冪 덮을 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冖,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ベキ
|
||||||
일본어 훈독
|
おお-う
|
||||||
幂
|
|||||||
표준 중국어
|
m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冪은 '덮을 멱'이라는 한자로, '덮다', ' 거듭제곱'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덮다 |
음 | 멱 | |
중국어 | 표준어 | mì |
광동어 | mik6 | |
객가어 | met, mi̍t | |
민북어 | mŏ̤ | |
민동어 | mĭk | |
민남어 | be̍k | |
오어 | miq (T5) | |
일본어 | 음독 | ベキ |
훈독 | おお-う | |
베트남어 | mịch |
자원이 상당히 복잡한 글자다. 이 글자의 본자는 冖(덮을 멱)으로, 무언가를 덮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후 뜻을 나타내는 巾(수건 건)에 소리를 나타내는 冥(어두울 명)이 합쳐진 형성자, 즉 幎의 형태가 등장한다. 幎은 혹은 幂의 형태로도 썼는데, 이 과정에서 冥의 아랫부분에 해당하는 六(여섯 륙) 자가 大(큰 대)처럼 변하였다. 이 사이에 艸(풀 초)가 끼어들어가, 최종적으로 冖이 뜻을 나타내고 幕(장막 막)이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처럼 변해 버린 것이 현재의 冪이다.
원래는 '덮다'의 뜻을 나타내었으나, 지금은 이러한 뜻으로 거의 안 쓰이고, 대신 수학에서 ' 거듭제곱'과 같이 '거듭'에 관련된 뜻을 나타낼 때 쓰인다. ex) 멱영원( 환에서, 거듭 곱하여 0이 되게 하는 영원), 멱함수(거듭제곱 함수) 등.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 蓋(덮을 개)
- 敦(도타울 돈, 다스릴 퇴, 제기 대, 모일 단, 아로새길 조, 덮을 도)
- 冖(덮을 멱)
- 覆(다시 복, 덮을 부)
- 庇(덮을 비)
- 襾(덮을 아)
- 弇(덮을 엄)
- 蔽(덮을 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