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16:20:55

Joseph Anderson/성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Joseph Anderson

1. 개요2. 성향3. 영상

[clearfix]

1. 개요

Joseph Anderson의 비평 성향과 영상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성향


  • 영상을 만들 때는 무조건 2회 이상 게임을 플레이 하며 근거를 제시할 때는 직접 수적인 계산을 전부 해본다고 한다. 게임 소스 영상도 전부 직접 찍는데, 마리오 오디세이 영상에서는 2D마리오부터 3D마리오까지 대부분의 작품에서 영상을 직접 찍어온 노고를 확인할 수 있다.
  • 게임의 플레이적 요소에서나 스토리 측면에서나 방향성이 뚜렷한 것을 선호한다. 마리오 오디세이에 대한 관점이나 페르소나 4 방송에서 그의 반응을 보면 알 수 있다. 마리오 오디세이에는 도전적이기보다 월드 맵을 탐험하면서 마주칠 수 있는 사소한 달이 많은데 조셉은 이것을 시간낭비로 받아들였다. 또한 페르소나 4를 플레이 할 때는 갈등이 없이 지나가는 일상적 장면들에 의문을 표했다.
  • 가끔 영상에서 일부러 거짓말을 하는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 처음에 잘못된 정보를 주고 나중에 그것을 뒤엎어 요점을 강화하거나 게이머가 처음 하게 될 경험을 체험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위쳐 1 영상에서는 반전을 생략한 다음 결말이 지루하게 끝난다고 해놓고 그걸 뒤엎거나 오디세이 영상에서 버섯 왕국의 달이 지루한 편인데 첫 레벨이니 그럴 수 있다고 거짓말한다. 전자는 위쳐 1이 어떻게 더 훌륭한 결말을 만드는지 보여주기 위한 장치이고 후자는 오디세이에서 사실 전체 왕국의 달이 다 지루하다고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런 영상의 특징에 대해서는 비평을 따라가기 어렵게 한다는 의견과 내용을 더 매력적으로 만든다는 의견으로 갈린다.

3. 영상

영상의 대본은 여기서 볼 수 있다.
https://jphanderson.wordpress.com/

3.1. 인디 게임



3.2. AAA 게임

3.2.1. 닌텐도

3.2.1.1.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
  • 오디세이를 명작으로 평가하는 다수의 비평가들과 달리 이 게임을 강하게 비판했다. 탐험과 레벨 디자인에 도전 요소와 독창성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으며 성취감을 주는 달보다 시간낭비에 불과한 달이 너무 많다고 주장했다.
  • 목차
    • 카메라/움직임(9:00)
    • 깊이 부족(16:09)
    • 독창성 없는 탐험과 디자인(20:34)
    • 캡처(28:03)
    • 대상 고객(34:15)
    • 버섯 왕국(37:19)
    • 불필요한 달(43:42)
    • 보스(1:24:57)
    • 2회차(1:32:22)
    • 결론(1:55:32)
3.2.1.2.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
  • 야생의 숨결을 지금까지 해본 최고의 게임이라고 칭찬하면서도 비평가로서 단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며 시작한다. 전투 시스템과 사당의 퍼즐을 주로 비판한다. 영상의 제목은 이 게임이 전형적인 젤다의 전설 콘텐츠를 거의 가지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 목차
    • Part One – That Was Your Spoiler Warning
    • Part Two – Shrine On You Crazy Diamond
    • Part Three – C-C-C-Combat Breaker
      야생의 숨결의 전투가 망가지기 쉬우며 일관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적의 다양성에 대해서 비판한다.
    • Part Four – The Elder Scrolls Has Glass Weapons Too
      무기 시스템의 원래 의도를 6개로 분석[1]하고 그것이 의도대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안 좋은 부분에 대해 대안을 제시한다.

3.2.2. 위쳐



3.2.3. 소울류




[1]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고 그것에 적응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 전투를 재밌게 하기 위해, 마스터 소드가 특별하게 느껴지게 하기 위해, 인벤토리 확장이 가치있게 느껴지게 하기 위해, 게임의 밸런스를 위해, 모험에 보상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