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7 20:12:02

분선충

Strongyloides stercoralis에서 넘어옴
분선충
糞線蟲 / threadworm
파일:분선충프로필.jpg
학명 Strongyloides stercoralis
Bavay, 1876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선형동물문(Nematoda)
크로마도레아강(Chromadorea)
간선충목(Rhabditida)
분선충과(Strongylidae)
분선충속(Strongyloides)
분선충(S. stercoralis)

1. 개요2. 형태3. 생활사4. 역학5. 병리 및 증상6. 진단7. 치료 및 예방

[clearfix]

1. 개요

분선충(, threadworm[1])은 선충(nematode)의 일종이며, 인체에 감염되는 주요 기생충 중 하나이다.

2. 형태

파일:분선충충란.jpg
분선충 충란과 성체의 형태
긴 줄 모양이며 성체의 경우 수컷은 1mm, 암컷은 그 2배가 넘는 2~2.5mm까지 성장한다. 선충류 중에서는 크기가 작은 편이다. 두께는 45~70마이크로미터 내외이며, 성장한 성체는 분명한 식도(rhabditiform esophgus)를 가진다. 흙 속에 존재할 때(자유생활세대)의 충란은 rhabditoid form(rhabditiform) larvae이며, 인체에 감염된 후(기생생활세대)의 충란은 filarifrom larvae이다. 이 중 filarifrom larvae만 다른 숙주를 감염시키는 게 가능한 충란이며, 이 충란의 길이는 500~600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끝의 뾰족한 톱니 모양 꼬리(notched tail)가 특징적이다.

3. 생활사

파일:분선충생활사.jpg
분선충의 생활사
생활사가 비교적 복잡한 편인데, 흙이나 변 속에 있을 때의 자유생활(free-living) 세대와 체내에 감염되어 병원성을 드러내는 기생생활(parasitic) 세대로 나뉜다. 자유생활 세대에서는 rhabditiform larvae 상태의 충란으로 존재하던 분선충 충란은 filariform larvae로 발달한 뒤, 크게 두 가지 경로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피부를 통해 감염되는 경피감염(percutaneous infection)으로, 이 경우 피부를 뚫고 들어와 감염을 일으킨다. 다른 방법은 자기가 자란 숙주로 다시 침입하는 자가감염(autoinfection)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런 자가감염은 항문 주변 피부나 장점막을 뚫으면서 발생하며, 자가감염이 계속 일어날 경우 아예 분선충증이 만성으로 발병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선충의 자가감염으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이나 베트남 전쟁의 참전 군인들이 전쟁 당시에 감염된지도 모르고 있다가 몇십 년이 지난 뒤에야 감염 사실을 알게 되는 사례들도 보고된 바 있다. 논문 1 논문 2

4. 역학

기후가 어느 정도 온난한 곳에서는 전세계적으로 퍼져 있기는 하나 위생이 갖추어지고 국민적으로 기생충 박멸이 이루어진 선진국들에선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처음 감염 사례가 보고된 곳도 19세기 인도차이나 반도였으며 이곳에서 지금도 비교적 유행하고 있다.

5. 병리 및 증상

분선충증(strongyloidiasis)의 원인 병원체이나, 감염되었다고 하더라도 대개는 무증상이다.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경피감염을 일으켜 피부에 감염된 분선충은 가려움증과 발진(rash)을 일으킨다.
  • 분선충이 자가감염을 통해 소화계통 쪽으로 침입하여 장점막을 뚫게 되면 연충설사( 연충성 이질, helminthic dysentery)를 일으켜 복통, 설사, 변비, 구토 등을 유발한다. 장폐색을 일으키면 배에 복수와 부종이 차게 할 수 있다.
  • 간혹 분선충이 로 이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폐렴의 원인이 되어 기침 가래를 일으키기도 한다.
  • 기생충 감염으로 인하여 기생충을 주로 잡는 호산구가 혈중에서 증가하는 호산구 증가증(eosinophilia) 역시 나타난다.
  • 후천성면역결핍증과 같은 면역계 관련 질환을 앓고 있거나 장기이식 부작용 억제를 위해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경우, 혹은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면역계가 억제된 상태의 환자에서는 파종성 분선충증(disseminated strongyloidiasis; hyperinfection synd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온몸의 장기 전반에 분선충 성체가 퍼지게 되어 거의 100% 발병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

6. 진단

충란으로 지내는 기간이 짧아 충란을 진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유충이 있는지를 대변검사나 객담검사 등을 통해 진단해야 한다.

7. 치료 및 예방

이버멕틴(ivermectin),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메벤다졸(mebendazole), 알벤다졸(albendazole) 등 다양한 구충제가 분선충 사멸에 효과가 있다.

변을 통한 자가감염을 막기 위해 용변을 본 뒤에 손을 씻는 등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요충을 threadworm이라고 하기도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