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6:31:35

계양구 갑

계양 갑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계양구/정치
,
,
,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연수 갑
배준영 허종식 윤상현 박찬대
연수 을 남동 갑 남동 을 부평 갑
정일영 맹성규 이훈기 노종면
부평 을 계양 갑 계양 을 서 갑
박선원 유동수 이재명 김교흥
서 을 서 병
이용우 모경종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계양구 갑
효성동, 계산1동, 계산3동, 작전동
桂陽區 甲
Gyeyang A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계양구 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20,600명 (2024)
상위 행정구역 인천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계양구 일부
효성1동, 효성2동, 계산1동, 계산3동, 작전1동, 작전2동
신설년도 2004년
이전 선거구 계양구
국회의원
유동수

[clearfix]

1. 개요

과거 단일 선거구였던 계양구는 17대 총선때 분구되어 갑/을로 나누어졌다. 계양구의 서남부 지역으로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 중 한 곳이다.

이 지역은 2004년 분구 이래 민주당계 정당 후보만 줄곧 당선된 지역이다. 범진보 후보의 표가 분산되는 바람에 보수정당이 딱 한 차례 당선됐던 을 선거구와는 차이가 있다.[1]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유동수 의원이다.

2. 선거구 조정의 역사

계양구 갑(개편 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갑(개편 후, 22대 국회의원 선거)
<nopad> 파일:국회선거구 계양구 갑(2020).svg <nopad> 파일:국회선거구 계양구 갑.svg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선거구
제16대 송영길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계양구
제17대 신학용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계양구 갑
제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유동수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
2024년 5월 30일 ~

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계양구
계양구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상수(安相洙) 48,953 2위

44.41% 낙선
2 송영길(宋永吉) 53,292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34% 당선
3 조봉래(趙奉來) 4,953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49% 낙선
4 이병현(李炳賢) 3,031 4위


[[민주국민당(2000년)|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
2.74% 낙선
선거인 수 215,120 투표율
51.7%
투표 수 111,212
무효표 수 983
이후 이 둘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인천광역시장을 놓고 또 붙었고, 이번에도 송영길이 이기게 된다.

3.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갑
효성1동, 효성2동,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해수(金海修) 23,318 2위


33.39% 낙선
2 박상희(朴相熙) 8,051 3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53% 낙선
3 신학용(辛鶴用) 35,693 1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51.11% 당선
4 김유동(金裕東) 1,736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49% 낙선
5 류태선(柳泰善) 1,032 5위


1.48% 낙선
선거인 수 122,035 투표율
57.77%
투표 수 70,500
무효표 수 670

3.3.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갑
효성1동, 효성2동,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학용(辛鶴用) 24,516 1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44.57% 당선
2 김해수(金海修) 23,823 2위


43.31% 낙선
3 김유동(金裕東) 3,021 3위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5.49% 낙선
4 한정애(韓貞愛) 2,825 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4% 낙선
6 왕계순(王季順) 820 5위


[[평화통일가정당|
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1.49% 낙선
선거인 수 127,026 투표율
43.55%
투표 수 55,324
무효표 수 319

3.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갑
효성1동, 효성2동,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갑진(趙甲鎭) 23,192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5.88% 낙선
2 신학용(辛鶴用) 39,752 1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61.50% 당선
6 박선희(朴善姬) 1,691 3위


2.91% 낙선
선거인 수 129,551 투표율
50.24%
투표 수 65,092
무효표 수 457

3.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갑
효성1동, 효성2동,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오성규(吳成圭) 26,218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6.68% 낙선
2 유동수(柳東秀) 31,080 1위

43.48% 당선
3 이수봉(李守峯) 14,176 3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83% 낙선
선거인 수 128,572 투표율
56.32%
투표 수 72,417
무효표 수 943
||<-9><tablealign=center><bgcolor=#004ea2><tablebordercolor=#004ea2> 20대 총선 인천 계양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오성규 유동수 이수봉
득표수
(득표율)
26,218
(36.68%)
31,080
(43.48%)
14,176
(19.83%)
-4,862
(▼6.75)
72,417
(56.32%)
효성1동 38.25% 42.78% 18.97% ▼4.53 55.89
효성2동 38.76% 42.15% 19.09% ▼3.39 53.34
작전1동 34.94% 44.45% 20.61% ▼9.51 53.98
작전2동 36.69% 42.63% 20.68% ▼5.94 52.84
작전서운동 35.30% 44.93% 19.77% ▼9.63 55.55
후보 오성규 유동수 이수봉 격차
거소·선상투표 49.09% 32.73% 18.18% △16.36
관외사전투표 34.90% 44.43% 20.67% ▼9.53
재외투표 31.47% 55.24% 13.29% ▼23.77
현역 신학용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때 안철수를 따라서 국민의당으로 갔는데 뇌물수수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어 공천 배제되었고 대신 이수봉 후보가 공천을 받았다.

한편, 신학용 의원 때문에 억울하게 의석을 잃은 더불어민주당에선 유동수 후보가 출마했다.

그리고 새누리당에선 계양구청장 선거에 두 차례 도전했다가 낙선한 오성규가 출마했다. 개표 결과 유동수 후보가 43.48%를 득표해 당선되었다. 또한 거소·선상투표를 제외하고 모두 승리했다.

3.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갑
효성1동, 효성2동,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유동수(柳東秀) 44,469 1위

60.48% 당선
2 이중재(李重宰) 26,890 2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36.57% 낙선
7 박장백(朴張白) 525 4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71% 낙선
8 김수임(金琇任) 1,63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22% 낙선
선거인 수 118,127 투표율
62.93%
투표 수 74,341
무효표 수 823
||<-8><tablealign=center><bgcolor=#004ea2><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 21대 총선 인천 계양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유동수 이중재
득표수
(득표율)
44,469
(60.48%)
26,890
(36.57%)
+17,579
(△23.91)
74,341
(62.93%)
효성1동 58.88% 37.93% △20.95 62.12
효성2동 58.59% 38.43% △20.16 59.60
작전1동 59.84% 37.42% △22.42 60.50
작전2동 58.10% 38.89% △19.21 58.46
작전서운동 62.11% 35.53% △26.58 61.06
후보 유동수 이중재 격차
거소·선상투표 56.02% 34.34% △21.72
관외사전투표 68.07% 28.28% △39.79
재외투표 85.14% 14.86% △70.28
현역인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이 공천을 신청하고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3월 1일, 민주당이 유동수를 공천하며 재선 도전이 확정되었다. #

한편 미래통합당에서는 인천시장 출신인 안상수 의원이 험지 출마를 이유로 이 지역구 출마를 선언했다가 동구·미추홀구 을에 공천을 받게 되었다. 그 대신 3월 5일, 이중재 전 인천지검 부장검사를 공천했다. # 그 외 국가혁명배당금당에서 박장백 누릉천 대표의 공천을 확정했고 김수임 효성요양병원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개표 결과 예상대로 유동수 의원이 60.48%를 득표해 재선에 성공했다. 애초에 이중재 전 부장검사는 이곳에 출마를 할 계획이 없었는데 갑자기 공천되었기에 이에 대한 반감이 컸고 계양구의 민주당 지지세 또한 인천에서 가장 강한 지역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3.7.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계양구 갑
효성1동, 효성2동, 계산1동, 계산3동, 작전1동, 작전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유동수(柳東秀) 45,823 1위

58.29% 당선
2 최원식(崔元植) 32,780 2위


41.70% 낙선
선거인 수 120,600 투표율
65.96%
투표 수 79,547
무효표 수 944
||<-8><tablealign=center><bg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52484> 22대 총선 인천 계양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유동수 최원식
득표수
(득표율)
45,823
(58.29%)
32,780
(41.70%)
+13,043
(△16.59)
79,547
(65.96%)
효성1동 58.65% 41.34% △17.31 65.29
효성2동 57.50% 42.49% △15.01 61.75
계산1동 52.66% 47.33% △5.33 61.06
계산3동 57.71% 42.28% △15.43 67.22
작전1동 58.20% 41.79% △16.51 63.58
작전2동 57.48% 42.51% △14.97 63.08
후보 유동수 최원식 격차
거소·선상투표 54.31% 45.68% △8.63
관외사전투표 65.60% 34.39% △31.21
재외투표 81.17% 18.82% △62.3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colbgcolor=#eee,#353535> 후보 유동수 최원식 격차
전체 53.7% 46.3% 7.4%p
계양구 갑 지역 인구가 하한선 밑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경계 조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에 따라 작전·서운동이 계양구 을로 변경되었고 계산1동, 계산3동이 계양구 갑으로 변경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유동수 의원이 3선 도전에 나섰고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이병학 당협위원장, 이수봉 민생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안상수 인천광역시장도 이 지역에 공천을 신청했다. 그러나 계양구 을에서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최원식 변호사가 전략 공천되었다.

방송 3사 출구조사에서 7.4%p 차의 경합지역으로 분류되었던 것과는 달리 개표 결과 민주당 유동수 의원이 58.2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기존 작전·서운동을 내주고 새롭게 선거구에 추가된 계산1동, 계산3동에서도 수월하게 최원식 전 의원을 꺾었다.

최원식 전 의원은 옆 지역구에서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력이 있다 보니 이번에 을에서 갑으로 넘어온 계산1동에서 최고 득표율(47.33%)을 올렸지만 전체 판세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1] 이 지역 국회의원이던 송영길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출마로 인해 2010년 재보궐선거가 열렸는데 이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와 민주노동당 후보의 표가 갈리면서 이상권 당시 한나라당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