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n channel도 이 방식에 포함되긴 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위낙 세포내에서 마이너한 방식이다 보니, 이 방식을 채택하는 세포소기관은 많지 않다
-
핵공 수송: 핵 안으로 수송되어야 하는 단백질들은 당연히 cytosol. 세포질 안에 있다.(단백질의 합성 장소가 cytosol이니까) 그러므로 핵 안에 수송되어야 하는데, 이 수송은 nuclear import receptor[1]이 맡으며, 이 receptor들은 수송되어야 하는 단백질들[2]의 nuclear localization signal을 인식해서 target protein을 찾는다.[3]
혹은 핵 바깥으로 단백질이 수송되어야 할 때도 있다. 이를테면 너무 커다란 RNA같은 경우인데, 이는 역시 nuclear export signal을 인식한 nuclear export receptor에 의해 이루어진다. nuclear export recepotor 역시 NPC와 signal에 달라붙는 부분이 둘 다 있다.[4][5][6] -
미토콘드리아 수송:
미토콘드리아 항목에도 나와있다시피 미토콘드리아는 독립적인 생물이며, 스스로의 DNA를 가지고, 스스로 필요한 단백질을 만들 수 있었다. 당연히 지금은 아니라 대부분의 단백질들을 숙주 세포로부터 받아오지 않으면 죽어버리는 신세. 따라서 미토콘드리아는 스스로가 두른 이중막 지질을 통과하여 세포질의 단백질을 안쪽으로 가져와야만 한다.
미토콘드리아 외막에는 TOM complex라는 translocator가 있어 단백질을 통과시킨다.[7] 미토콘드리아 내막에는 TIM complex라는 translocator가 있어 단백질을 통과시킨다.[8] 이 두 translocator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각각 1분자씩, 2분자의 ATP가 소모된다.식객이네. 그래도 얘네가 만들어주는 ATP가 쓰는 ATP보다 많으니까 용서하자.물론 matrix로 들어가는 경우고, 그냥 이중막 사이의 공간인 intermembrane space에 남아있는 경우는 1분자만 쓴다.
문제는 미토콘드리아가 위낙 원시적이고 translocator도 원시적이라(...) 핵공과는 다르게 좀 커다란 단백질은 통과를 못 시키고, unfolding시켜 1차원적인 구조를 만들어놓아야만 통과가 가능하다.[9]기껏 만들어놨더니 이새끼가그런 후에 matrix로 들어가면[10], 안에 있던 charperon이 다시 refolding... 겸사겸사 signal sequence도 자르고.[11][12]
[1]
이 nuclear import receptor는 nuclear localization signal에 결합하는 부분과 NPCs에 결합하는 부분이 둘 다 있다.
[2]
target protein
[3]
가끔 nuclear import receptor가 바로 target protein을 붙잡지 않고 adaptor protein을 붙잡은 다음, 이 adaptor protein이 nuclear localization signal을 인식하여 붙잡는 경우도 있다.
[4]
당연한지 모르겠지만 nuclear export receptor와 nuclear import receptor은 둘 다 nuclear transport receptor에 속하여있다.
[5]
importer와 exporter. 즉 transporter들은 둘 다 Ran-
GTP, Ran-GDP라는 효소에 의해 작동을 도움받는다. 핵 바깥에서는 Ran-GDP가 transporter에서 분리되고, 핵 안쪽에서는 Ran-GTP가 transporter에 결합한다.
[6]
다만 T-cell의 경우는 GTP 대신 phosphorylation을 이용한다.
[7]
SAM complex도 있긴 하다.
[8]
OXA complex도 있긴 하다.
[9]
그러고도 matrix에서 Hsp70가 잡아 끌어줘야 한다.
[10]
경우에 따라서는 intermembrane에 들어가면
[11]
물론 charperon이 자르는 건 아니다.
[12]
charperon과는 달리, signal sequence는 matrix에서만 잘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