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8 20:45:02

MP2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독의 제식 기관단총에 대한 내용은 UZI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P2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마리오 파티 2에 대한 내용은 마리오 파티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오디오 코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555> 손실
압축
<colbgcolor=#555><colcolor=#fff>일반 MP1 · MP2 · MP3 · mp3PRO · AAC · Musepack · WMA · Vorbis · Opus · USAC
음성 특화 AMR-NB · AMR-WB · AMR-WB+ · WMA Voice · Speex · Opus · Codec 2 · EVS · Lyra
다중채널 특화 AC-3 · SDDS · DTS · AC-4
블루투스 SBC · aptX · AAC · LDAC · SSC( Samsung Seamless Codec · Samsung Scalable Codec) · LC3
무손실 압축 FLAC · ALAC · APE · TAK · WMA Lossless · TTA · WavPack
무손실 무압축 PCM ( WAV · AIFF)
관련 문서: MIDI · DSD
관련 틀: 그래픽 · 오디오 · 비디오
}}}}}}}}} ||

1. 개요2. 상세3. 음질4. 인코더5. 용도6. 파생 코덱7. 전망8. 사양9. 관련 항목

1. 개요

MPEG-1/2 Audio Layer-2

MPEG 오디오 규격으로 개발된 손실 압축 포맷으로 라디오 방송 스튜디오, 구식 DAB 디지털 라디오방송(특히 영국)에 활용되고 있다.

2. 상세

MP3 포맷보다 오래된 1991년에 개발된 오디오 포맷으로, MUSICAM으로도 알려져 있다. MP3보다는 압축 구조가 단순한 편으로[1] 보관용(아카이빙)에는 MP3 파일보다 유리하다는 말이 있다. 물론 저장 용량이 많으면 무손실 압축 FLAC이 더 낫긴 하다.

2008년에 주요 특허가 만료되었다. #

3. 음질

MP3, Musepack, WMA, Vorbis, AAC, Opus, USAC보다 오래된 코덱이고 구조가 단순하다보니, 192 kbps 미만의 비트레이트로 인코딩하면 음질이 좋지 않다. MP2 192 kbps는 MP3 128 kbps와 비슷한 수준이며, 차세대 코덱인 Vorbis나 AAC로는 96 kbps, Opus나 USAC로는 64~80 kbps 정도만으로 달성할 수 있다. MP3는 지금도 꾸준히 최적화되고 있지만[2] MP2는 별로 신경도 안 쓰다 보니 차이는 더 벌어진다. 참고로 최하 비트레이트인 8 kbps에서는 거의 알아들을 수 없고 소음처럼 들린다. 다만 256 kbps는 MP3와 음질이 비슷하며, 320 kbps부터는 MP2가 MP3보다 음질이 살짝 더 좋다.

192 kbps 미만에서는 조인트 스테레오를 사용하면 음질이 약간 더 좋아지지만,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

4. 인코더

인코더로는 FFmpeg 자체 인코더[3], twolame, 반디캠 인코더[4] 등이 있으며, 음질은 FFmpeg 자체 인코더 <<<<< 반디캠 인코더 < twolame 순이다.

5. 용도

2024년 현재로서는 라디오 방송국에서 테이프리스 시스템 장비나 디지털 방송의 오디오로 활용할 때 말고는 쓸 일이 없는 코덱이다. AAC 이용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아주 낡은 MP2 코덱을 쓸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

5.1. 음악

PC상에서의 일반적 음악 감상용으로는 90년대 중반 PC 사양이 한참 딸릴 때나 좀 쓰였지 2000년대 이후에는 MP3에 밀려서 활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16/22.05/24kHz 샘플링 레이트도 지원하지만 1999년 뒤늦게 추가되었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Audacity에서 해당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비트레이트는 16~384kbps를 지원하는데 # 8kbps는 거의 알아들을 수 없고 소음처럼 들릴 정도로 음질이 낮아서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

5.2. 동영상

AVI, MKV, MPEG, MP4 컨테이너에서 지원한다.

동영상 파일 중 구식 MPEG-1/MPEG-2 코덱으로 인코딩된 파일의 음성부는 이 MP2 코덱인 경우가 있다. 비디오 CD도 MP2(224 kbps)를 이용한다. DVD는 AC-3 또는 MP2를 이용한다.

녹화 프로그램 중에는 반디캠이 대표적이다. AVI 컨테이너에서 지원하며 24/32/48 kHz 샘플링 레이트와[5] 32~384 kbps 비트 레이트를 지원한다. 그러나 MP4 컨테이너를 주력으로 사용하게 된 이후로는 사용 빈도가 낮아졌고, 이후 업데이트로 MP3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게 되면서 AVI 컨테이너에서의 기본 오디오 코덱이 MP3로 바뀌었다.

5.3. 테이프리스 시스템

테이프리스 시스템, 디지털 방송 문서 참고.

6. 파생 코덱

  • MPEG Multichannel: 최대 5.1채널까지 지원한다.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에서는 스테레오로 다운믹스되어 재생된다.

7. 전망

일반적인 음악 및 동영상 감상/편집/제작용으로는 이미 도태되었으며, Microsoft Windows를 제외한 운영체제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오디오/비디오 편집 프로그램에서는 재생되는 경우도 있지만, 스마트TV 셋톱박스, 미니컴포넌트, 카오디오, MP3 플레이어, PMP, 전자사전, 내비게이션 등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부 기기에서는 확장자가 mp2면 인식하지 못하고 mp3로 바꾸어야 제대로 재생되기도 한다.

또한 현재 많은 방송사에서 사용 중인 시스템 솔루션의 내구연한이 지날 약 5년 뒤에는 이 코덱은 사실상 완전히 도태될 것으로 보인다. MP2 코덱이 테이프리스 시스템에 적용된 이유는 현행 솔루션 대부분이 하드디스크 용량, CPU 성능이 지금보다 낮았던 2000년대 초반 이전에 기틀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차세대 솔루션에서는 비압축 PCM이나 FLAC 등 무손실 압축 코덱이 활용될 것이다. 2014년에 문화방송 상암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기존의 MP2 기반의 테이프리스 시스템 장비를 비압축 WAV 기반의 최신식 장비로 교체한 것을 미루어보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라디오 방송 시설 분야에서도 도태될 가능성이 높은 코덱이다.

8. 사양

  • 샘플링 레이트: MPEG-2(16, 22.05, 24 kHz), MPEG-1(32, 44.1, 48 kHz)
  • 비트 레이트: 8 ~ 384 kbps
    • MPEG-2: 8, 16, 24, 32, 40, 48, 56, 64, 80, 96, 112, 128, 144, 160 kbps
    • MPEG-1: 32, 48, 56, 64, 80, 96, 112, 128, 160, 192, 224, 256, 320, 384 kbps
  • 채널: 1(모노), 2(스테레오)
  • CBR 전용

9. 관련 항목


[1] MP1, MP2, Musepack은 상대적으로 연산량을 덜 필요로 하는 Subband Coding 방식만을 이용하여 압축하지만 MP3는 Subband Coding을 거친 후 수정 이산 코싸인 변환(MDCT)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Vorbis, AAC, Opus는 Subband coding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MDCT만을 이용하여 가공 및 압축한다. 부동소수점 계산 능력이 펜티엄60에 비해 많이 떨어졌던 486DX-66에서는 MP3를 제대로 재생하지 못했지만 MP2는 잘 재생했다. [2] MP3도 최초 레퍼런스 인코더와 현재 인코더는 음질이 많이 차이난다. # [3] FFmpeg 초창기에 사용되었다. 이후 FFmpeg에도 twolame 인코더를 포함하기 시작했다. [4] 인코더 이름은 불명이다. [5] 특이하게도 22.05 kHz와 44.1 kHz를 지원하지 않는다. 22.05 kHz나 44.1 kHz로 설정해도 내부적으로 변환해서 출력하기 때문에 실제 파일은 24 kHz나 48 kHz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