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 위키러 가이들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김성모 화백이 유행시킨 한국어 문체로, 묻는 말이 아닌 말 끝에 마침표 대신 물음표를 붙이는 어체다.처음에는 김성모의 작품에서 약간씩 나왔던 말투다. 단순히 부호를 잘못 쓴 것 같지만, 나중에 디시인사이드 김성모 갤러리에서 '근성체'라는 하나의 어체로 확립해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져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근성체를 쓰게 되었다.
근성체와 상반되는 것은 의문문에다가 물음표가 아닌 마침표나 느낌표를 넣는 것이다.
2. 어원
김성모 화백이 자주 주장하는 "근성이 최고다?"라는 발언으로 인해 김성모체는 근성체로 변형되었다. 가끔 김성모 화백도 근성모로 부르기도 하며 김성모 갤러리는 근성갤로 불리고 있다.작가의 말로는 군대식 말투라고. ?를 붙여서 묻는 것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 실체는 답정너라는 게 딱 군대식이다.
고전 시가의 "-ㄴ다"는 의문형 어미였다.(2인칭 청자에게 질문을 할 때 쓰였다.)[1] 그리고 정지용 시인도 ' 장수산1'이라는 작품에서 근성체를 쓴다.
달도 보름을 기달려 흰 뜻은 한밤 이 골을 걸음이랸다? 웃절 중이 6판에 6번 지고 웃고 올라간 뒤 조찰히 늙은 사나이의 남긴 내음새를 줍는다?[2]
3. 사용법
|
근성갤 문서나 김성모/작품 및 유행어 문서를 참고하면 더 이해하기 쉽다.
4. 기타
호주 영어는 끝을 올려서 근성체를 쓰는 것처럼 들린다.발터(파이어 엠블렘 성마의 광석)은 근성체를 사용한다.
유희왕 태그 포스 4에 나오는 몇몇 엑스트라도 근성체를 사용한다.
아이돌 마스터 ~디어리 스타즈~의 미즈타니 에리도 말꼬리를 의문형으로 사용한다.
2016년 2월 21일에는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자막에도 나왔다. 범아빠 이범수의 파트에서 나왔다.
눈물을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비형 스라블의 말꼬리는 전부 의문형이기에 근성체로 간주할 수 없다.
도국작가의 하리랑 에그타르트에 등장하는 병원의사, 아미타불은 명백한 근성체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나, 단지 말 끝에 '다'를 붙이는 것 뿐이다. 하지만 근성체를 가끔 쓰는 것 같다.
삼국지 10의 주창도 근성체를 쓴다.
애니메이션 세토의 신부의 샤크 후지시로도 근성체를 쓴다.
오오카미 씨 시리즈의 오토기 은행장인 키리키 리스트도 근성체를 쓴다.
애니메이션 로젠메이든에서 카나리아는 근성체를 쓴다.
#와갤과 일리단도 근성체를 사용한다.
근성체가 충만한 책 목차의 제목 내용이 전부 근성체로 되어 있다.
근성이 충만한 드래곤볼이다? 김화백의 유행어가 정리되어 있는 만화이다.
원펀맨에 나오는 괴인 중 하나인 심해왕도 쓰는 것 같다.
인피니트 스트라토스의 IS 학원의 검도부 주장도 근성체를 쓴다.
한때 웹 사이트 회원가입에 대한 asp 소스의 약관 부분에 누군가가 근성체를 집어넣은 소위 ' 빅장 약관'이 퍼져서 많은 사이트에서 약관에 "뼈와 살이 분리됩니다?"라는 말이 나와서 뉴스에도 크게 나왔다. 이것은 웹마스터마저도 사이트의 약관을 확인하지 않는다는 증거다. 관련기사다.
윈도우 8 | 윈도우 10 | 윈도우 11 |
그리고 Java Update 사용 가?라는 것도 있다. 주로 학교 컴퓨터에서 자주 보인다. 정황상 문자 깨짐으로 추정된다.
기자도 근성체를 사용하고 있다. #
나는 가수다 '그것만이 내 세상 MR' 가사도 근성체를 사용하고 있다.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소기이타 군하가 즐겨 쓴다.
네이버 웹소설 납치 감금에서 시작되는 우리들의 사바트의 캐릭터 중 하나인 부회장도 근성체를 쓴다.
스레더즈의 에러쨩도 근성체를 사용한다.
스레딕의 난장판에서 근성이들이 이 말투를 사용한다.
스컬걸즈에 나오는 판처파우스트도 근성체를 쓴다.
래퍼 UNEDUCATED KID가 119 REMIX에서 근성체를 사용해 랩을 했다.
5. 관련 문서
[1]
홍길동전에서는 "네 무삼 흥(興)이 있어 야심(夜深)하도록 잠을 자지 아니하는다?”라는 표현이 나온다
[2]
본문 중 발췌다. 다만 정지용의 장수산1은 예스러운 어체가 특징이므로 고전시가와 마찬가지로 -ㄴ다가 의문형으로 쓰인 것으로 보는 것이 맞다.
[3]
고스트와 비슷한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