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3:11:51

F형 주계열성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주계열성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태양 대비 상대 질량 온도에 따른 분류 분광형
<colcolor=#000>0.07 ~ 0.08배M 1700K ~ 2400K L형 주계열성· L형 준왜성
0.08 ~ 0.5배 2400K ~ 4000K M형 주계열성· M형 준왜성
0.5 ~ 0.8배 4000K ~ 5500K K형 주계열성· K형 준왜성
0.8 ~ 1.03배 5500K ~ 7000k G형 주계열성· G형 준왜성
1 ~ 1.4배 7000K ~ 9000K F형 주계열성
1.4 ~ 2.1배 9000k ~ 15000K A형 주계열성
2 ~ 16배 15000K ~ 20000K B형 주계열성
15배 ~ 120배 20000K ~ O형 주계열성
* M: 금속 함량에 따라 이 범위 내여도 갈색왜성일 수 있으며, 비확장 분광형에서는 M형으로 간주된다.
}}}}}}}}}
F형 주계열성
F type main-sequence
<nopad> 파일:큰부리새자리 제타 노이즈 삭제.png
대표적인 F형 주계열성 중 하나인 큰부리새자리 제타
물리적 성질
형태 F형 주계열성
분광형 F9V~ F0V
반지름 1.2~1.7 R⊙
질량 1.2~1.7 M⊙
평균 온도 6,000~7,300 K
수명 60~30억 년
자전 속도 -
광학적 성질
절대 등급 4.39~2.65
광도 1.5~5.4 L⊙
명칭
F형 주계열성, 황백색 주계열성
1. 개요2. 상세3. 넓은 골디락스 존4.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F형 주계열성

[clearfix]

1. 개요

F Type Main Sequence Star

F형 주계열성 혹은 F V 분광형 F에 속하는 주계열성이다. G형 주계열성보다는 크고 A형 주계열성보다는 작은 이 별들의 질량은 태양의 약 1~1.4배이며, 표면 온도는 약 6000~7600 K 정도이다.

2. 상세

F형 주계열성은 300개의 별들 중 1개 꼴로, 태양 같은 G형 주계열성보다도 희귀하게 존재하지만 그 밝기가 태양의 4배까지 이르기도 하기 때문에 의외로 밤하늘에서 많이 관찰되는 별들이다.

정말로 가능성이 없어보이는 A형 주계열성 이상의 별들과 비교해 F형 주계열성은 생명을 품을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지 않을까하는 의견들도 있다. 허나 이들은 자외선 영역에서 높은 에너지를 발산하는데, 이러한 F형 주계열성의 강한 자외선은 지구의 생명체들이 쓰는 것과 같은 탄소 기반 생화학에 필요한 DNA와 같은 주요한 분자들을 변질시키거나 아예 분해시킬 수 있어, 생명을 품기에 무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연구에 따르면 가상의 행성이 F형 주계열성으로부터 1 AU 만큼 떨어져 있고 대기 조성이 지구와 유사하다면 행성 표면의 생명체가 자외선으로 입는 피해량은 대략 지구의 최소 2.5배에서 최대 7.1배가 될 것이라 한다.[1][2] 아울러 수명도 태양보다 다소 짧은 25억~105억 년 정도에 불과해 생명체가 진화할 시간이 빠듯한 것도 한계로 작용한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자외선은 물에 차폐당하기 때문에 깊은 바다에서 생명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지구에서 그랬던 것처럼 이러한 생명체들이 오존층을 형성해 안정적인 생태계를 충분히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 아울러 자외선이 무조건 생명체의 진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제는 무리가 있으며, 오히려 자외선의 강한 에너지가 반응성 높은 생화학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진화의 촉진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도 말한다.[4]

3. 넓은 골디락스 존

파일:Habitable_Zones_of_Different_Stars.jpg
케플러 미션에서 NASA가 밝혀낸 바에 따르면 뜨거운 별의 골디락스 존이 더 넓다
F 분광형 중에서 가장 뜨거운 F0 주계열성의 골디락스 존은 2.0 AU에서 3.7 AU로, 태양의 0.8 AU~1.5 AU 골디락스 존보다 2배는 더 넓다. 특히 온도가 낮아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F8 주계열성 또한 1.1~2.2 AU로 여전히 태양보다 더 넓어 F형 주계열성의 생명체 발생에 대한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5] 그러나 여전히 G형보다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낮은데, 이유는 G형 별에 비해 수명이 짧기 때문이다. 설령 존재한다고 해도 인류와 같은 지적 생명체로 진화할 가능성은 더더욱 떨어진다.


F형 주계열성보다 더 큰 별들은 골디락스 존도 훨씬 광대하지만 수명이 굉장히 짧아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F형 주계열성 까지가 그나마 문명이 등장할 정도의 여유 시간이 있다.

다만 인류가 다른 행성에 이주하여 새 문명을 꾸릴만 할 정도로 발전한다면, F형 주계열성은 넓은 골디락스 존 때문에 이주할 행성을 찾기에는 오히려 G형 주계열성 보다도 더 매력적인 별이 될 것이다.

4.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F형 주계열성



[1] Could Alien Life Cope with a Hotter, Brighter Star? [2] 다만 F형 주계열성의 골디락스 존은 대략 2.0 AU부터 시작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3] 실제로 지구에서 생명체가 깊은 심해에서 최초로 잉태된 이유 또한 이러한 태양 자외선의 위협이 그중 하나였다. [4] Could Alien Life Cope with a Hotter, Brighter Star? [5] # [6] 정확하게는 준거성과 주계열성 단계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7] 지금은 분광형 K5III의 주황색 거성( 적색거성가지 단계)이지만 주계열성 당시에는 분광형 F5V 정도인 황백색 주계열성이었다. F형이나 태양같은 뜨거운 G형 주계열성 또한 이런 식으로 최후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