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01:43:31

도미니카 연방/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도미니카 연방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경제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경제|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니카라과/경제|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엘살바도르/경제|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온두라스/경제|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벨리즈/경제|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코스타리카/경제|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나마/경제|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카리브해
[[바하마/경제|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도미니카 공화국/경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경제|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자메이카/경제|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쿠바/경제|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그레나다/경제|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도미니카 연방/경제|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바베이도스/경제|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앤티가 바부다/경제|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루시아/경제|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경제|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경제|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트리니다드 토바고/경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도미니카 연방의 경제 정보
인구 73,040명 2023년[1]
경제 규모(명목 GDP) 6억 5,399만 달러 2023년[2]
경제 규모( PPP) 12억 8,540만 달러 2023년[3]
1인당 명목 GDP 8,953.9달러 2023년[4]
1인당 PPP 17,598.6달러 2023년[5]
경제성장률 4.7% 2023년[6]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 3.5% 2023년[7]
1. 개요2. 경제사3. 산업4. 자연재해

1. 개요

2023년 기준 도미니카 연방은 서비스업이 GDP의 58.5%를 차지한다. 같은 해 제조업, 건설, 광업 및 전기·가스·수도는 12.2%이며 그 중에서 제조업은 2.7%로 극히 미미하다. 농업, 임업, 축산업, 어업의 비중은 14.8%이다. 허리케인 데이비드(David)로 국토가 초토화된 1979년을 제외하면 1980년대 말까지 순조롭게 성장하였으나 1990년대 내내 불황에 시달렸다.

2002년부터 세계경제 호황에 따른 관광산업 활성화 및 수출주력 상품인 바나나의 가격 상승, 2004년 3월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하여 얻어낸 막대한 원조로 한때 고성장을 했지만 인상적인 수준은 아니었고[8], 2008년 금융위기와 농업, 관광업의 부진과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난을 겪었다. 현재 경제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누적 상승률이 2.37%, 연평균 0.156%로 완전히 정체된 상태이다. 바나나 농업의 쇠락을 보상해줄 관광업 분야의 부진으로 인해 2023년 기준 도미니카 연방은 카리브해 도서국가 가운데 아이티, 자메이카 다음으로 가난하다.

2. 경제사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원정 후 카리브해는 영국과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등 서구 열강의 각축지였다. 비옥한 토지와 귀금속을 찾아온 정복자들에 의해 카리브해 원주민들은 대거 학살되거나 정체성을 잃고 동화하기 일쑤였다. 1690년 마르티니크와 과들루프에서 온 프랑스인 벌목업자들이 최초로 도미니카에 영구 정착지를 건설했다. 1715년부터 섬을 통치한 프랑스는 커피 플랜테이션을 만들었다.

7년 전쟁 중 수차례 주인이 바뀐 끝에 1783년 파리 조약[9]으로 도미니카는 공식적으로 영국령이 되었다. 영국은 섬에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을 만들어 설탕 공급 기지로 사용했지만 생산량은 다른 식민지에 비해 작았다. 1815년 2,205톤의 설탕을 생산했는데 이것은 나중에 개발되고 면적도 더 작은 세인트 빈센트 섬의 11,590톤보다 훨씬 작았다. 1840년대가 되어서야 설탕 생산량이 커피 생산량을 넘어섰고, 그마저도 다른 설탕 공급지와 경쟁에 밀리면서 쇠퇴하였다. 1900년대 설탕 생산은 사실상 끝났고 라임 바닐라, 코프라[10]가 주요 농업 상품으로 떠올랐다.

라임은 1860년에 대안적 상품작물로 도입되었다. 설탕 생산이 감소하면서 수출에서 라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상승했고 1920년대에는 수출의 80%가 라임이었다. # 1920년대 후반에 닥친 허리케인과 대공황으로 라임 농업이 쇠퇴한 후 바나나가 주요 작물로 떠올랐다. 영국 정부는 미국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의 바나나 산업 독점을 깨기 위해 도미니카 연방이 있는 동카리브해의 윈드워드 제도를 바나나 공급지로 육성하려고 했다. 1931년 처음으로 영국행 바나나 수출이 이루어졌다. 곧 바나나 농업은 국가의 기반 산업으로 성장했고 1960년 수출의 80%를 기여했다. 1988년 바나나 산업은 인구의 1/4에 달하는 2만명을 고용했고, 수출량은 72,000톤, 수출액은 1.03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에 달했다. 이는 당해 도미니카 GDP 대비 22%에 달하는 수준이었다. #

1988년 이후 중앙아메리카의 바나나 생산국들과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도미니카 연방의 바나나 농업은 도태했다. 2012년 관련 산업 종사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바나나 산업은 많아봐야 5,000명 정도를 고용한다. 바나나 농업이 도태하면서 도미니카의 수출도 감소하거나 정체했다. 도미니카 통계청(CSO) 자료에 따르면 도미니카 연방의 국내 생산품(Domestics) 수출은 1988년 1.47억 달러에서 2012년 0.81억 달러로 감소했다. #[11] 바나나 외에 다른 가치있는 상품을 찾아내지 못하면서 원래 심했던 상품무역의 역조는 더욱 극심해졌다. CSO 통계에 따르면 1989년 도미니카 연방은 1.50억 동카리브 달러를 수출하고 2.09억 동카리브 달러를 수입, 0.59억 동카리브 달러 적자로 이는 당해 GDP의 16.8%에 달했다. 2017년 도미니카 연방은 0.59억 동카리브 달러를 수출하고 4.50억 동카리브 달러를 수입, 3.9억 동카리브 적자로 이는 당해 GDP의 27.8%에 달했다. 서비스 무역의 흑자를 감안해도 도미니카 연방의 무역역조는 상당히 심각하다. # #

3. 산업

전통적으로 사탕수수, 바나나, 코코넛을 비롯한 열대작물 농업과 섬의 삼림을 이용한 제재업에 의존해 왔다. 산간 지역이 험준한 자연환경 때문에 농경과 목축은 제한된 지역에서만 가능하며 열대작물을 제외한 나머지 농산물은 자급 목적으로 생산한다. 제조업은 현지 농산물 가공 위주로 농업의 파생 산업에 가깝다. 코코넛을 비누로 가공하는 산업이 수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외에 제당소와 의류 공장도 몇 군데 있다. 중국으로부터 얻어낸 원조로 한때 건설경기가 크게 일어난 바 있다.

1990년대 들어 관광산업과 금융업 같은 3차산업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 외에 시민권 판매로 얻는 수익 또한 국가재정에서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바나나 농업에 투자하는 한편 관광, 금융, 제조업 등 산업 다양화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그 일환으로 1998년 금융 비밀을 보장하고 익명 거래를 허용하는 관련 법률을 제정했다. 그러나 인건비 상승으로 바나나 농장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관광산업도 해수욕장과 같은 관광자원이 부족한데다 2009년 이후로는 관광객과 관광 수입이 지속적으로 줄어서[12]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자연재해

허리케인과 같은 자연재해가 빈발하는 카리브해에 있는데다 국토 크기도 작아서 열대성 재해가 한번 닥치면 국가적인 대재앙을 입는다. 1979년 8월 말 나라를 덮친 허리케인 데이비드는 이 작은 나라에 기록적인 인명피해[13]와 재산피해를 입혔다. 데이비드로 인해 농업과 어업의 생산수단이 거의 대부분 대부분 파괴되었고[14] 가옥의 80%가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었으며 주민의 75%가 노숙자로 전락했다. 설상가상으로 이듬해 여름 불어닥친 허리케인 알렌(Allen)도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국제사회는 농업 부문에 재정을 지원하여 경제 재건에 나서 1999년에 1978년 바나나 생산량을 회복하는데 성공했다.

2015년 8월 말에 닥친 열대성 폭우 에리카(Erika)도 30명의 사망자와 4억 8,280만 달러(2014년 GDP의 90%)의 재산피해를 입혔다. 2017년 9월에 닥친 허리케인 마리아(Maria)는 데이비드의 피해를 경신, 실종자 포함 65명의 사망자를 내고 섬의 농장을 모두 파괴했으며 2016년 GDP의 226%에 달하는 13억 7천만 달러의 재산피해를 입혔다.


[1] https://data.worldbank.org/country/dominica [2] https://data.worldbank.org/country/dominica [3]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MKTP.PP.CD?locations=DM [4] https://data.worldbank.org/country/dominica [5]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PP.CD?locations=DM [6] https://data.worldbank.org/country/dominica [7] https://data.worldbank.org/country/dominica [8] 2002~2008년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4.7%였는데 다른 후진국이나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9] 미국 독립전쟁에서 패배한 영국이 미국의 독립을 승인한 조약이다. [10] 야자열매의 속을 긁어내 말린 것. 기름을 짜는 데 쓴다. [11] CSO는 수입 후 재수출 상품(Re-exports)을 따로 집계한다. 중계 무역지로도 활용되는 도미니카 연방 특성상 수입 후 재수출이 총 수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12] 2009년 60만 8천명으로 최고치를 찍고 2019년 32만 2천명으로 주저앉았다. [13] 당시 인구가 7만 남짓한 이 나라에 사망자 56명, 부상자 180명이 발생했다. [14] 바나나 농장 전체, 코코넛 농장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어선 470척도 10여척만 남고 전부 침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