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구 제1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민주정의당 61석
|
|||||||
이재형 | 진의종 |
|
왕상은 | |||||
유학성 | 이상재 | 서정화 | 박종문 | |||||
강경식 |
|
---- |
|
이용훈 | ||||
---- |
|
조일문 | 권중동 | 이성렬 | ||||
김현자 | 배성동 | 현홍주 | 이영욱 | |||||
---- |
|
조상현 | 김영정 | 안갑준 | ||||
---- |
|
조종호 | 이상희 | 류근환 | ||||
한양순 | 홍종욱 | 정창화 | 김종인 | |||||
김영구 | 최병렬 | 강용식 | 송용식 | |||||
지연태 | 임두빈 | 정현경 | 진치범 | |||||
최영덕 | 임영득 | 김집 | 지갑종 | |||||
최명헌 | ~~~~ |
|
조경목 | 김형효 | ||||
---- |
|
서정화 | 김두종 | 양경자 | ||||
---- |
|
~~~~ |
|
정휘동 | 김장숙 | |||
---- |
|
이철우 | 안영화 | 최상진 | ||||
이성호 | 이진 | 정호근 | 김중위 | |||||
박성태 | 김정균 | 김태수 | 홍희표 | |||||
김문기 | 정동윤 | 심국무 | 김종열 | |||||
신한민주당 17석
|
||||||||
신달수 | 임춘원 | 고한준 | 김형경 | |||||
정재문 | 한석봉 | 윤영탁 | 신병렬 | |||||
박종률 | 조영수 | 김병수 | 김동욱 | |||||
이길범 | 김용오 | 장충준 | 최훈 | |||||
신경설 | ||||||||
민주한국당 9석
|
||||||||
이태구 | 박해충 | 신재휴 | 손태곤 | |||||
정상구 | 최운지 | 신동준 | 황대봉 | |||||
송현섭 | ||||||||
한국국민당 5석
|
||||||||
---- |
|
정시봉 | 문병하 | 김규원 | ||||
최재구 | 조용직 | |||||||
◀
제11대
제13대 ▶
|
}}} }}}}}} |
- 金榮作
- 1941년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정치인. 국민대학교 교수 및 제1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호는 덕은(德隱)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본관은 김해이다.2. 상세
1941년 경기도 여주군 출생. 1959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외교학전공)에 입학하였다. 이듬해 발발한 4.19 혁명에 문리대 시위대의 일원으로서 참여하였다. 외교학과 졸업 후, 도일하여 도쿄대 법학정치학연구과 과정에 진학하여 정치학 박사과정을 밟았다. 박사과정 재학 당시 부친이 월북자였기 때문에 조총련 관계자가 이를 미끼로 이용하여 접촉, 니가타에서 밀선을 타고 청진에 밀입북하였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부친을 바로 만나게 해주지 않았고, 일본에 복귀한 뒤로는 이에 배신감을 느낀 그는 북한의 간첩 제의를 거절하였다. 구한말 한국 민족주의의 형성을 주제로 박사학위 취득 후 국제기독교대학의 사회학 전임 교수로 임용되었다.1972년 한국에 일시 귀국하였는데, 유학 시절 월북 사실이 발각되어 간첩혐의로 구속되었다. 무기징역형을 선고 받아 5년 간 수감되었으나, 일본 후쿠다 다케오 총리의 부탁이 간접적인 계기가 되어 석방되었다.[1] 이후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고, 1980년 전두환이 집권하면서 사면복권되었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여당인 민주정의당의 이념실장을 맡았다.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었는데, 1년 후 사퇴하여 국민대로 복직하였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정계 은퇴 후에는 일본학 전문가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현대일본학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근대 한일관계 형성을 연구하는 한편, 한국과 일본 간 학술 교류의 활성화에도 힘썼다.
[1]
김영작의 회고에 따르면, 재일한국인인 그의 처남이 당시 후쿠다 수상의 주치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