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5:11:52

동중국해

동지나해에서 넘어옴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바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제수로기구 S23 기준
[ 해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23_Ed3_Sheet_1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2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3_Small.jpg
<colbgcolor=#334455> 태평양 <colbgcolor=#eef,#002> 남중국해 · 동인도제도( 술루해 · 술라웨시해 · 몰루카해 · 토미니만 · 할마헤라해 · 세람해 · 반다해 · 아라푸라해 · 티모르해 · 플로레스해 · 보니만 · 발리해 · 마카사르 해협 · 자바해 · 사부해) · 동중국해 · 동해 · 말라카-싱카포르 해협( 말라카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베링해 ·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알래스카만 · 오호츠크해 · 캘리포니아만 · 타이만 · 태즈먼해 · 태평양( 동태평양 · 서태평양 · 남태평양 · 북태평양) · 필리핀해 · 황해( 발해)
대서양 기니만 · 대서양(남대서양 · 북대서양) · 라플라타 강 하류 · 마르마라해 · 멕시코만 · 발트해( 보트니아만 · 핀란드만 · 리가만) · 북해 · 브리스틀 해협 · 비스케이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스카게라크 해협 · 스코틀랜드 연안 · 아이리시해 · 영국 해협 · 지중해( 지브롤터 해협 · 알보란해 · 발레아레스해 · 리구리아해 · 티레니아해 · 이오니아해 · 아드리아해 · 에게해) · 카리브해 · 펀디만 · 흑해( 아조프해)
인도양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라카디브해 · 모잠비크 해협 · 배스 해협 · 버마해 · 벵골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라비아해 · 아카바만 · 인도양 · 페르시아만 · 홍해
북극해 그린란드해 · 노르웨이해 · 데이비스 해협 · 동시베리아해 · 라프테프해 · 래브라도해 · 링컨해 · 바렌츠해 · 배핀만 · 백해 · 보퍼트해 · 북극해 · 북서항로 · 추크치해 · 카라해 · 허드슨만 · 허드슨 해협
남극해 드레이크 해협
카스피해 카라보가스골만 }}}}}}}}}

동중국해
東中國海 | East China Sea
파일:동중국해 사진.jpg

위치
파일:동중국해 위치.png

1. 개요2. 명칭3. 분쟁지역

[clearfix]

1. 개요

제주도 남쪽부터 대만에 걸쳐있는 서태평양의 연해이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이 모두 접하고 있는 유일한 바다이다.

해역의 크기는 약 1,249,000km². 국제수로기구에 따르면 동쪽으로는 일본 규슈와 류큐 열도를 잇는 곡선으로 필리핀해와 구분되며 북동쪽으로는 제주도 규슈 후쿠에 섬 남단을 잇는 선, 북서쪽으로는 제주도 서단부터 양쯔강 하류까지 직선으로 잇는 선으로 황해와 격절되며 남서쪽은 타이완섬의 북단과 푸젠성의 동쪽 해안을 잇는 선으로 남중국해와 구분된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과 접하는 바다를 말할 때 동해, 서해[1], 남해만 말하고 동중국해는 말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동중국해도 엄연히 제주도 남부와 접해있으므로 한국과 접하는 바다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였다는 의미는 한국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즉 한국 본토만을 의미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남해 국제수로기구에서 해역 명칭으로 쓰이지 않으며 동해의 일부로 간주된다.[2]

특히 대륙붕이 많아서 이 지역의 석유 등 각종 천연자원이 큰 관심거리가 되어가고 있다.

2. 명칭

한국에서는 동중국해라고 한다.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을 중심으로 제주 남방해역이라는 비공식적 명칭을 쓰기도 한다. 과거에는 중국을 달리 부르는 명칭인 지나(支那)를 써서 동지나해(東支那海)라고 했지만,[3] 지나는 중국에 대한 멸칭으로 받아들여져서 오늘날에는 거의 쓰이지는 않는다. 민간에서는 일본해의 사례처럼 중국 중심의 표기라며 동중국해라는 명칭을 불합리하다고 여겨 한국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남해'[4] 등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민족주의적 주장이 꽤 있다. # 물론 정부 차원에서 공식화되지도, 사회 전반적으로 공론화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근거나 주장이 매우 빈약함은 물론이고 실현성이 전혀 없다.

한편, 일본에서는 히가시시나카이(東シナ海, 동지나해)라고 한다. 여기에는 한국에서 생각하는 남해도 포함된다. 규슈 앞 바다 즉 한국의 남해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진원지가 히가시시나카이로 표기된다. 중국과 대만에서는 둥하이(东海, 東海), 즉 동해라고 부른다.

동중국해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중국대륙 연안의 섬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섬들은 일본의 영토다.

이 바다를 건너는 서울(인천)- 홍콩, 서울(인천)- 방콕, 서울(인천)- 싱가포르, 서울(인천)- 오키나와, 서울(인천)- 시드니 등의 노선[5]이 많은데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항공 등 국적기는 동중국해로 표기하며 캐세이퍼시픽, 중화항공, 에바항공 등 중화권 항공사들은 중국식 표기인 동해(東海)로 표기한다. 싱가포르항공의 경우 영어 맵에서는 East China Sea, 중국어 맵에서는 東海로 섞어서 쓴다.

3. 분쟁지역

일본이 실효 지배중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대한 일본, 중국, 대만간의 영유권 분쟁이 있다.

동중국해에는 천연가스가 있는데 이로 인해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사이에서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한중일 대만간에 방공식별구역, EEZ가 서로 겹치는 구역이기도 하다. # 대표적인 갈등은 한중 EEZ가 겹치는 이어도, 가거초, 2광구 등이 있는 부분으로 중국 측에서 이 쪽을 자신들의 방공식별구역 내로 집어 넣어 버리고 군용기 등을 띄우기도 하며 갈등이 예상된다.

한국에서도 이어도에 관심을 갖고 주시하지만 영토분쟁이 있다기보다는 EEZ가 겹치는 문제라서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 주력 경비함정을 투입해 경비에 나서고 있다.
[1] 해양학적 '황해'의 북쪽 일부 즉 전라남도주변까지를 의미. 해양학적으로 황해의 경계는 양쯔강하류까지이다. [2] 국제적으로는 황해, 일본해, 동중국해만 존재하며 관습적으로 한국에서 말하는 동해와 남해를 합한 것이 일본해이다. 다시말해 부산은 물론 목포앞바다까지 국제법적으로는 일본해이다. 한국에서는 그것을 둘로 갈라 각각 동해와 남해로 부르는 것. [3] 1980년대까지는 일기예보에서도 쓰였다. [4] 보통 '남해'의 일부인 것으로 여겨지는 수역들은 공식적으로는 황해, 동해, 동중국해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들의 주장처럼 남해 = 동중국해라 보기는 어렵다. [5] 이들 모두 공통적으로 인천국제공항을 이륙하고 인천->시흥->안산->평택->아산만->당진->보령->군산->고창->나주->목포를 거쳐 한반도 서해안을 쭉 내려온 후 제주도를 관통해 한라산 백록담 바로 위를 지나간다. 겨울에 타면 폭설이 내리기라도 할 경우 눈이 덮여있는 한라산을 볼 기회도 생긴다. 싱가포르나 방콕, 홍콩 등 노선은 대만 상공을 그대로 지나오고 남중국해에 들어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