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6:35:13

몬스터 근무일지

Monsters At Work에서 넘어옴
파일:monsters_logo.png
<rowcolor=#137AC9> 오리지날 프리퀄 시퀄
몬스터 주식회사
(2001)
몬스터 대학교
(2013)
몬스터 근무일지
(2021)
<colbgcolor=#ffffff,#000><colcolor=#137AC9> Disney+ [[디즈니+/오리지널 시리즈 목록|{{{#137AC9 오리지널}}}]]
몬스터 근무일지 (2021)
Monsters at Work
파일:436805346_441477958393819_2591524558949307189_n.jpg
북미 포스터 ▼
파일:430862676_798687762301706_1350332746517347203_n.jpg
장르 가족, 코미디, 애니메이션
방송 기간
시즌 1

파일:미국 국기.svg 2021년 7월 7일 ~ 9월 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12일, 2021년 11월 26일
시즌 2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4월 5일 ~ 5월 4일 (디즈니채널)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5월 5일 (디즈니+)
방송 횟수
시즌 1
10부작
시즌 2
10부작
제작사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1]


<colbgcolor=#ffffff,#000><colcolor=#137AC9> 제작 숀 루리, 페렐 배런
연출 케이틀린 리터, 셰인 잘빈
극본 밥스 개너웨이, 바트 제넷, 리키 록스버그, 미셸 스프리츠, 에번 고어, 헤더 롬바르드, 이선 샌들러
음악 도미닉 루이스
출연 존 굿맨, 빌리 크리스탈, 벤 펠드만
독점 스트리밍
[[디즈니+|
Disney+
]]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
3.1. 시즌 13.2. 시즌 2
4. 시놉시스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5.2. MIFT(Monsters, Incorporated Facilities Team/몬스터 주식회사 시설팀/몬주시)5.3. 몬스터 주식회사 직원5.4. 공포 회사5.5. 기타
6. 에피소드 목록
6.1. 시즌 16.2. 시즌 2
7. 평가8. 기타

[clearfix]

1. 개요

2021년 7월 디즈니+ 오리지널로 공개된 몬스터 주식회사의 스핀오프 시리즈이다. 몬스터 주식회사 이후의 시점을 다루며 몬스터 주식회사 내부의 시설팀이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주인공 타일러가 뛰어난 겁주기 선수로 입사하자마자 회사의 생산 에너지가 웃음 에너지로 변경되어 일어나는 헤프닝에서 시작한다.

시즌 2는 디즈니채널에서 먼저 선공개되었다.

2. 포스터

파일:monsters at work poster.jpg
파일:430862676_798687762301706_1350332746517347203_n.jpg
시즌 1 포스터 시즌 2 포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국내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몬스터 근무일지.jpg
파일:436805346_441477958393819_2591524558949307189_n.jpg
시즌 1 포스터 시즌 2 포스터 }}}}}}}}}

3. 예고편

3.1. 시즌 1

스니크 픽
공식 예고편

3.2. 시즌 2

시즌 2 발표[2]
공식 예고편

4. 시놉시스

몬스터 대학교를 수석 졸업한 타일러. 몬스터 주식회사는 이런 그의 재능을 인정해 평소 타일러가 꿈꾸던 겁주기 선수로 선발한다. 하지만 처음 출근하는 날, 회사에선 더 이상 겁주기 선수가 필요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제 그들이 원하는 건 웃기기 선수였던 것. 타일러는 사태가 정리될 동안 당분간 시설팀에서 일하게 된다. 갑작스러운 변화에 타일러의 계획이 다 꼬여버렸지만, 이제 타일러에겐 웃기기 선수가 되겠다는 새로운 목표가 생긴다!

몬스터계의 일류 회사 몬스터 주식회사가 웃음 에너지를 이용하기로 방침을 바꾸며 몬스터 세계에서도 웃음을 주는 몬스터가 인기가 많다!

몬스터 대학교 수석 졸업생인 주인공 타일러는 희망사항이던 겁주기 몬스터로 선발되지만... 하필이면 워터누즈 몰락 이후 새로운 사장이 된 설리, 마이크가 웃기기 선수를 뽑기로 방침을 통보하며 자연스럽게 시설팀으로 당분간 지내게 되었다.
하지만 타일러는 이를 기회 삼아서 웃음 선수라는 새 목표를 얻는데...

5. 등장인물

몬스터 주식회사, 몬스터 대학교의 등장인물에는 기존의 성우들이 돌아왔다. 시즌2는 자막으로만 나오고 더빙판이 안 나왔다.[3]

5.1. 주요 인물

5.2. MIFT(Monsters, Incorporated Facilities Team/몬스터 주식회사 시설팀/몬주시)

  • 발 리틀 - 민디 케일링/ 장미
    활발하고 발랄한 성격이며 큰 다리, 왜소한 팔을 지닌 깜찍한 여성 괴물.[6] 타일러와 대학 동기로, 그에게 친근감을 표시하지만 실제로는 딱 한번 같은 강의를 들었던 게 다여서 정작 타일러는 발을 알아보지 못했다. 이후엔 대학교를 중퇴하고 여러 일자리를 전전하다가 몬스터 주식회사에 입사했다. MIFT로서의 실력은 상당히 준수한 듯하다.
  • 프리츠 - 헨리 윙클러/ 위훈
    외눈박이에 푸짐한 체형을 지닌 남성 괴물로, MIFT의 리더이자 최연장자. 매우 친절하고 넉살 좋은 성격을 지녔다. 코끼리 또는 맥을 연상시키는 길고 굵은 코가 특징. 평소에는 그냥 이상한 얼빠진 괴물같지만 리더답게 문제상황이 생겼을 때 팀원들에게 침착하게 지시를 내리는 등 통솔력이 좋으며 실력도 뛰어나다.[7]
  • 덩컨 P. 앤더슨 - 루카스 네프/ 심규혁
    능글맞고 야비한 성격의 녹색 괴물로, 눈알 네 개가 달팽이처럼 위로 솟아있는 것과 작은 날개가 달렸다는 것이 특징. 성별은 남성이며 프리츠를 해임시켜 자신이 MIFT의 리더이자 감독이 되는 야망을 가진 교묘하고 못된 인물이지만 완벽한 악역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랜달 보그스처럼 완전히 사악한 유형은 아니다. 타일러에게 상당히 불친절한 편. 하지만 당연히 디즈니 특유 권선징악 사상을 철저히 적용받는 인물로, 괜히 수를 쓸 때마다 엄청나게 구른다는 것이 작품의 묘미 중 하나이다. 다른 이들이 자신에게 친절하면 당황하거나 퉁명스레 구는 츤데레 기질도 보인다. 여러모로 마냥 미워하기는 힘든 괴물.
  • 캐서린 "커터" 스턴스 - 얼라나 우바크/ 전숙경
    눈이 세 개 달림과 동시에 청록색, 파란색의 그라데이션 몸을 지닌 여성 집게 괴물. 전남편이 여럿 있다는 묘사를 보아 프리츠 다음으로 나이가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심한 듯 장난스러운 성격이며 목소리나 여유, 짬밥 등을 종합해 보았을 때 적어도 중년은 넘어갈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타 멤버들에 비해 구르는 빈도가 가장 적은 편이다.
  • 윈체스터(바나나 브레드) - 디 브래들리 베이커
    위쪽에 입이 달리고 아래에 신호등처럼 눈이 세로로 3개 달린 초록색 괴물. 원래는 MIFT의 일원이었으나 코미디 강의에서 흥미로운 견해를 제시해 타일러가 그토록 가고 싶어했던 웃기기 층에 먼저 배정되어 MIFT를 나간다.
  • 데이비드 - 카를로스 알라스라키[8]/ 홍범기
    MIFT의 전 직원. 온몸이 붉은 털북숭이 괴물로 현 시점에는 고인이다. 작중에서 4년 전 그의 털이 문 분쇄기에 말려들어가는 바람에 끔찍한 최후를 맞았으며, 그 사건 이후 해당 구역은 폐쇄되었고 매년 그의 기일에 MIFT 직원들은 제사를 치러준다. 시신이 갈려 나간 상태였고 털만 건져내서 유리병에 고이 모셔둔 상태다.
  • 로저 로저스
    시즌2의 뉴페이스. 눈이 5개 달린 초록색 괴물로, 타일러 터스크먼 후임으로 들어왔다.

    • 시즌2 8화에서 로저 로저스는 가명이었다는 게 밝혀지고 본명은 헨리 워터누즈 4세, 구속된 워터누즈아들이다.[9] 그러나 워터누즈랑 다르게 착한 인물이며, 몬스터 주식회사에서 사보타주를 벌인 건 다른 누군가였다.[10] 타일러가 조니의 음모를 알아채고 몬주시로 돌아오자 타일러를 쿨하게 용서하며 자신을 로저 그대로 불러달라고 한다.

5.3. 몬스터 주식회사 직원

5.4. 공포 회사

  • 조니 워딩턴 3세
    전작 몬스터 대학교의 으르렁 히어로 팀 부장이자 비명 회사 사장. 대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가업으로 아버지 조니 워딩턴 2세의 대를 이어 사장이 되었다.[12] 그리크 위원회의 회장이었던 클레어와 결혼해 딸, 아들 하나 낳고 잘 살고 있다. 몬스터 대학교 동문회에서 역대 겁주기 선수로 타일러를 처음 만났고 타일러가 크립 쇼에서 공포 에너지 시범 기계를 박살내자 흥미를 갖고 그를 스카웃하려 한다. 이전과는 달리 배 나온 아저씨가 되었으며 가정을 이루면서 성격도 왕재수였던 대학생 때에 비해 다소 유해졌는지 과거 앙숙이었던 마이크, 설리 콤비와도 인터뷰 때 벌어졌던 무례에 대해 유감을 표하고 친선 소프트볼 경기에도 정중히 임하는 등 같은 사장으로서 원만하게 지내는 듯 보였다.

    하지만 괴물은 고쳐 쓰는 게 아니라고, 이 작품에서도 메인 빌런으로 등장하며 스포일러를 비명 회사로 영입해 타일러한테 있는, 없는 죄 다 뒤집어씌워 그가 몬스터 주식회사에서 퇴직하게 만들었다. 게다가 그의 계획은 겉으로는 비명증폭기라는 가짜 기계를 만들어 뒤에서 몬스터 주식회사에서 훔쳐온 웃음 에너지와 비명 에너지를 섞어 비명 에너지를 강화시킨다는 정신나간 계획이었다.[13] 마지막엔 비명증폭기가 웃음 에너지를 훔쳐서 쓴 사기라는 것이 발각되고 체포되어 워터누즈 사장과 함께 감옥신세가 된다.[14][15]
  • 쳇 알렉산더
    전 으르렁 히어로 팀 부원 및 현 조니 워딩턴의 비서. 그때나 지금이나 조니의 충실한 따까리 노릇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시즌 2 10화에서 자신을 오줌싸개라고 놀린 랜달을 콘센트에 꼽아버려 전기 통구이로 만들어버리고 조니 웨딩턴의 사기극이 드러나 체포될 때 로즈와 같은 MERC의 일원임이 밝혀졌으며 여태까지 조니의 비서 위장취업했다는 게 드러났다.[16]
  • 클레어 워딩턴
    전 그리크 위원회 회장 및 조니의 아내. 조니와 결혼해서 자기 닮은 딸 로렐라이, 조니를 닮은 아들 J.J.를 낳아 잘 지내고 있다. 작중 묘사를 보아 본인은 조니가 사장이 되면서 새사람이 됐을 거라 생각했을 것이고 아무리 악인인 조니라도 자기 가족한테는 따뜻한 인물이었던 것 같지만 조니가 시즌2 10화에서 체포된 이후로 집안이 풍비박산이 났을 것이다.
  • 조이
    타일러가 오기 전까지 겁주기 선수 1등이었던 단발머리 형태의 물갈퀴가 달린 뱀 형태의 괴물.
  • 스카일러
    거대한 상체에 콩알만한 하체를 가진 괴물. 타일러 대타로 들어왔으나 그냥 덩치 큰 바보였다. 시즌2 10화 시점에서 몬스터 주식회사로 이직한다.
  • 촘피
    타일러의 일일 비서로 일한 난쟁이 괴물. 털복숭이에 입만 있는 모습이라 사나워 보였으나 타일러와 발이 벤을 웃기는 걸 보고는 눈물을 흘리며 감동한다. 공포 회사가 몰락한 후 몬스터 주식회사로 이직해 스카일러의 파트너가 된다.
  • 데클런
    수염만 제외하면 덩컨과 판박이인 괴물. 시즌2 10화에서 이 점을 이용해 덩컨한테 수염을 그려 위장시켰다가 덩컨과 한판 붙는다.
  • 로지
    과거 타일러 터스크먼의 친구. 대학 졸업 후 웃기기 선수에 지원했으나 적성에 맞지 않아 비명 회사의 겁주기 선수로 이직했다. 시즌 2 9화에서 타일러가 입사한 시점에선 빡빡한 점심시간을 지키지 못해 해고되었다.[17]
  • 스포일러

5.5. 기타

  • 예티 - 존 라첸버거/ 이광수
  • 밀리 터스크먼 - 아이샤 타일러/ 조경이
  • 버나드 터스크먼 - 존 라첸버거/ 홍범기
  • 아구스 블링크스 - 존 마이클 히긴스/ 사성웅
  • 탈리아 플린트 - 헤들리 개너웨이
    플린트의 딸.
  • 잭 , 질
    "아이 스크림, 유 스크림" 뉴스의 몸 구조가 캣독처럼 되어있는 2인조 앵커 지네 괴물. 파란 머리 남성쪽이 잭, 노랑머리 여성쪽이 질이다. 파란 머리는 가발. 한 몸인 것도 서러운데 서로 성향도 반대라서 잭은 웃음 에너지 파지만 질은 공포 에너지 파다. 특히 질은 설리번과 조니와의 인터뷰에서 설리번이 현재 구속된 워터누즈 사장을 한 때 롤모델로 삼았다거나 대학에서 쫒겨난 과거 이야기를 하는 무례를 범하고 난장판이 된 몬스터 주식회사를 생방송에 그대로 내보내 편파보도를 하면서 마이크 & 설리번 콤비를 완전히 몰락시키는데 일조한 기레기. 마지막에 조니의 사기 행각이 드러나 공포 회사가 몰락하고 다시 웃음 에너지 체제로 돌아오자 질은 잭을 따라 웃음 에너지 파로 돌아서게 되었다.

  • 타일러가 웃기기 선수로 배정된 인간 남자아이. 타일러의 도넛 농담이 재미없다고 하는 바람에 타일러가 웃기기 선수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기 시작한다.
    타일러가 비명 회사로 이직한 뒤 겁주기 선수로서 다시 이 아이를 맡게 되었다. 예전에 도넛 농담이 재미없다고 한 걸 사과했으나 타일러는 주위 몬스터들의 압박에 벤을 겁주고 만다.[18]
    조니의 사기극이 드러난 이후, 발이 타일러와 함께 찾아와 둘이서 타일러가 겁을 준 걸 사과하고 둘이서 벤을 웃게 만들며 꼭 안아준다. 이 장면을 잭과 질의 카메라맨이 생방송으로 송출한다. 모든 사태가 끝난 후, 몬스터 주식회사의 첫 공식 웃기기 듀오[19]가 된 타일러와 발이 다시 벤을 찾아간다.[20]

6. 에피소드 목록

6.1. 시즌 1

<rowcolor=#137AC9> 회차 제목 연출 각본 방영일
1 몬스터 주식회사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Welcome to Monsters, Incorporated
케이틀린 리터 밥스 개너웨이 2021년 7월 7일
2 시설팀을 소개합니다
Meet Mift
셰인 잘빈 바트 제넷
3 훼손된 방
The Damaged Room
밥스 개너웨이, 에반 고어, 헤더 롬바드 2021년 7월 14일
4 빅 와조스키
The Big Wazowskis
케이틀린 리터 밥스 개너웨이 2021년 7월 21일
5 몬스터시 정전 은폐 사건
The Cover Up
셰인 잘빈 리키 록스버그, 밥스 개너웨이 2021년 7월 28일
6 자판기 은퇴 소동
The Vending Machine
케이틀린 리터 미셸 스프리츠, 밥스 개너웨이 2021년 8월 4일
7 사랑스러운 귀환
Adorable Returns
셰인 잘빈 밥스 개너웨이, 이선 샌들러 2021년 8월 11일
8 미니 몬스터의 날
Little Monsters
리키 록스버그, 밥스 개너웨이 2021년 8월 18일
9 운수 없는 날
Bad Hair Day
케이틀린 리터 미셸 스프리츠, 밥스 개너웨이 2021년 8월 25일
10 우리는 웃음을 쫓는다
It's Laughter They're After
바트 제넷, 밥스 개너웨이 2021년 9월 1일

6.2. 시즌 2

7.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일상 및 개그물로 CGI 퀄리티는 준수한 평가를 받고, 디즈니 특유의 감성이 두드러지지 않아 마이크나 설리가 등장하지 않는 장면들만 보면 디즈니 작품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디즈니에서 보기 힘든 화장실 유머도 가끔 나온다.[21]

등장인물이 변경되고 스토리도 기존에 비해 상당히 가벼워졌다. 특히 시퀄인 만큼 '부'가 재등장할 것인지 기대를 모았으나 재등장하지 않아 아쉽다는 평가도 많다. 기존의 두 작품이 감동적인 부분이 많았던 반면 본작은 가볍게 보기 좋은 작품이다. 이전 작품들의 반가운 인물이 많이 출연해 과거 등장했던 인물들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한 편이다.

8. 기타

  • 몬스터 주식회사의 엔딩 장면이 본편의 마지막화인 10화에 나온 장면과 동일하다.( 비교영상). 워터누즈가 연행된 뒤 회사를 운영하기 된 설리가 넥타이를 맨 상태로 등장하며 임원진이 되었음을 암시하고 있고 웃음 캔(비명 캔)이 거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즉 몬스터 주식회사의 엔딩에서 워터누즈 체포~설리반과 부의 재회 사이의 타임라인이 본편의 1화~10화 인 것.
    • 본래 몬스터 주식회사의 시점으로부터 6개월 뒤의 일을 다룰 예정이었으나 워터누즈 연행 뒤 바로 다음날부터 다루는 것으로 시점이 변경되었다. 때문에 본작의 시점은 아직 설리, 부가 재회할 시기가 아니다. 시즌 2 시점은 워터누즈 연행부터 9개월 후.
  • 2020년 공개예정이었지만 2021년 여름으로 미뤄졌다.
  • 몬스터 주식회사 내 산업 시설의 자세한 구현을 위해 제작진들이 실제 발전소에 견학을 다녀왔다고 한다.
  • 타일러 터스크먼의 졸업식 장면이 삭제 장면으로 공개되었다.
  • 마지막화 21분 50초 부근에 렌더링 오류가 있다. 바닥면의 그림자가 갑자기 사라지는 것이 보인다.


[1]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캐릭터만 제공하고, 실질적인 제작은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에서 했다. [2] 인스타그램에 별도의 짧은 영상이 공개되었다.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3] MCU 영화들을 시작으로 디즈니 플러스가 더빙 작품을 축소시킨 영향도 있겠지만 조니의 성우 문제도 있고 마이크의 성우가 2023년에 돌연 활동을 중단하면서 둘의 배역을 대체할 성우를 찾느라 공개에 차질이 생겼을 것이다. [4] 몬스터 주식회사 몬스터 대학교 때의 성우는 김진태로, 한복현의 연기는 여러모로 기존 더빙과 괴리감이 있다는 평이 많다. [5] 최근 대표 배역이었던 뚱이 브룩의 성우가 엄상현으로 변경되었던 탓에 시즌 2에 다른 성우로 교체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6] 몬스터 대학교의 보라색 괴물 아트와 상당히 비슷한 외형을 지녔다. 이쪽이 좀 더 예쁘게 디자인 됐다 뿐이지. [7] 처음에 프리츠를 무시하던 타일러도 프리츠를 다시보게 됐다. [8] 킹덤 하츠 3에서 마이크 와조스키를 맡았다. [9] 그런데 눈이 똑같이 5개인 것 외에는 워터누즈랑 하나도 안 닮았다. 애초에 타일러도 자기 가족들과 외형이 하나도 안 닮았다. [10] 애초에 워터누즈처럼 선량한 인물이 아니었다면 마이크, 설리가 몬주시에 들이지 않았을 것이다. [11] 킹덤 하츠 3에서 설리를 연기했다. [12] 시리즈 내내 우체부 일부터 시작해서 온갖 고생 끝에 자수성가를 이뤄 몬스터 주식회사의 공동 CEO가 된 마이크 & 설리번 콤비와는 반대로 인맥빨로 바로 사장 자리에 올랐다. 특히 설리의 경우 자신의 가문빨도 있었지만 마이크와 동고동락하면서 개심해 마이크와 함께 자신만의 능력으로 사장 자리에 올랐다. [13] 웃음, 비명 에너지가 섞이면 대폭발이 일어난다. 작중 웃음 에너지 체제로 바뀐 지 얼마 안 됐을 때 한 번 사고가 난 적이 있었다고 언급되며, 시즌2 1화에서 타일러가 비명 에너지가 섞인 웃음 에너지 통을 만들었다가 2화에서 마이크, 설리가 시연회에 그 에너지 캔을 갖다 쓰면서 대형사고를 낼 뻔했다. 두 에너지가 섞였을 때 검은 기포가 일어나는 화학반응이 나타난다. [14] 체포되는 와중에도 정신을 못차리고 자길 사기꾼이라고 팩트를 날리는 타일러에게 막말을 퍼부었다. 몬스터 주식회사에서 워터누즈가 체포될 때 상황과 똑같다. [15] 자기가 대학에서부터 무시하던 마이크는 설리랑 몬스터 주식회사의 대표가 되어서 회사를 잘 운영하고 있는 것에 비해 조니는 회사 사장이 되었음에도 본인의 모자란 생각, 행동 때문에 회사를 망쳐놓고 감옥으로 보내져 사회에서 낙인찍혔다는 점에서 어찌보면 무시하던 마이크보다 더 못한 괴물이라는 것을 증명한 꼴이다. 그야말로 입장이 반대가 된 것. [16] 때문에 마이크와 설리번 콤비가 정전을 일으킨 혐의로 MERC에 구속당하자 로즈가 고의로 시간을 끌 작정으로 대량의 서류 더미를 가져다 마이크한테 서명하게 하고 윙크 신호를 보냈다. 마이크 역시 로즈의 의도를 눈치채고 풀네임으로 서명하면서 시간을 끌었다. [17] 공포 회사의 점심시간은 고작 15분으로 칼같이 지키지 못하면 실적을 올리지 못한다는 이유로 해고 사유가 되었다. 위의 조이의 경우 점심까지 거르면서 실적을 올렸다. [18] 이때 타일러는 처음으로 아이들 겁주기에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몬스터 주식회사에서 설리가 겪은 일을 겪었다. [19] 여태끼지는 한 명이 선수, 다른 하나가 서포트를 하는 구조였다. 마이크, 설리는 비공식적으론 우리가 최초였다며 툴툴댄다. [20] 전작 몬스터 주식회사에서 설리가 부를 다시 만나는 마지막 장면을 오마주했다. [21] 명색이 개그물이다 보니 관련 개그가 아주 조금씩 나왔다. 침이라던가, 마이크 한정으로 트림 등. 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