전 환경에서는 입상 기록을 어느정도 보유하고 있었지만, 덱이 묘지를 상당히 많이 이용하고 5~6 레벨에 키 파츠들이 많은 관계로 여러 메타 카드들에 취약한 문제가 있어 매치 환경에서는 잘 입상을 못했으며, 레벨 상한 없는 소생 효과 덕분에 필드의 전개력에 중요한 파츠가 잘렸으니 티어 폭락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준제한 카드로는 그랜드 익스트림이 선정되었다.
    • 작년 10월 금제 이후로 반년 정도만에 준제한으로 내려오게 되었다. 이전에 제한으로 올라간 이유가 아프사라스를 필두로한 해룡비트 덱의 파워 문제로 추정하였는데, 이후 해룡족 및 어류족 기반의 덱들이 환경에서 자주 보이지 않는 상황이고, 그랜드 익스트림의 묘지 견제가 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준제한으로 내려온것으로 보인다.
  • 제한 해제 엑스큐티 릴리우스, 마도창 그레이스 스피어가 선정되었다.
    • 릴리우스의 경우 이후 류미엘과의 컨텍트 퓨전체의 등장 예정 및 엑스큐티 자체의 성적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점 때문에 무제한으로 내려온것으로 추정된다.
    • 마도창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던 마도병 GS가 사실상 환경 아웃이라는 점. 주로 사용할 원더 퓨전이나 가이아도 3장을 풀 투입하던 덱들이 아닌 관계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준제한으로 내려온것으로 추정된다.

2.1. 전망

거의 1년동안 환경에서 1티어 자리를 지키고 있던 비밀수사관의 하급 키파츠를 죽임으로서 하위 티어 덱들이 올라올 가능성이 높아질것으로 추정된다.
대다수의 유저들은 사희도 같이 금제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긴 했지만, 사희 자체는 약간 범용 카드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고, 러시의 금제 특성상 범용 카드의 금제 입성은 자제하는 편이기에 우선적으로 비밀수사관의 하급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환경 변화를 노리는 듯하다.

셀레브로즈의 경우 단판에서는 유의미한 입상을 다수 보여주고 있긴 했지만, 매치전에서는 메타카드들에 취약하다는 점에 다소 성적을 내고 있진 않았었다. 하지만 워록을 이용한 전개등을 문제시해 워록을 제한으로 보낸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셀레브로즈가 워록을 이용한 전개가 많긴 했지만, 위치를 이용한 소생이나 현현의 비의를 이용한 전개 방향은 아직 남아있는 관계상 안정성은 낮아졌지만, 퓨전체에 대한 엑세스 자체가 불가능 해진것은 아니라고 보인다.
다만 이전 썬더볼트의 제한으로 해당 덱이 티어에서 사라지고 장인픽으로 남은 전례를 보면 셀레브로즈도 비슷한 길을 걸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랜드 익스트림의 경우 현 환경에서 해룡족은 사실상 어비스카이트만 남아있는 상황이고, 이전에 아프사라스L이 환경에서 날뛰었을때에는 묘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원더퓨전이 탑티어였던 것도 있어서 직접 저격하는 포지션이었었다.
24년 4월 환경에서는 탑티어인 비수관이 상대적으로 묘지의 의존도가 낮고, 현 환경에서는 선셋 리버스, 샤이니 쉐이디등 함정의 파워가 상당히 강해져 있고, 전반적인 몬스터들의 타점이 올라와있는 상황이라 이전처럼 맥시멈파츠비트식의 플레이가 어느정도 먹힐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릴리우스의 경우에는 환경에 보이고는 있지만, 이전처럼 1티어라기 보다는 7랩 기반인 비수관등을 카운터치는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릴리우스를 같이 쓸 수 있을 로얄데먼즈의 경우 선셋리버스를 필두로한 범용 함정들에 상당히 취약하다는 문제 때문에 환경에서 벗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릴리우스의 컨택트 퓨전체가 예정되어있는 상황이라 릴리우스를 무제한으로 푸는 방향으로 간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금제로 엑스큐티의 모든 카드들의 제제는 풀려난 상황이 되었다. 다만 최전성기에 투입하였던 업화의 결계상이 금지인 상황이라 이전처럼 1티어권에 자리를 잡을지는 미지수이다.

마도창의 경우 준제한으로 풀렸을때에도 사용하는덱이 원더퓨전 정도였고, 원래 무제한 시절에도 원더퓨전에서는 3장을 풀투입하던 덱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마도병 때문에 제한으로 갔었다고 추정되는 상황이다.
마도창이 모두 풀린다 하더라도 원더퓨전은 최대 2장 투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마도기사족이 들어가있는 가이아의 경우도 1종에만 영향이 있기에 3장 풀 투입을 행할 이유가 없고, 마법사족 덱일 어둠마법사는 티어권에서 멀어져있고, 셀레브로즈의 경우 전용 장비가 있기에 사용할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현 환경에서는 신규 마도기사족 몬스터가 등장하지 않는한 마도창이 적극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은 없다고 예측되고 있다.

2.2. 경과

2.2.1. 일본

2.2.2. 한국

2.2.3. 총평

3. 목록

3.1. 금지 카드

종류 유희왕 러시 듀얼 변경점
효과 몬스터 업화의 결계상

3.2. 제한 카드

종류 유희왕 러시 듀얼 변경점
효과 몬스터 초밥천사 드래곤롤
일반 마법 마법돌의 채굴
효과 몬스터 네크메이드 나나
효과 몬스터 화뢰신 썬더볼드
일반 마법 그랜드 익스트림
효과 몬스터 창구기사 시에라
일반 마법 캣트로와 초이스
효과 몬스터 흑요의 마도병
효과 몬스터 비밀수사관 미스캐스트 무제한→제한(2024년 7월)
효과 몬스터 비밀수사관 미스테이크 무제한→제한(2024년 7월)
효과 몬스터 셀레브로즈 워록 무제한→제한(2024년 7월)

3.3. 준제한 카드

종류 유희왕 러시 듀얼 변경점
효과 몬스터 프로그레스 폿터
일반 마법 세븐즈 원더 퓨전
효과 몬스터 엑스큐티 릴리우스
장착 마법 마도창 그레이스 스피어
효과 몬스터 레전드 매지션
일반 마법 트라이앵글 X 스파크
일반 마법 레전드 스트라이크
효과 몬스터 그랜드 익스트림 제한→준제한(2024년 7월)

3.4. 제한 해제

종류 유희왕 러시 듀얼 변경점
효과 몬스터 엑스큐티 릴리우스 준제한→제한 해제(2024년 7월)
장착 마법 마도창 그레이스 스피어 준제한→제한 해제(2024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