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 |||
전체 노선 목록 ・ 버스 회사 목록 ・ 요금 현황 ・ 폐선 목록 |
|
급행버스의 운행 모습. |
|
급행버스 노선도 |
1. 개요
대구광역시에서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법령상으로 좌석버스, 그 중에서 일반좌석버스로 분류된다.[1]2. 특성
2006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도시철도가 다니지 않는 외곽과 시내 중심부 혹은 다른 외곽을 빠르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고 100% 좌석형 차량으로 이루어져 있다.행선판, 노선도 등에 표시되는 고유 색상은 2011년도까지 컬러풀 대구 로고 색상 중 하나인 분홍색이었다가 도색 개정과 함께 빨간색으로 바뀌었다.
대구의 한쪽 끝에서 도심을 경유해서 반대쪽 끝을 지정된 정류장만 정차하며 나머지는 건너뛰는 방식으로 빠르게 연결하는 버스다.[2][3] 좌석 통합요금제로 좌석간선이 사라진 후 유일한 좌석버스로 한 노선 당 승차장은 20개 내외로 러시아워나 상습 정체구역이 아니라면 확실히 빨리 간다. 급행버스 정차 정류소만 승차가 가능하다. 2006년 급행버스 도입 때는 급행전용노선안내판을 따로 설치했으나, 일반 정류장보다 앞에 설치하는 바람에 급행버스가 정차하면 뒤로 일반버스가 줄줄이 기다리는 사태가 벌어져 결국 2009년경에 모두 철거되었다.
급행 노선이 늘어남에 따라 기존에 급행버스를 운행하지 않던 세운버스, 광남자동차, 신진자동차, 우진교통, 경북교통이 급행 노선을 가지게 된다. 이중 신진자동차와 우진교통은 기존 노선에 참가하는 방식으로 급행을 운행하게 되었다.[4][5]
급행 노선 같은 경우 급행9번, 9-1번 제외 전부 2개 이상의 운수회사가 공동배차한다.
도심을 가로지르는 급행1, 급행2, 급행3, 급행5, 급행6번은 대규모 도심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한시적으로 새벽까지 운행하며 그 횟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18년 12월 28일부터 30일까지는 도심 통과 시각이 0시 30분으로 연장되었으며 연말인 31일에는 무려 새벽 1시 30분까지 연장되었다.
3. 차종
차종은 고급차량[6]을 주로 투입하는 하는 부산과는 달리 여기는 고급차량이라고는 아예 없고 전차량 도시형버스 좌석형을 넣는다.[7] 리클라이닝은 지원되지 않지만 그래도 대부분 34석이라 좌석 간격은 넓은 편이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대우차도 34석으로 출고된다. 타 지역 전중비형 좌석차량이 대부분 38석인 걸 감안하면 좌석 간격이 넓은 편이다.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계열은 에어 서스펜션 옵션이 적용된 차량도 있다.신설된 후 18년동안 좌석버스라는 이유로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않았다. 저상좌석버스 모델이 없었기 때문이다. 대전 급행버스는 그냥 급행버스를 입석노선으로 지정해 저상버스를 투입했지만 이와 달리 대구시는 계속해서 좌석버스를 유지했다. 그러다 교통약자법 개정으로 고상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단종되자 문제가 생겼다. 유니버스 같은 고급좌석버스를 선택할 수도 있었지만, 저상화가 교통복지 차원에서 더 낫다고 판단한 대구시는 현대자동차에 좌석형 저상버스 제작을 의뢰했으며, 현대자동차에서도 대구 요청을 승락해 정식으로 시판하기 시작했다. 2024년 10월부터 시내좌석형 저상버스가 도입됐다. # 2024년 도입 예정 업체 및 대수는 동명교통, 영진교통 각 2대, 세운버스 1대다. 저상좌석 시제차량은 대구 업체를 돌며 순회전시를 하였다. 2024년 10월 24일부터 동명교통에서 전국 최초로 인도받아 급행3번에 투입되었다. 이후 영진교통도 일렉시티 좌석저상버스가 출고되어 곧 투입될 예정이다.
4. 연혁
- 2006년 2월 19일 : 급행1, 급행2, 급행3
- 2012년 10월 20일 : 급행4
- 2015년 8월 1일 : 급행5, 급행6, 급행7, 급행8
- 2022년 1월 22일 : 급행8-1
- 2023년 7월 1일 : 급행9, 급행9-1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도 급행 노선을 5개나 신설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2006년 개편 이후 급행노선 신설이 없다가 2012년 10월 20일 급행4번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급행 노선이 적은 관계로 좌석버스 신차의 경우 상당히 적은 편이다. 그런데 외곽지역이 점점 개발되면서 급행노선의 중요성이 커지자 도리어 일반버스 차량을 좌석버스로 개조하고 급행노선에 투입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2015년 개편으로 1개의 간선 노선이 급행으로 형간전환되고 3개의 신설노선이 생기면서 좌석버스의 비중이 지금보다 늘어났다. 이 중 급행7번과 급행8번은 일반좌석버스가 아닌 직행좌석버스로 개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가 무산되고 현재와 같이 되었다.
2006년 급행버스 최초 도입 때부터 2024년 현재까지 급행버스의 폐선 또는 형간전환 사례가 아예 없다.
2024년 2월, 시의회 의원이 범물~상인간 급행노선 신설을 촉구하였다. 만약, 2025년 개편 후 신설되면 급행10번이라는 노선으로 운행할 가능성이 높다.[8] #
5. 요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700, #006700 20%, #006700 80%, #006700);"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700><tablebgcolor=#006700> |
2024년 1월 기준[1]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지역 시내버스 요금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구분 | 현금[6] | 교통카드(선·후불)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급행|{{{#!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 일반 | 2,200원 | 1,950원 | |
청소년 | 1,300원 | 1,100원 | ||
어린이 | 800원 | 650원 | ||
노인[2] | 2,200원 | 0원[3]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순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59; font-size: 14px"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14px"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4px" [[군위군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187; font-size: 14px" [[틀:대구광역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1e2c; font-size: 14px" 경산 버스[4] 영천 버스[4] 고령· 성주· 칠곡 농어촌[5] |
일반 | 1,700원 | 1,500원 | |
청소년 | 1,000원 | 850원 | ||
어린이 | 500원 | 400원 | ||
노인[2] | 1,700원 | 0원[3] | ||
[1]
2024년
1월 13일부터 시행한 요금체계 [2] 노인 요금 적용 기준 나이는 2028년까지 매년 감소 (세부사항은 하단 참조) [3]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한 전용카드를 사용해야 무료 혜택 존재 [4] 경산시내버스는 지선 · 간선 · 순환을 모두 포함, 영천시내버스는 입석 · 좌석 요금이 동일 [5] 대구 도심구간 내에서만 한정(일부 달성군 구간 제외), 다른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와 환승할인 불가, 시계외요금적용, 노인 요금 無 [6] 일부 노선에 '현금 없는 버스' 시범 도입으로 해당 차량의 경우 현금 승차 불가 * 만 5세이하 영유아 3인까지 무료 운임 |
}}} }}}}}} |
간선버스, 순환버스, 지선버스와 달리 요금이 더 비싸며 다른 노선에서 내려 급행버스로 환승하면 추가 요금이 차감된다.[9] 그리고 일반 - 급행 - 급행 순으로 환승할 경우 첫 번째 급행버스 환승 시 400원이 차감되고, 두 번째 급행버스 환승 시 또 추가로 400원이 차감된다. 반면에 급행 - 급행 - 급행으로 환승할 경우 후행 급행버스들 탑승 시 추가요금이 차감되지 않는다.
2024년 1월 13일부터 요금이 인상되었다. 교통카드 이용 시 1,650원에서 1,950원으로 인상되었고 현금 이용 시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되었다. 이번 요금조정은 2016년 12월 이후 7년 만이다. #1 #2 #3
2024년 11월 1일 급행9번, 급행9-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현금 없는 버스를 시행한다.
6. 목록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d82026>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1[a]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1]
간선, 지선, 순환버스는 전부 일반버스이다.
[2]
다만
급행7번은 외곽 지역(
북구
동호동,
달서구
대곡동)을 도심 미경유로 빠르게 연결한다.
급행4번,
급행8-1번은 외곽 지역(
달성군)과 도시철도역인
설화명곡역(급행4번),
진천역(급행8-1번) 구간을 연결하고
급행9번,
급행9-1번은 외곽 지역(
군위군)과 도시철도역인
팔거역을 연결한다.
[3]
한 군데 예외가 있는데 바로
시지지구다. 이쪽은 시가지에서 상당히 떨어진 편이지만
2호선이 그 역할을 잘 해 주어서 급행버스가 없다.
[4]
이들이 새로 맡은 급행1, 3번은 각각 신흥버스, 동명교통 대신에 참여하는 것. 동명의 급행3번은 단독 배차였지만 공차거리를 줄이고자 참여한다.
[5]
참고로 2006년 개편 계획안에서는 당시 모든 회사가 가지고 있던 좌석버스 차량을 처리할 방법이 없자 급행노선에 한해 공동배차를 유지하는 방안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당시에는 좌석버스 출신 간선노선을 좌석 간선으로 구분하기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그런데 그 좌석 간선은 개편 후 8달만에 전부 일반 간선으로 변경된다.
[6]
유니버스, FX시리즈
[7]
과거
현대교통이 계열사인
경일교통 출신 BH115E 차량을 당시 대구 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까지 한 상태로 범물동 차고지에 대기시켜 놓았으나, 버스운영과에서 허용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다만 당시에는 현대교통이 급행 노선을 운행하고 있지 않아서라는 허용 불가 명분이 있긴 했다.
[8]
급행노선인 것으로 볼 때
앞산터널을 경유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이 구간을 통과하는 최초의 정규 시내버스 노선이 된다.
[9]
예를 들어 성인 1명이
간선버스
706번를 타고
중앙로역에서 급행버스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버스로 환승했을 경우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하지 않으나,
급행2번을 탔을 경우 추가 요금 400원이 차감되는 것이다. 물론
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당연히 환승혜택이 적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