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05 15:38:04

교관선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백병 <colbgcolor=#4a2d5b> 도검 환두대도, 장도
장창, 기창, 요구창
둔기 철퇴
발사
무기
궁(弓) 각궁
노(弩) 쇠뇌( 천보노)
방어구 갑(甲)/ 군복 판갑( 종장판갑, 방형판갑, 장방판갑, 삼각판갑, 횡장판갑), 찰갑( 괘갑)
주(冑) 종장판투구, 비늘투구, 차양투구, 충각부주, 이형주, 금동장투구
부속 갑옷 어깨가리개, 치마갑옷, 목가리개, 팔보호대, 허벅지보호대, 정강이보호대
방패 신라 방패
군마 마갑
군장 동개, 활집
육상병기 마름쇠
전선(戰船) 교관선, 신라선 }}}}}}}}}


1. 개요2. 일반적인 학설
2.1. 정크선 절충형설2.2. 기존의 보통 한선과 큰 차이가 없다는 설2.3. 중국 정크선과 동일하다는 설
3. 여담

1. 개요

파일:attachment/교관선/ship.jpg
드라마 해신에서 사용한 신라 배들의 모습. * 현재는 해신 촬영 세트장에서 보관중.
제조업체 홈페이지 링크

교관선(交關船)이란 8~9세기 신라인들이 해상활동을 하는 데 사용했던 배를 말한다.[1] 이 시기 대표적 해상세력을 장보고의 이름을 따 장보고 무역선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배가 없고, 그 구조에 대한 기록도 장보고 무역선에 대해 모든 부분이 세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게 아니라 같은 기록을 놓고도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며, 동시에 어느 한쪽의 주장도 일방적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여기서는 현재 학계에 존재하는 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본 기록에는 신라 배, 즉 신라선(新羅船)이라는 이름으로 자주 등장한다. 일본 측 역사서 속일본후기에는 840년 9월에 쓰시마 섬의 관리가 "공물과 공문서를 실은 배가 자주 바람과 파도에 표류하는데, 신라 배는 능히 파도를 헤치고 갈 수 있다고 하니 바라건대 신라 배 6척 중에서 1척을 나누어 주십시오”라고 다자이후에 요청한 기록, 그리고 838년 견당사 사절단이 당나라에서 일본으로 돌아갈 때 자신들이 타고 간 배를 버리고 신라선 9척을 고용해 귀국하는 등 9세기 신라 배는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었다.

2. 일반적인 학설

2.1. 정크선 절충형설

파일:신라 교관선.png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0901403_STD.jpg
절충설을 따른 장보고기념관의 장보고선 모형. * 첨원저형 구조설을 채택하고 있다.
파일:/pds/200901/15/84/a0101184_496e3345ce554.jpg
* 호미곶 등대박물관에 전시된 모형. 반평저 구조.

장보고가 젊은 시절 당나라에서 사는 동안 중국 정크선의 조선기술을 받아들여 이를 절충한 배를 사용했다는 주장. 가장 일반적으로 퍼져 있는 설이지만, 정크선 중에서도 어떤 형태의 정크선에 가까운지에 대한 용어 정리도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어느 정도 정리되었을 정도로 세부적으로는 아직 논란이 많다. 설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평저구조인 한선과 달리 정크선처럼 첨저에 가까운 형태로 외양항해에 유리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완전 첨저형인지, 아니면 U자형의 완만한 형태(첨원저형)인지, 단순히 첨저에 가까운 평저(반평저)인지는 아직 논란이 분분하며, 현재는 암초가 많은 한반도 연근해에도 정박해야 하다보니 아무래도 반평저일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는 설이 힘을 얻고 있다. 또한 고려시대 한선인 봉래고선의 발굴과 문헌의 재연구로 한선의 외양항해가 가능하다는 설이 힘을 얻으면서 다른 방향에서의 논의도 활발하다.
  • 중간에 가로활대를 넣은 러그 셰일(즉 정크 셰일)을 사용하고, 다수의 돛대를 설치해 역풍항해가 가능했을 것이다. 이 부분은 아래에서 살펴보겠지만 반론이 있다.
  • 선체의 지지구조는 중국식으로 격벽을 사용했을 것이다. 봉래고선의 발굴로 격벽구조 설이 힘을 얻었지만, 중국식으로 용골/늑골도 같이 사용되었을지는 근거 부족으로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2.2. 기존의 보통 한선과 큰 차이가 없다는 설

해당 주장에 기초한 복원모형. 출처는 한선항목과 동일.
이 설은 의외로 초기부터 존재했지만, 이전에는 일반적인 평저 구조의 한선은 외양 항해능력이 전무하다는 설이 일반적이라서 그다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설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현존하는 선박 유물 중 장보고가 활동하던 시대/위치와 가장 가까운 시대의 고선박 유물인 완도선의 구조가 전형적인 한선 구조를 하고 있다. 중국 조선기술의 도입 흔적이 없다.
  • 옌닌의 일기에서 신라선과 당선을 분명하게 구분하고, 신라선의 구조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옌닌의 묘사에 따르면 돛은 하나뿐이고, 단순한 포범(사각돛)이다. 실제로 일기에서 거친 풍랑을 만났을 때의 기록을 보면 역풍항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
  • 최근 평저 구조의 외양 항해용 한선인 봉래고선의 발굴과 고문헌의 재연구를 통해 한선이 기존 학설과 달리 평저 구조로도 외양 항해 능력이 첨저선만큼은 아니어도 충분히 항해가 가능했다는 설이 대두되었다.

2.3. 중국 정크선과 동일하다는 설

말 그대로 정크선을 그대로 사용했다는 설. 약간의 변형으로 정크선이 암초가 많은 한국지형에 맞지 않으니, 평저 구조의 정크선을 사용했다는 설이 있다. 초기부터 추측에 많이 기반한데다 민족감정 문제로 많은 반론이 있었고, 지금은 지속적인 반론에 대한 근거를 거의 대지 못해 사실상 사장된 설이다.

3. 여담

현재의 장보고 무역선 복원 모형이나 해신 세트용 장보고선을 보면 옆구리에 대나무 다발을 주렁주렁 매달고 다니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이는 사실 정확한 고증이 아니라, 고려도경에 중국 객주기록 중에 파도막이 용으로 배 옆에 대나무 다발을 묶어 걸어둔다는 데서 착안한 것으로, 어느 정도 추측에 기반한 것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다른 재래식 배의 경우에도 파도를 막기 위해 구조물을 추가 설치하는 경우가 있어 가능성은 충분하다.

모 연구자의 경우 장보고 함대가 세계 최초로 나침반을 항해시 사용해 정확한 항해가 가능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근거가 부족해 이 설은 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옌닌의 일기에 기록된 장보고 함대의 항해기록에서 나침반에 대한 기록이 없고, 중국에 도착하기 전 풍랑을 만난 이후 항로를 벗어나면서 함대가 갈라져 서로 상당히 먼 거리를 두고 다른 지역에 도착했는데 나침반을 사용했다면 이렇게까지 되었겠냐는 반론이 있어 학계 전체의 공감을 받지는 못하고 있다.[2]


[1] 웹상에는 자료에 따라 교과선으로 된 것도 있으나, 정작 본문에는 교관선으로 나온다. 일단 이 항목은 교관선, 교과선, 장보고 무역선의 세 검색어 모두로 들어올 수 있다. [2] 여담으로 이를 비판한 연구자는 자신의 저술과 논문에서 '제멋대로 논리를 전개하는 돈키호테식 논리다' 식으로 극단적인 공격까지 가한 적도 있다. 심지어 학회 발표 당시에도 이런 공격을 그대로 해서 당시 분위기가 얼어붙어 버렸다. 그렇다고 나침반 사용설을 주장한 학자가 까방권이 있나고 하면 그것도 아닌 게, 주장에서 근거 부족과 비약이 심하다는 사실이 부정된 것도 아닌데다 거북선과 관련된 다른 저서에서 안 그래도 한국에서 민감한 주제인 지역감정을 제대로 불러일으키는 내용을 상당량 실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