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18-05-24 21:18:45

나무위키:연습장/편집지침/표제어

  • 요약:
  • 표제어 지침을 기본 지침과 세부 지침으로 나누었습니다.
  • 영어 단어의 표제어 선정 지침 변경
  • '현재 1.13문단: 서술우선 순위'는 '2문단: 문서 내 서술 및 표현'의 하위 문단으로 가야합니다.

1. 표제어에 관하여
1.1. 기본 지침
1.1.1. 용어의 정의1.1.2. 표제어의 서술 고정1.1.3. 표제어 기준1.1.4. 표제어 선정 및 변경1.1.5. 범용성과 보편성의 판단1.1.6. 외래어 표기법과 표제어 선정
1.2. 세부 지침
1.2.1. 정식 번역어1.2.2. 나라 문서의 표제어 기준1.2.3. 고생물의 표제어 기준1.2.4. 방언의 표제어 선정1.2.5. 영어 단어의 표제어 선정

1. 표제어에 관하여

  • 문서의 작성 시점이나 표제어의 변경 시점에 상관없이, 이 규정은 나무위키의 문서에 일괄 적용됩니다.
  • 이 지침은 소급 적용하지 않습니다.

1.1. 기본 지침

  • 세부 지침 중에서 적용할 수 있다면, 해당 지침을 우선적으로 적용합니다.

1.1.1. 용어의 정의

  • 이 지침에서 다루는 문서의 "표제어"는 문서의 제목에서 동음이의어 구분용 소괄호를 제외하고, 종속문서 표시를 위한 슬래시(/)를 띄어쓰기로 바꾼 것을 취급합니다.[1]
  • "기존 표제어"란 6개월 이상 유지되거나 토론으로 합의된 표제어를 말합니다. "신규 표제어"란 기존 표제어가 아닌 표제어를 말합니다.
  • "정식 발매 명칭"이란 1.2.1항의 "정식 번역어"와 대한민국에서 상품으로 유통되었던 것의 등록된 상품명으로, 한국에서의 상품명을 말합니다.
  • "정식 2차 창작"이란 원작자의 정식 라이센스를 받은 2차 창작을 말합니다.

1.1.2. 표제어의 서술 고정

  • 기존 표제어가 있을 경우 최근의 기존 표제어로 서술을 고정합니다.
  • 기존 표제어가 없을 경우 문서의 첫 표제어로 서술을 고정합니다.

1.1.3. 표제어 기준

  • 아래의 기준을 차례대로 적용합니다.
  • 공신력이 있는 기관이 정의한 명칭과 정식 발매 명칭
  • 범용성과 보편성
  • 아래의 기준에 해당하는 표제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사용하는 명칭이 다른 경우에 비전문가가 사용하는 용어
  • 표준국어대사전 또는 관련 유관 기관의 규정집 중 단어의 설명에 다른 단어와 같은 단어라는 설명만이 존재하고 독립된 설명이 존재하지 않는 명칭

1.1.4. 표제어 선정 및 변경

  • 어느 문서의 표제어가 신규 표제어인 경우 표제어 기준에 따라 결정합니다.
  • 어느 문서의 표제어가 기존 표제어인 경우 변경 측은 표제어를 변경하기 위해 다음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함을 입증해야 합니다.
    • 기존 표제어가 명백히 틀리거나 문서를 대표하지 못함.
    • 변경하려는 표제어가 기존 표제어에 비해 범용성이나 보편성이 더 높음.
    • 변경하려는 표제어가 기존 표제어보다 상위의 표제어 기준을 만족함.

1.1.5. 범용성과 보편성의 판단

  • 구글 검색 결과[2]는 범용성과 보편성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 결과 수가 1.5배 이상 차이나는 경우 더 높은 쪽을 범용성과 보편성이 있는 표제어로 취급합니다.
    • 이용자마다 구글 검색 결과 수가 다른 경우, 1.5배 이상 차이 나지 않는 결과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 그것을 우선합니다.
    • 중재자의 판단이나 관리자의 유권해석, 토론에 참여한 이용자들의 동의에 따라 검색 범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i.e. 매크로로 작성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특정 사이트의 포함/배제, 동음이의어 배제)

1.1.6. 외래어 표기법과 표제어 선정

  • 나무위키는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을 원칙적으로 준수하지 않으며[3] 추가 근거[4] 없이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만을 토론의 근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국립국어원 등의 각종 단체에서 수행한 언어 순화 운동의 결과는 다른 명확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그 자체만으로 표제어 변경 혹은 관련 토론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1.2. 세부 지침

  • 세부 지침은 기본 지침보다 우선적으로 적용합니다.
  • 이 지침 하위 문단 외의 편집지침 문서에서 지정하는 표제어 지침도 세부 지침으로 취급합니다.

1.2.1. 정식 번역어

  • 정식 번역어는 작품과 작품에 등장하는 요소에 적용됩니다.
  • 2차 창작에 등장하는 요소와 원작에 등장하는 요소를 설명하는 문서가 분리된 경우, 전자의 정식 번역어는 그 2차 창작의 번역으로 합니다.
  • 원작이 한국어로 정식 유통된 경우 정식 유통된 작품에서 쓰인 적이 있는 명칭을 정식 번역어로 합니다.
    • 단, 정식 유통된 작품에 쓰인 명칭에 오역이 존재하는 경우, 기본 지침에 따릅니다.
  • 원작에서 전작과 후속편의 번역이 다르다면, 가장 최신 작품의 번역을 따릅니다. 단, 번역이 변경된 것이 아닌 원작에서 두 개 이상의 번역이 공존하는 경우 다음을 따릅니다.
    • 제작사 및 유통사에서 이용하는 공식적인 번역 정책이 있다면 이를 따릅니다. 단, 제작사 및 유통사에서 공식적으로 예외적인 번역을 적용한다고 했을 경우, 예외적인 번역 적용 범위 내에서는 해당 번역을 따릅니다.
    • 공식적인 번역 정책이 없다면, 공식 번역에서 사용한 횟수[5]가 더 많은 번역을 따릅니다.
  • 원작이 정식 유통되지 않은 작품은 토론을 통해 정식 2차 창작의 발매명 중 하나로 결정합니다.
  • 저작권 소실 등을 이유로 공식적인 번역을 특정할 수 없다면 정식 번역어는 문서가 작성된 시점의 표제어로 합니다. 단, 그 표제어가 공신력이 있는 번역자의 것이어야 합니다. 토론을 거쳐 기존의 정식 번역어를 공신력, 범용성과 보편성이 더 높은 표현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1.2.2. 나라 문서의 표제어 기준

  • 이 규정은 유엔 가입국 및 참관국에 적용됩니다.
  • 표제어 기준 중 "공신력 있는 기관이 정한 명칭"은 한국어로 된 양자조약, 다자조약, 법령에 적힌 명칭 중 더 범용성, 보편성 있는 명칭으로 합니다.
  • 예외적으로, 북한 문서의 표제어는 "북한"으로 합니다.

1.2.3. 고생물의 표제어 기준

  • 이 규정은 고생물에 적용됩니다.
  • 표제어 기준 중 "공신력 있는 기관이 정한 명칭"은 대한민국 내부에서의 공식적인 일반 명칭으로 합니다.
    • 대한민국의 초중고 교과서에 언급된 명칭 (매머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간 명칭 (티라노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등)
    • 위 조항들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라틴어 표기를 기준으로 한 명칭
      • 대중 사이에 익숙하게 쓰이는 표기가 있더라도, 공식적인 것이 아닌 한 라틴어를 우선합니다. (풀모노스콜피우스 → 풀모노스코르피우스)

1.2.4. 방언의 표제어 선정

  • 이 규정은 방언에 적용됩니다.
  • 국내 방언의 경우 행정구역과 방언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에 방언 표제어에는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도(道)를 붙이지 않습니다.
  • 국내 방언의 경우 사투리보다 방언이 광의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에 방언/사투리 관련 문서의 표제어는 방언으로 표기합니다.
  • 해외 방언은 범용성, 보편성이 높은 쪽을 표제어로 합니다.

1.2.5. 영어 단어의 표제어 선정

  • 이 규정은 고유명사가 아닌 사전상의 영어 단어 표제어에 적용됩니다.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은어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표제어는 첫 글자가 대문자이고 이하가 소문자인[6] 라틴 문자로 쓴 것(이하 '라틴 문자 이름')과 한글로 음차한 것 중 가장 범용성과 보편성이 높은 것(이하 '한글 이름')의 두 가지를 사용합니다.
  •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경우, 또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의미에 대응되는 한자어와 고유어가 없을 경우, '한글 이름'을 본문으로, '라틴 문자 이름'은 리다이렉트 문서[7]로 해야 합니다.
    • 이외의 경우, '라틴 문자 이름'을 본문으로, '한글 이름'을 리다이렉트 문서로 해야 합니다.
  • 본문 또는 리다이렉트 문서가 다른 고유명사 문서와 충돌 시, 사회적으로 덜 저명한 쪽을 '표제어(표제어 특성)[8]로 옮겨야 합니다. 이때 동음이의어인 고유명사가 일반명사보다 더 저명하다고 주장하는 쪽에게 입증 책임이 있습니다.[9](6.1문단에 의해 이미 보장되는 지침)
  • 본문 또는 리다이렉트 문서가 동음이의어 문서와 충돌하고, 해당 동음이의어 문서의 모든 단락이 서술하고자 하는 표제어에서 유래했을 경우, 본문과 통합합니다.
  • 본문 또는 리다이렉트 문서가 이하의 경우, 동음이의어 문서로 치환합니다.
    • 영단어 외의 뜻이 있는 경우[10]
    • 복수의 영단어가 같은 외래어 표기를 공유하는 경우.[11]
    • 실제 인명, 지명, 그 외 사전에 별도의 가지 번호로 등재되어 있는 단어.


[1] 강서구(서울) 문서의 "강서구", 대한민국/역사는 "대한민국 역사" [2] 단, 이 때 완전일치 옵션으로 검색합니다. [3] 해당 표기를 대중들이 널리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합니다. [4] 민간에서 발간한 사전류의 표제어는 추가 근거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5] 작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6] 관용구는 구성 단어 첫 글자가 대문자이고 이하를 소문자로. [7] 이때 첫 글자가 대문자이고 이하가 소문자가 아닌 리다이렉트는 생성할 수 없습니다. [8] 리다이렉트 문서는 틀:다른 뜻을 사용합니다. [9] 달걀을 뜻하는 일반 명사 'Egg'와 이승환의 정규 음반(고유 명사)인 'Egg'가 충돌했을 때, 고유 명사인 이승환의 정규 음반으로서의 'Egg'가 더 저명하다고 주장하는 측에서 입증해야 합니다. [10] '에그'는 egg의 외래어 표기 외에, 「감탄사」안타깝거나 안쓰러운 일을 볼 때 내는 소리.라는 의미도 있으므로 동음이의어 문서여야 합니다. [11] 그리드는 Greed와 Grid의 공통된 외래어 표기이므로 리다이렉트가 아닌 동음이의어 문서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