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17-10-30 19:59:08

NL(장르)

동인계 커플링 장르 구분
BL GL NL
HL

1. 개요2. 용어에 대한 논란과 HL3. 동인계에서의 수요

1. 개요

Normal Love의 약자로, 남자와 여자 즉 이성간의 사랑을 다룬 장르를 뜻한다. 사실 이성간의 사랑은 그냥 평범하게 로맨스라고 표현해도 상관 없기 때문에[1], NL이라는 표현은 대게 BL(Boys Love, 남자 동성애) 및 GL(Girls Love, 여자 동성애)와 구분하기 위해 동인 2차 창작 계열에서 자주 쓰인다.

남성 여성의 사랑을 다룬 창작물 전반을 노멀로 일컬으나, 남성향 에로게, 능욕 계열, 근친물, 패륜 등의 창작물은 NL에 포함되는지에 관해 논란이 있다. 다만 BL이나 GL이 아님을 강조할 때 NL이라는 단어를 쓰기는 한다. 점차 이성애이지만 일반적으로 '노멀'하다고 인식되지 않는 커플링도 NL에 포함시키는 추세라 배경적 특징 등에 관계없이 남녀 커플링 전반을 일컫는 단어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 동인계에서는 NL을 즐기는 팬층을 'NL러(노말러)'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용어에 대한 논란과 HL

NL을 대체하는 용어로 HL(Hetero Love)라는 말이 있다.

Normal Love라는 단어 자체는 일본 동인층에서 만들어진 재플리시로 한국 동인계에서도 일본의 영향을 받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영어로는 '평범한 사랑'이라는 뜻으로, 이성애 연애를 뜻하는 단어는 아니다. 여기에 normal에는 '정상적인'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이성애만을 '정상적인 사랑'으로 부르는 것과 간접적으로 동성간의 사랑은 '비정상적인 사랑'으로 취급되는 의미를 내포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시되면서 동인계 내부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성간의 사랑은 '이성애'를 뜻하는 Hetero 에서 따온 HL로 불러야한다는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다.

다만 HL이라는 표기에 대해서도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있다. Hetero 라는 말은 '이성애자'라는 뜻인데, 가령 양성애자인 남자와 여자 둘이 사귄다고 하면 이것을 헤테로 러브라고 부르는 것은 부적절할지도 모른다. 마찬가지로 무성애자 역시 플라토닉 러브라면 사랑은 할 수 있고, 성별 관계없이 사랑할 수 있는 범성애자도 존재한다.

'BL'과 'GL'은 '게이 러브'와 '레즈비언 러브'가 아닌[2] 'Boys Love' 및 'Girls Love' 라는 뜻이기에 BL과 GL은 '성적 지향'이 아닌 '성적 젠더 정체성'에서 따와 지어진 네임이다. 만약 '게이 러브' 혹은 '레즈비언 러브'라는 용어였다면 똑같은 문제가 발생했겠지만 BL, GL이라는 표기이기 때문에 주인공 중 한명이 양성애자, 범성애자라 하더라도 BL이나 GL이라고 부른다 하더라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HL의 경우는 Hetero 라는 성적 지향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따온 용어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이며 성적지향과 관계없이 '남녀간의 관계' 자체만을 뜻하는 영단어가 사실상 존재하지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BGL 이나 GBL로는 안되는걸까나

또한 NL이란 단어 자체가 문제가 없다는 견해도 있다. Normal 이라는 단어가 담고있는 것은 '정상적인' 이라는 뜻도 있지만 '보통의'라는 말 뜻도 담고있다. '노멀하지 않다'라는건 '비정상'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평범하지 않다'라고도 해석할 수도 있다. 가령 아례의 3가지 예시를 들어보자면
  • 아인슈타인의 지능은 분명히 '평범'하지 않다. 즉 아인슈타인은 Non-Normal 한 사람이다. 이 경우에서 쓰인 '노멀하지 않다(= 평범하지 않다)'는 특별한(special) 것을 뜻하며 칭찬에 가까운 의미이다.
  • 장애인은 '평범'하지 않기에 Non-Normal 하다. 이 경우에 쓰인 노멀하지 않다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과는 '다르다'(different)'는 뜻 이며 노멀하지 않다고 하는 것이 특별히 칭찬도 악담도 아니다.
  • 소아성애자는 비 정상적인 Non-Normal 이다. 여기서 쓰인 '노멀하지 않다'는 '비 정상적이다'라는 의미를 내포한 확실히 악담이다.

즉 '노멀하지 않다'라는 것은 '비 정상적이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어떻게 쓰였냐에 따라 '평범하지 않다' 정도의 의미로도 볼 수 있고 이것은 어느 경우에는 칭찬일 수도 어느 경우에는 특별히 칭찬도 악담도 아닐 수도 있다. 성 소수자에게 쓰이는 '평범하지 않다'는 장애인의 예시로든 different에 해당하며 특별히 칭찬도 악담도 아닌 경우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Normal 이라는 말이,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비정상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건 아니다. 이를테면 정규분포(정상분포)는 영어로 표기하면 normal distribution인데 그렇다면 나머지 분포는 전부 비정상인 이상한 분포라는 뜻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정상과학(normal science)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 단어가 의미하는 것이 나머지 과학들은 모두 비정상이라는 의미가 절대 아닌 것처럼 말이다. 즉, normal이란 말이 꼭 비정상이고 이상한 것의 대칭점으로서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라는 것이다. 애초부터 재플리시인 normal love라는 단어의 normal 만 보고 가치판단을 지나치게 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사실 단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여 해석할 것 이라면 애초부터 BL 이나 GL의 경우도 잘못됬다고 볼 수 있다. 단어 자체에 소년(Boy)과 소녀(Girl)라는 말을 포함하고 있으니, 최소 중년 이상 나이대의 인물이 주인공일 경우에는 엄밀히 말해선 해당사항이 안된다. 하지만 주인공의 나이가 중년이든 노년이든(…) BL 이나 GL 이라는 표기는 그대로 사용된다. 만약 단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여 해석해야 한다면 애초부터 BL, GL 역시 각각 ML(Man Love / Male Love) 그리고 WL(Woman Love) 혹은 FL(Female Love) 로 바꿔야 맞는 셈이다.

또한 짝사랑 혹은 강간등의 소재로 둘 중 한쪽은 동성애자지만 한쪽은 이성애자인 소재의 작품도 많지만 이 경우들 역시 특별히 별다른 구분 없이 BL 혹은 GL이라는 표기를 잘만 쓰고있다. 애시당초 강간, 성폭행의 경우는 Love 라는 말 자체가부터 틀려먹었는데도 그런 장르에는 BL, GL이라는 표기를 사용해선 안된다는 움직임은 크게 없었으며 따라서 단어의 의미에 집착하는 논쟁이라면 애초부터 BL이나 GL을 뜯어고쳐야 형평성에 맞지 않냐는 견해도 있다.

최근에는 아예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남녀 커플링'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으며 역으로 '그런식으로 따지면 BL이나 GL, 기타 동인 용어들도 다 정치적 공정성과 형평성에 맞게 고쳐야 하는거 아닌가?' 라고 의문을 제기하는 축들도 있다. 이때문에 극소수이긴 하지만 BL, GL, NL(혹은 HL) 대신 단순하게 남성을 뜻하는 M(ale)과 여성을 뜻하는 F(emale)을 따서 MM(남남), FF(여여), MF 혹은 FM[3](남여/여남) 으로 표기하는 동인들도 존재한다.

애초에 normal 이라는 단어의 뜻만 보고 가치판단을 하는것 부터가 어불성설이다. 성애를 뜻하는 단어들이 역설적인 경우는 원래부터 많았기 때문이다. gay는 '즐거운'이라는 뜻이고 Queer는 '이상한'이란 뜻이다. 즉 단어의 원초적인 의미 자체에 집착하는 논리대로라면 성 소수자를 Queer 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호모포빅이라는 논지에 가깝다. 이성애자를 부를때 쓰는 용어인 스트레잇(straight) 역시 똑바른 이라는 긍정적인 뜻인데 성 소수자들 역시 자신들을 퀴어라고 부르는데 거부감이 없고 이성애자들을 스트레잇 이라고 부르는데 거부감이 없다는 점에서 단어의 원초적인 의미에 집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3. 동인계에서의 수요

BL 계열 창작에 비해 팬덤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지며[4] 특히 NL에만 올인하는 순수 NL러의 비율은 순수 BL러에 비해서 매우 낮은 편이다. 어쩌다 존잘 BL러 동인작가가 고퀄리티 NL 동인지를 그리더라도 한 번 낸 후 다시는 그 커플링을 그리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동인지 등의 동인 활동에서 NL 계열 존잘러 및 2차 창작이 덜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 그래서 BL를 좋아하는 사람들 중에서 곁다리로 NL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은 편. 팬덤의 활동이 훨씬 가라앉아 있다 보니 같은 취향을 공유하는 사람을 찾기가 보다 어렵기 때문에 단합이 보다 잘 되는 경향을 보이며 병크가 터지는 일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그러나 이따금 NL만을 지향하는 팬과 BL만을 지향하는 팬 간에 싸움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은 서로 관심 없다. 리버스, 타커플 문제로 자기들끼리 싸우면 싸웠지

다만 NL와 BL 계열 2차 창작물의 비율은 작품마다 차이를 보이며, 남캐와 여캐의 비중이 균등한 경우[5]에는 NL이 BL보다 더 메이저한 경우도 존재한다. < 디지몬 프론티어>를 제외한 < 디지몬 시리즈>와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2차 창작 팬덤이 대표적인 예시. 커플링 관련 논쟁은 리버스 분쟁보다는 누가 누구와 이어지는가에 관한 분쟁이 보다 화제가 되는 편이다.

만약 마이너 장르이거나 그럭저럭 인지도가 있는 작품의 캐릭터이거나 별 개성이나 비중이 없는 여캐 관련 커플을 민다면, 아니면 커플 분위기가 맛깔스럽다기보다 어딘가 정석적이고 두 남녀의 남캐쪽의 BL이나 여캐쪽의 GL이 압도적로 더 지지받는 중이라면 그림 관련 사이트에서 검색했을때 썩 만족스럽지 못한 작품만 조금 있는것을 보고 실망할 확률이 높다.


[1] 물론 일각에서는 애초부터 로맨스란 말 자체가 이성간의 사랑으로만으로 해석되고 남성간의 사랑은 브로맨스라는 별개의 단어로 떨어져나오는 경향 자체가 잘못되었다며, 이성간의 사랑이든 동성간의 사랑이든 상관없이 모두 로맨스로 해석해도 무리는 없다는 견해도 있다. [2] 여담이지만 우스개소리로 BL: Boys Love / GL: Gay Love / HL: Homo Love / NL: Namja Love 라는 드립이 있다(…) [3] 동인계에선 대체로 왼쪽을 공 오른쪽을 수라고 두기 때문에 FM의 경우 여공남수 [4] 코믹월드의 여성향 BL 동인지와 NL 동인지의 비율을 비교해 보면 BL 동인지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더 높다. [5] 여성향 동인계에서는 한 작품에 남캐가 많으면 BL이 흥하고, 여캐가 많으면 GL이 흥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