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fece7><tablebgcolor=#efece7>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NA | ||
2013 스프링 | 서머 |
2014 스프링 | 서머 |
2015 스프링 | 서머 |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락 인 | 스프링 | MSS | 서머 | 챔피언십 |
|
2022 락 인 | 스프링 | 서머 | 챔피언십 |
2023 스프링 | 서머 | 챔피언십 |
2024 스프링 | 서머 | 챔피언십 |
역대 League Championship Series NA 일람 | ||||
Counter Logic Gaming | → | Team SoloMid | → | Team Liquid |
LCS NA Spring 2016 | LCS NA Summer 2016 | LCS NA Spring 2017 |
|
<colbgcolor=#1371b7><colcolor=#fff>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6 | |||||
대회 기간 | 2016년 6월 3일 ~ 8월 28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경기장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Riot Games Esports Studio[1] |
||||
일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1371b7><colcolor=#fff> 정규시즌 | 1라운드 | |||
6월 3일 ~ 7월 2일 | |||||
2라운드 | |||||
7월 2일 ~ 7월 31일 | |||||
포스트시즌 | 6강 | ||||
8월 13일 ~ 8월 14일 | |||||
4강 | |||||
8월 20일 ~ 8월 21일 | |||||
3/4위전 | |||||
8월 27일 | |||||
결승전 | |||||
8월 28일 | |||||
결승전 | 대진 | ||||
C9 vs TSM | |||||
경기장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스코티아뱅크 아레나 |
결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1371b7><colcolor=#fff> 우승 | Team SoloMid | |||
준우승 | Cloud9 | ||||
MVP | 정규시즌 | ||||
쇠렌 비에르 (TSM Bjergsen) | |||||
파이널 | |||||
데니스 욘센 (TSM Svenskeren) | |||||
All-LCS 1st Team |
TOP | ||||
케빈 야넬 (TSM Hauntzer) | |||||
JGL | |||||
김의진 (IMT Reignover) | |||||
MID | |||||
쇠렌 비에르 (TSM Bjergsen) | |||||
BOT | |||||
피터 펭 (TSM Doublelift) | |||||
SPT | |||||
빈센트 왕 (TSM Biofrost) |
[clearfix]
1. 개요
2016년 6월 3일에 개막한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서머 시즌에 관한 문서이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371b7> |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6 참가팀 |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6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연속 | 비고 | |
1 | TSM | 17 | 1 | 35-6 | 3승 | 우승 | |
2 | IMT | 16 | 2 | 33-10 | 1승 | ||
3 | C9 | 12 | 6 | 28-16 | 4승 | 준우승 | |
4 | CLG | 10 | 8 | 25-21 | 1패 | ||
5 | TL | 9 | 9 | 22-21 | 2패 | ||
6 | NV | 8 | 10 | 17-25 | 1승 | vs. APX 우세 | |
7 | APX | 8 | 10 | 21-25 | 2승 | vs. NV 열세 | |
8 | P1 | 5 | 13 | 15-31 | 1패 | 잔류 | |
9 | NRG | 4 | 14 | 14-29 | 4패 | 강등 | |
10 | FOX | 1 | 17 | 8-34 | 17패 | 잔류 | |
초록색: 4강 진출 | 연두색: 6강 진출 | 노란색: LCS NA 잔류 주황색: 승강전 패자조 | 빨간색: 승강전 승자조 | 볼드체: 순위 확정 |
3.2.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1371b7>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6 플레이오프 대진표 |
6강 | 4강 | 결승 (8/28) | ||||||
Match 1 (8/13)
|
Match 3 (8/20)
|
→ | 1 | |||||
3 | 2 | |||||||
1 | → | 3 | ↗ | 3 | ||||
Match 2 (8/14)
|
Match 4 (8/21)
|
3/4위전 (8/27)
|
||||||
3 | 3 | ↘ | 3 | |||||
1 | → | 0 | → | 2 |
3.3. 승강전
자세한 내용은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pring 2017/승강전 문서 참고하십시오.4. 시즌 총평
MSI 준우승에 도취되기보다는 추가적인 발전을 이룩한 시즌. 특히 CLG와 TSM이 출전해 개그를 보여준 IEM 월챔과 비교하면 놀랄 정도로 상위권 팀들의 운영능력이 향상되었다. 롤챔스의 운영을 따라잡으려면 아직도 갈길이 남았지만, EDG 빼면 운영을 할 의지가 보이지 않는 LPL이나 고질적인 후반 뒷심 부족이 발목을 잡던 LMS 그리고 프나틱 오리젠의 붕괴 이후 그냥 와일드카드와 운영능력이 비교당하던 EU와 비교하면 분명 가장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TSM은 옐로우스타를 내보내고 개인기량과 운영의 조화를 이루어냈다는 평가를 받으며 중국의 EDG와 함께 한국 팀들의 경계대상 1호가 되었다. 그 아래의 팀들도 운영으로 승부를 보는 CLG와 개인기량과 속도전을 앞세운 IMT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다소 어중간했던 C9 등이 치열하게 경쟁했다. 하위권의 북미잼도 과거에 아니 스프링 시즌까지 보여주던 상식 이하의 던지기 배틀보다는 따지긴 따지는데 정확히 못따지는 쫄보에 가깝게 변했다.다만 아쉬운 점도 명확했는데 용병의 덕을 본만큼 개인기량 면에서 용병에 의존하는 바가 이전보다도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LPL을 EPL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레딧에서는 정작 롤의 종주국(...) NA를 EPL로 비유하는 경우가 많다. LPL 역시 한국용병들이 황소개구리 노릇을 한다는 평가가 많았는데 북미가 더 심했다. 다른 포지션은 사정이 좀 낫지만 제일 심각했던 포지션이 바로 미드라이너. LPL도 샤오후, 웨이리스(갓브이), 시예, 아이콘을 제외하면 토종 미드라이너들이 경쟁력을 상실하고 말았는데 NA LCS는 더 심해서 포벨터를 제외하면 아예 북미서버 태생의 미드라이너가 전멸했다. 더 문제는 비역슨, 옌센 정도는 월클이고 또다른 덴마크인인 프로겐도 영고라인으로 평가받았지만 대다수의 한국인 미드라이너들이 각자 뭔가 조금씩 스크래치가 가있는 상황에서 이를 제친 토종 미드가 없었다는 것이다. 적어도 중국은 굵직한 우승컵을 들어본 폰, 루키, 다데, 이지훈이나 특급 중의 특급 유망주로 평가받았던 스카웃과 아테나, 역시 롤챔스에서 제법 보여준 것이 있는 중고신인 탱크 등 한국에서 알짜만 쏙쏙 빼갔다. LPL의 4중국인들은 이들을 상대로 각자의 난점을 드러냈지만[2] 강력한 메카닉을 보여준 반면 북미는 마지막 보루 포벨터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