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종종 볍씨(=씻나락[1])에서 싹이 트지 않을 때 사람들이 " 귀신이 까먹었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 또 다른 설은 경상도 지방에서 귀신은 제사상이 허술하면 고픈 배를 움켜쥐고 광에 가서 씻나락을 까먹는다고 한다. 원래 제사를 지낼 때에는 절을 올리고 난 후 조상님이 식사를 하실 동안 툇마루를 완전히 물러나서 제사 지내는 사람들이 광이나 창고 같은 데 갔다가 오는데, 광까지 쫓아와서 씻나락을 까먹는 상황인 것이다.제삿날은 그야말로 1년내내 배고픈 귀신입장에서는 진수성찬이 눈앞에 펼쳐진 자리인데, 그걸 마다하고 영양가없는 씻나락을 까먹을 정도면 얼마나 어이없는 상황이냐고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하고 있네"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쉽게 말하자면 "말도 안 되는 소리", "엉뚱한 소리", 라는 뜻으로 쓰인다. 즉 개 풀 뜯어 먹는 소리와 같은 용법으로 쓰인다는 말이다. 의미에 상관없이 어감 때문에 그렇게 들리는 면이 꽤 큰 듯.
맞춤법상으로는 고유어 + 고유어 구성이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간 "씻나락[씬나락]"이 맞지만 "씨나락"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1 대 100에서 이 문제가 등장한 적이 있는데, 다수가 함정인 씨나락을 골라 48명 중 7명만 생존했다.
유튜버 진용진이 무슨 소리인지 알아냈다. 영상 개 풀 뜯어 먹는 소리는 덤.
2. 파생형
"XXX OO하는 소리" 꼴로 무한으로 다른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말이다.바리에이션으로 ' 피콜로 더듬이 빠는 소리', ' 개 풀 뜯어 먹는 소리', ' 김밥 옆구리 터지는 소리', ' 이대호 도루하는 소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각자의 취향에 따라 1, 2 온갖 비유가 나오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비슷한 표현으로 '가을 뻐꾸기 같은 소리'란 말도 있다. 뻐꾸기는 여름 철새이므로 가을에는 남방으로 이주한다. 따라서 가을에 뻐꾸기가 울 리는 없으므로 말이 안 되는 소리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